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체교섭에 있어서 원청의 사용자성에 관한 연구(Ⅰ) -‘원청의 응낙의무’와 ‘실질적 지배력’ 논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ployer Eligibility of the Original Contractor in Collective Bargaining (Ⅰ) - Focusing on the debate on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and “substantial control” - ᅠ 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650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으로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에 대하여 응낙의무를 부담하는 사용자는 근로자와 ‘일정한 법률관계’, 즉 근로계약관계에 있는 사용자이다. 판례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최...

      전통적으로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에 대하여 응낙의무를 부담하는 사용자는 근로자와 ‘일정한 법률관계’, 즉 근로계약관계에 있는 사용자이다. 판례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최근 하급심판결(이하 ‘대상판결’)은 ‘일정한 법률관계가 아닌’ 이른바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에 근거하여 하청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에 대한 원청의 응낙의무를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판단에는 강한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근로자의 단체교섭(권)은 단순한 사실행위로서가 아니라 단체협약의 체결이라는 법률행위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체교섭은 「노사(勞使) 사인 간에 이루어지는 법률행위적 요소를 내재하는 사적 행위」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하청 노동조합에 대한 원청의 응낙의무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의무의 발생 근거가 필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근거가 ‘근로계약’이고, 나아가 그것과 ‘동일시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해서도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하청 노동조합과 원청 간에는 원청의 응낙의무를 정당화하는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대상판결은 그와 같은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의 형성 원인으로서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판결이 하청 근로자에 대한 원청의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을 인정한 것은, 대상판결 스스로 ‘인정한 사실관계’ 및 결론에 이르게 된 판단 논거와 완전히 배치되는 결과이다. 왜냐하면 대상판결은 원청과 하청 간의 집배점 위수탁계약관계(=진정도급계약관계)를 전제로 하면서, 정작 하청 근로자의 노무제공과 직접 연계된 근로조건에 대한 원청의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에 근거하여 원청과 하청 근로자 간의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가 인정될 수 있다면, (그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원청의 원청 사업(장)에 대한 (재산권에 기한) 사실상의 영향력’ 및 ‘사용종속관계에서의 지휘·명령권’과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이 어떠한 상이한 구성요건표지에 의하여 개념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지 해명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상판결은 이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으며, 그와 같은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의 구성요건표지의 내용을 제시하는 견해도 찾아보기 힘들다.
      결론적으로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이라는 개념은 실체가 없는 「수사적 표현」에 불과하다. 하청 근로자와 원청 간에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계약과 동일시 할 수 있는 일정한 원인’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ally, the employer who bears the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labor union’s request for collective bargaining is in a “certain legal relationship” with the workers-that is, a labor contract relationship. The position of precedents is a...

      Traditionally, the employer who bears the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labor union’s request for collective bargaining is in a “certain legal relationship” with the workers-that is, a labor contract relationship. The position of precedents is also the same as the foregoing. However, a recent lower court ru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arget ruling”) recognizes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subcontractor’s labor union’s request for collective bargaining based on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rather than “a certain legal relationship.” This judgment raises strong doubts.
      Workers’ collective bargaining (rights)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gal act of concluding a collective agreement rather than a simple factual act. Collective bargaining can be defined as a “private act that contains elements of legal act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erefore, to recognize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subcontractor’s labor union’s request, a basis for the occurrence of the obligation is necessary. The most representative basis is the “labor contract,” and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may also be recognized due to “a cause that can be identified with it.” Therefore, a “relative legal relationship based on a special combination” can be formed between the subcontractor’s labor union and the original contractor, justifying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In short, the target ruling presents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as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relative legal relationship resulting from such a special combination.
      However, the fact that the target ruling recognizes the original contractor’s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over the subcontractor’s workers and the right to decide on their request is a result that runs completely counter to the grounds for argument that led to the “factual grounds recognized” by the target ruling and the conclusion. This is because the target ruling presupposes a distributor’s shop consignment contract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or (i.e., a true subcontracting contract relationship) while actually recognizing the original contractor’s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over and right to make decisions on the working conditions directly linked to the provision of labor by the subcontractor’s workers. If a relative legal relationship based on a special combination between the original 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or’s workers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right to decide (regardless of its name), it must be explained how the “original contractor’s actual influence on his business (place) (based on his property rights),” “rights to command in th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and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right to decide” can be conceptually distinguished and via which different component markers. However, the target ruling is silent on the foregoing, and it is hard to find a view that presents the contents of the component markers of such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is just a “rhetorical expression” without substance because it cannot be said to be a “certain cause that can be identified with a contract” that can form a relative legal relationship based on a special combination between the subcontractor’s workers and the original contract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