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화분청사기(印花粉靑沙器) 작품연구 = A study on the Ceramic Works using the Technique of Inhwa Buncheong W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673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분청사기는 제작 기법과 물성의 특성으로 인하여 장식 기법이 달라져도 무채색(無彩色)과 가까운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고려의 청자가 가지는 빛깔이나, 코발트(cobalt), 동(銅)으로 장식되었던 조선의 백자에서 나타나는 색상 표현과는 거리가 먼 편이다. 그러나 인화분청사기에서 화장토의 백색과 태토의 짙은 회색 점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면을 형성하고 있는 모습은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은 화이불치(華而不侈)의 경지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한 폭의 단색화(單色畫)로도 느껴졌는데, 김환기(金煥基), 이우환(李禹煥)의 작품과 흡사하게 보였다. 큰 화폭에 일정한 크기의 점들을 배열하여 화면을 구성한 작품의 이미지(Image)가 겹쳐 보이던 것이다. 비록 작은 점이지만 반복적으로 수많은 점이 모였을 때 드러나는 밀도(密度)가 상통했다. 또한, 점의 형태와 일률적인 배열이 달라졌을 때 발생하는 시각적인 리듬감에 대해서 흥미로웠다. 이러한 생각을 통해서 인화분청사기가 가지는 장식적 특징에 대하여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화분청사기의 제작배경과 장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다양한 기종에 인화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현대에도 지속 가능한 전통 도자 양식으로 계승 및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분청사기는 제작 기법과 물성의 특성으로 인하여 장식 기법이 달라져도 무채색(無彩色)과 가까운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고려의 청자가 가지는 빛깔이나, 코발트(cobalt), 동(銅)으로 장식되...

      분청사기는 제작 기법과 물성의 특성으로 인하여 장식 기법이 달라져도 무채색(無彩色)과 가까운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고려의 청자가 가지는 빛깔이나, 코발트(cobalt), 동(銅)으로 장식되었던 조선의 백자에서 나타나는 색상 표현과는 거리가 먼 편이다. 그러나 인화분청사기에서 화장토의 백색과 태토의 짙은 회색 점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면을 형성하고 있는 모습은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은 화이불치(華而不侈)의 경지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한 폭의 단색화(單色畫)로도 느껴졌는데, 김환기(金煥基), 이우환(李禹煥)의 작품과 흡사하게 보였다. 큰 화폭에 일정한 크기의 점들을 배열하여 화면을 구성한 작품의 이미지(Image)가 겹쳐 보이던 것이다. 비록 작은 점이지만 반복적으로 수많은 점이 모였을 때 드러나는 밀도(密度)가 상통했다. 또한, 점의 형태와 일률적인 배열이 달라졌을 때 발생하는 시각적인 리듬감에 대해서 흥미로웠다. 이러한 생각을 통해서 인화분청사기가 가지는 장식적 특징에 대하여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화분청사기의 제작배경과 장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다양한 기종에 인화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현대에도 지속 가능한 전통 도자 양식으로 계승 및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2
      • Ⅱ. 인화분청사기의 발달과정과 분류 4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2
      • Ⅱ. 인화분청사기의 발달과정과 분류 4
      • 1. 인화분청사기의 역사적 발달과정 4
      • 2. 인화분청사기의 종류와 문양 7
      • Ⅲ. 인화분청사기의 제작 기술과 도구 재현 19
      • 1. 태토 및 화장토와 유약 발색 실험 19
      • 2. 문양 도장의 제작과 장식 실험 23
      • Ⅳ. 인화분청사기의 현대적 활용 33
      • 1. 작품 주제 및 제작 33
      • 2. 작품 결과 36
      • Ⅴ. 결론 46
      • 참고문헌 48
      • Abstract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