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판전략으로서 푸코의 ‘외부의 사유’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Foucauldian ‘thought of outside’ as a Strategy of Crit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83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sitivism have been a mainstream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for a time. But Positivism has no room for exercising critique, for it excludes the problems of value and obligation from the area of sciences. For that reason, social sciences have been ...

      Positivism have been a mainstream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for a time. But Positivism has no room for exercising critique, for it excludes the problems of value and obligation from the area of sciences. For that reason, social sciences have been developed under the situation of losing the linkages of theory and practice, method and critique. But the specificity of Foucault's works is that it don't lose the strains of critique, although Foucault's works take intensively positivistic figures. My thesis pays attention to that specificity. And it aims at understanding how method and critique work and what contents method and critique have in the Foucault's specific case.
      This thesis see the theme of ‘the thought of outside(la pensee du dehors)' as the common principle and linking point of the critique and method. For that reason, this thesis concentrates on functioning the ways of ‘thought of outside' operating in the Foucault's critical works and methods.
      On the level of analysis, the theme of ‘thought of outside' consists of two main phases. One is ‘the transgression on the limits' and the other is ‘the bracketing off the systems of meanings, values, recognitions of one's own culture'. From the former, the ethos of the Foucauldian ‘critique' is derived. And from the later, the logic of rigidity in ‘method' is derived. In other words, ‘the thought of outside' is an attempt to locate methodologically the place where we can think outside the limit of us; the cultural systems of the meanings, values, recognitions of our time and grammar of the critique which makes these limits relate and question.
      Foucault named ‘critical ontology of ourselves' for his studies. In this sense, Foucault's works are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mits and historical a priori which envelop us empirically. Then based on that result, it searches for the rooms of transgressing and going beyond these limits. In order to perform these works, at first, we need methodologies which can investigate these limits. At the same time, these methodologies must be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can be served for us to investigate and criticize our culture at the outside of our culture. Those called the methodology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s Foucault constructed in this context.
      Constructing the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s a thought of outside can be performed through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work of refining the languages, concepts and thinking frames for the study from the one's own cultural and conceptual ground. The seconds stage is the work of reconstructing new languages, concepts and thinking frames for the study, based on the first work. At the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 set of categories concerning subjectivity, for instance the concepts of continuity, totality, origin, are removed. Instead, those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are forming the principles of reversal, discontinuity, specificity, exteriority and establishing the objects, concepts and strategies of study.
      Methodologies of archaeology and genealogy have the purpose to conceive the systems of the meanings in outside and recognitions at the cultural background familiar to investigators. Because of these reasons, they can served to think differently and problematizise about the things which have been familiar and natural to us. In this point, those methodologies offer us a lot of potentialities for new standpoints and critiques of society.
      ‘The thought of outside’ as a logic of critique and principle of method, provides sociology with rich usefulness, especially, in the following two dimensions. First, it offers new grammar of critique. Second, it can be rich and useful resources for minorities' politics.
      The logic of main critiques requires the ‘legitimacy' as a ingredient element. It takes the forms of self-reflection which operates on the straining relation of critique and legitimacy. But Foucault's logic of critique takes the form of transgression on the whole limits including the claim of the legitimacy. It purpose to think not about returning to oneself unceasingly by self-reflection but about going beyond to the outside of oneself. In these senses, Foucault's thought of outside enlarges the areas of critical social sciences through offering new grammar of critique to us.
      Besides, thought of outside can serve to flourish the politics of minorities. Because the thought of outside is an attempts to operate the critical thought through ‘thinking differently’, it can be a counterpart of the systems as another main stream of society. In these senses, thought of outside can be the useful resources for minorities who had to be silenced their vo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동안 실증주의는 사회과학의 주류적 방법론이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실증주의는 가치와 당위의 문제들을 과학의 영역에서 배제하기 때문에 실증주의에는 비판의 계기가 단절되어 있다...

      한동안 실증주의는 사회과학의 주류적 방법론이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실증주의는 가치와 당위의 문제들을 과학의 영역에서 배제하기 때문에 실증주의에는 비판의 계기가 단절되어 있다고 논의된다. 이에 따라 대체로 사회과학은 한동안 이론과 실천, 방법과 비판의 체계적인 연관이 이완된 채 전개되어온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푸코의 작업들은 그 스스로도 인정하듯이 실증주의적 면모들을 강하게 보이면서도 비판의 긴장을 놓치지 않고 있다는데 그 특이성이 있다. 본고는 이점에 주목하면서 푸코에게 방법과 비판이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에게 방법과 비판은 어떤 내용을 가지는 것인지를 이해해보고자 하는 논의이다.
      본고는 푸코의 작업들에서 비판과 방법의 공통적인 원리가 되면서 그 둘을 연관시켜주는 것이 ‘외부의 사유’의 원리라고 파악한다. 때문에 ‘외부의 사유’라는 테마가 푸코의 비판 작업들과 그것을 위한 방법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것이 본고의 논의의 중심을 이룬다.
      ‘외부의 사유’라는 테마는 분석적인 차원에서 ‘한계에 대한 위반’과 ‘자신의 문화적 의미, 인지, 가치체계에 대한 괄호치기’라는 두 가지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이때 ‘한계에 대한 위반’의 측면에서 ‘비판’의 에토스가, ‘자신의 문화적 의미, 인지, 가치체계에 대한 괄호치기’의 측면에서 ‘방법’의 엄밀성의 논리가 도출된다. 즉 ‘외부의 사유’는 우리의 존재의 한계, 예컨대 우리 시대와 사회의 문화적 의미, 인지, 가치 체계 외부에서 사유하려는 방법론적 위치지움의 노력이자, 그럼으로써 그러한 한계들을 상대화시키고 의문에 붙이게 해줄 수 있는 비판적 작업의 문법이기도 하다.
      푸코는 자신의 연구 작업들을 ‘우리 자신에 대한 비판적 존재론’이라고 명명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푸코의 작업들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한계들, 즉 역사적 선험성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바탕해서 그것들을 위반하고 넘어설 수 있는 여지를 찾으려는 노력이다. 이러한 작업들을 위해서는 우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역사적 선험성들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법론은 자문화의 외부에서 자문화를 연구하고 비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러한 방법론으로서 푸코가 구성하는 것이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이다.
      외부의 사유를 위한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의 구성 작업은 다음의 두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첫째, 연구를 위한 이론적 언어들 및 개념들 그리고 사유틀을 자신의 문화적, 개념적, 사유 지평으로부터 정제해내는 작업. 둘째, 이에 바탕하여 새로운 이론적 언어들 및 개념들 그리고 사유틀을 재구성하는 작업. 이러한 작업을 거쳐 구성된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에서는 일체의 주관성 범주들, 예컨대 연속성, 총체성, 기원 등의 범주군들이 제거된다. 대신 그것은 전도의 원리, 불연속의 원리, 특수성의 원리, 외재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연구 대상 및 개념들 그리고 연구 전략들을 마련한다.
      외부의 사유로서 고고학적 방법론과 계보학적 방법론은 연구자에게 친숙한 자문화의 의미 및 인지 체계의 외부에서 사유하려고 한다. 때문에 그것은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볼 수 있게 해주고 친숙하고 당연시되어왔던 것들을 문제화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듯 외부의 사유는 그 동안 비판되지 않은 채 우리가 특정한 방식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규정하고 있던 요소들을 드러내주고 문제에 붙인다는 점에서 사회 비판을 위한 풍부한 잠재력이 있다.
      푸코의 비판 문법이자 방법의 원리인 외부의 사유는 특히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사회과학에 풍부한 함의를 제공해줬다. 첫째, 새로운 비판 문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둘째, 기존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인 작업들에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주고 있다는 점이 그것들이다.
      전통적인 비판 문법에서 비판은 항상 정당성 요구를 필요로 했다. 그것은 비판과 정당성이 긴장관계 속에서 자기를 반성하는 형태를 취한다. 하지만 푸코의 비판 문법은 정당성 요구를 비롯한 일체의 한계들을 넘어서서 위반의 사유를 펼치는 것이다. 그것은 자기반성을 통해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게로 회귀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외부로 향함으로써 끊임없이 다르게 사유하려는 것이다. 이런점에서 푸코의 외부의 사유는 우리에게 새로운 비판 문법을 제공해줌으로써 비판사회과학의 영역을 확대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외부의 사유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기존의 과학이 당연한 것으로 전제했던 여러 기준들에 도전한다. 이로써 방법론적인 차원에서 우리에게 과학 방법론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준다. 기존의 과학적 견해에 의해 소수자들의 지식과 목소리는 비과학적인 것으로 가치 절하되고 억압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소수자들의 목소리와 지식에 귀기울이는 외부의 사유는 과학, 과학적 지식의 본성 등에 대하 전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 방법론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논문의 구성 = 3
      • Ⅱ. 푸코 비판기획의 모티브 : 외부의 사유 = 5
      • 목차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논문의 구성 = 3
      • Ⅱ. 푸코 비판기획의 모티브 : 외부의 사유 = 5
      • 1. 근대의 비판 문법 = 5
      • 2. 푸코의 비판 기획 = 8
      • 가. 비판의 에토스 = 8
      • 나. 비판 기획의 구도 = 13
      • 3. 푸코의 비판 문법 : 외부의 사유 = 16
      • Ⅲ. 비판전략으로서 고고학적 방법론 = 25
      • 1. 고고학적 방법론의 기본 원리와 고고학적 연구를 위한 사유틀의 구성 = 25
      • 가. 고고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 = 26
      • (1) 근대 주체철학의 테마들 = 26
      • (2) 고고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 = 29
      • (가) 근대 주체철학적 개념들에 대한 괄호치기 = 29
      • (나) 고고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 = 32
      • 나. 연구 대상에 대한 성격 규정 = 33
      • 다. 고고학적 연구를 위한 개념들의 구성 = 35
      • (1) 고고학적 담론 분석의 모델 = 35
      • (2) 고고학적 담론 분석을 위한 개념들의 구성 = 36
      • (가) 담론의 최소단위로서 진술과 담론 형성 규칙의 네 차원들 = 36
      • (나) 진술의 상위 단위들에 대한 개념 구성 = 41
      • 2. 지식의 역사에 대한 고고학적 분석의 실례와 비판적 함의 = 45
      • 가. 고고학적 담론 분석의 실례 = 46
      • 나. 고고학적 방법론의 비판적 함의 = 49
      • 3. 고고학적 방법론의 실패 = 50
      • 가. 필연적 실패의 잠재적 요인들 = 50
      • 나. 고고학적 방법론의 한계 = 53
      • Ⅳ. 비판전략으로서 계보학적 방법론 = 56
      • 1. 고고학에서 계보학으로의 방법론적 보완 = 56
      • 2. 계보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와 계보학적 연구를 위한 사유틀의 구성 = 59
      • 가. 계보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 = 59
      • (1) 근대 역사철학적 개념들에 대한 괄호치기 = 59
      • (2) 계보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 = 61
      • (가) 계보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와 전략 = 61
      • (나) 효과적인 역사학, 현재의 역사학으로서 계보학 = 66
      • 나. 연구 대상의 설정 = 68
      • 다. 계보학적 연구를 위한 개념들의 구성 = 72
      • (1) 계보학적 권력 분석의 모델 = 72
      • (2) 계보학적 권력 분석을 위한 개념들의 구성 = 80
      • 3. 권력 작동 메커니즘 분석의 실례와 비판적 함의 = 86
      • 가. 계보학적 권력 분석의 실례 = 86
      • 나. 계보학적 권력 분석의 비판적 함의 = 92
      • 4. 계보학적 권력 분석의 문제점 = 95
      • 가. 방법론적 차원에서의 문제점 = 95
      • 나. 비판의 실효성 차원에서의 문제점 = 99
      • Ⅴ. 결론 = 102
      • 참고문헌 = 106
      • ABSTRACT =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