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재서, "不死의 신화와 사상-산해경, 포박자, 열선전, 신선전에 대한 탐구" 민음사 1994
2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3 김윤식, "해방공간의 내면풍경" 민음사 1996
4 서정주, "한국적 전통성의 근원" 7 : 178-, 1964
5 나경수, "한국의 신화: 역사와 예술 그리고 사유의 근원" 한얼미디어ㆍ한즈미디어 2005
6 오세정, "한국신화에 나타난 변신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67-96, 2007
7 김열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90-120, 1971
8 오세정, "한국 신화의 원형적 상상력의 구조" 한민족어문학회 30 (30): 231-266, 2006
9 곽근, "한국 변신설화 연구-몇 가지 기초사유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4 : 49-70, 1988
10 C. S. 퍼스, "퍼스의 기호사상" 민음사 1996
1 정재서, "不死의 신화와 사상-산해경, 포박자, 열선전, 신선전에 대한 탐구" 민음사 1994
2 캐스린 흄,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3 김윤식, "해방공간의 내면풍경" 민음사 1996
4 서정주, "한국적 전통성의 근원" 7 : 178-, 1964
5 나경수, "한국의 신화: 역사와 예술 그리고 사유의 근원" 한얼미디어ㆍ한즈미디어 2005
6 오세정, "한국신화에 나타난 변신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67-96, 2007
7 김열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90-120, 1971
8 오세정, "한국 신화의 원형적 상상력의 구조" 한민족어문학회 30 (30): 231-266, 2006
9 곽근, "한국 변신설화 연구-몇 가지 기초사유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4 : 49-70, 1988
10 C. S. 퍼스, "퍼스의 기호사상" 민음사 1996
11 정재서, "중국신화의 세계" 돌베개 11-180, 2011
12 김선자, "중국 변형신화의 세계" 범우사 2001
13 김동리, "저승새·만자동경-김동리 전집4" 민음사 1995
14 진정석, "역사적 기록의 변형과 테스트의 저항, In 김동리문학연구" 쇄헌유기룡박사송수기념논총 간행위원회, 살림 472-490, 1995
15 게오르그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3-101, 1987
16 오세정, "신화 소통에 관한 제의적 기호작용 연구" 한국기호학회 2 (2): 101-145, 2004
17 황종연, "신라의 발견" 동국대학교 출판부 13-334, 2008
18 김미란, "신라문학에 나타난 변신" 경주사학회 7 : 165-187, 1986
19 문흥술, "신, 인간, 자연의 합일을 지향하는 설화소설, In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20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예출판사 2005
21 김동리, "소설 신라열전" 청동거울 2001
22 오세정, "설화 텍스트의 구성 원리 연구 -경험세계와 허구세계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29 : 271-297, 2011
23 남기혁, "서정주의 ‘신라정신’론에 대한 재론 - 윤리의식과 정치적 무의식 비판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4) : 255-280, 2011
24 김익균,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한국시학회 (33) : 149-182, 2012
25 서정주, "서정주 문학전집 2권" 일지사 316-, 1972
26 미르치아 엘리아데, "샤마니즘" 까치 23-430, 1992
27 김동리, "생각이 흐르는 강물" 갑인출판사 1985
28 뤼시앵 보이아, "상상력의 세계사" 동문선 1-289, 2000
29 질베르 뒤랑,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문학동네 2007
30 윤혜신, "삼국유사와 여성" 이회문화사 2003
31 김대식, "삼국유사 - 그 다양한 스펙트럼" 대원사 178-180, 2007
32 방민화, "불이사상과 보살적 인간의 동체대비심 발현 - 김동리의 <최치원>을 대상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5 (15): 23-40, 2010
33 강진옥, "변신설화에서의 ‘정체확인’과 그 의미" 진단학회 73 : 165-185, 1992
34 이상일, "변신 이야기" 밀알 1993
35 요시미즈 츠네오, "로마문화 왕국, 신라"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2002
36 김동리, "등신불·까치소리-김동리 전집3" 민음사 1995
37 金芝鮮, "동아시아 서사에서의 변신 모티프 연구 ―한국과 중국의 서사를 중심으로" 중국어문연구회 25 : 149-172, 2003
38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동리문학이 한국문학에 끼친 영향" 중앙대학교 1979
39 백철, "동리문학연구" 서라벌예술대학교 1973
40 김동리, "꽃과 소녀와 달과" 제삼기획 1994
41 방민화, "김동리의 <미륵랑>에 나타난 화랑과 미륵신앙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97-214, 2009
42 김윤식, "김동리와 그의 시대" 민음사 1995
43 곽근, "김동리 장편소설『을화』속의 경주의 의미" 신라문화연구소 (27) : 301-317, 2006
44 곽근, "김동리 역사소설의 신라정신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24) : 305-303, 2004
45 김동리, "김동리 역사소설 : 신라편" 지소림 1977
46 오은엽,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와 공간 -「달」, 「늪」, 「진달래」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69-97, 2012
47 방민화, "김동리 소설 연구" 보고사 2005
48 조희경, "김동리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9
49 황수남, "김동리 소설 「曼字銅鏡」에 나타난 샤머니즘" 인문과학연구소 33 (33): 355-376, 2006
50 이은주, "김동리 - 순수의 지향과 삶의 정치성" 글누림 2012
51 유기룡, "김동리" 살림 1995
52 장사훈, "鄕人이 즐기던 음악과 琴·歌·舞와의 관계, In 新羅藝術의 新硏究" 서경문화사 53-71, 1985
53 Tzvetan Todorov, "The Poetics of Prose" Cornell Univ. Press 1977
54 C. G. Jung, "Four Archetypes-Mother, Rebirth, Spirit, Tricks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3
55 金東錫, "(The)Effect of interferon-γ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type 1 collagen gene expression by interleukin-4 on cultured skin fiborlasts" 啓明大學校 大學院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