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터키 수피즘의 수행방법 및 영적세계 연구 : Mevlana 종단의 세마츰 수행을 중심으로 = (The) Practice and spirituality of turkey suf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sema dance in mevlana s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789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이슬람 신비주의 분파인 메블라나(Mevlana) 종단의 영적 수행방법과 체험을 정리하고 그들이 체험한 영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독교 선교의 관점에서 메블레비(Mevlevi)들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의 이슬람 선교에 대한 접근은 전문적인 연구와 접근 방법이 결여된 것이었다. 세계인구의 1/5을 점하는 약 12억의 무슬림들은 언론에 의해서 2025년에 세계인구의 3분의 1에 육박할 전망이라고 보도되었다. 한국 내에서도 다양한 문화적 접근을 통해 이슬람 교인이 성장하여 한국의 무슬림은 이미 약 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그들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성 꾸란 한국어 의미의 번역』뿐만 아니라 모든 공식적인 문서를 통해 “알라”를 “하나님”으로 번역하고 기독교적 용어를 차용하여 비종교인들 뿐만 아니라 기독교인 마저도 미혹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교회에는 아직까지 이슬람과 무슬림을 어떻게 구별하여 사용해야 하는지도 모르는 성도들이 대부분이며 순니와 쉬아가 어떻게 다르며 이슬람 신비주의인 수피즘은 어떻게 다른 것인지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이슬람 정통에 입각한 종단 외에도 다양한 신비주의 종단이 있음을 먼저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슬람 신비주의가 어떤 역사와 사상적, 영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전하였는지 살펴볼 것이다. 특별히 정통 순니파의 사상과 전통을 바탕으로 하는 이슬람에 대한 이해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피주의의 대표적인 종단 중 하나인 메블라나 종단의 사상과 수행방법을 연구하였다. 메블라나 종단은 영적 체험을 추구하는 종교적 열정이 살아있는 종단이다. 이들은 정통 이슬람이 율법과 행위를 중심으로 무미건조한 종교적 색채를 가지고 있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또 서방 세계를 향한 폭력적 저항을 지하드로 규정한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열정과도 다른 종교적 열정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다. 필자는 메블라나 종단에 속한 수행자들의 종교적 열정을 선교적 접촉점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들의 종교적 열정은 존중하되 그들이 체험하는 영적 실체의 정체가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메블라나 종단의 수행자들이 체험하는 영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현장 리서치와 문헌 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특별히 수행을 통해 체험한 영적 경험은 메블라나 종단에 속한 수행자들의 경험을 종합하여 단순화 하였다. 다만 개개인이 다를 수 밖에 없는 영적 체험을 단순한 몇 가지의 범주로 묶은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이 부분은 차후에 더욱 발전된 연구 성과로 보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어서 수행을 통해 체험한 영적 체험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일반적인 종교에서도 영적인 체험이 실재하기 때문에 종교학적 관점의 접근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을 통해서 무슬림을 설득할 수 있기를 원하는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 이슬람의 경전인 성 꾸란과 무함마드의 언행록인 하디스를 바탕으로 영적 실체에 접근하였다. 일반적인 종교학의 시각에서 그들의 영을 설명하는 것 보다는 이슬람 자체의 자료와 시각 을 바탕으로 그들이 체험한 영적 실체를 규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필자는 선교 현장의 사역자들이 이 논문을 통해 이슬람 신비주의에 속한 메블레비들의 영적 문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얻기 원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메블레비들과 접촉하여 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문제점을 알 수 있도록 선교하기를 원한다.
      마지막으로 선교의 방법론에 있어서는 “성육신적 선교방법”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선교 대상자들과의 하나 됨, 진리대결, 능력대결을 종합하는 선교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이러한 방법론은 새로운 것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와 초대 교회 사역자들의 모습에 근거한 성경적인 원리에 근거한 것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는 최근 강조되는 영적 대결을 중심으로 한 선교 방법론이 범할 수 있는 일방적인 복음의 선포의 오류를 경계하면서도 선교 현장에서 실재적인 영적 분별력과 영적 대결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이를 위해 영적 대결과 복음의 선포에 앞서 관계의 형성이 우선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그들을 인정하면서 평화 공존을 하려는 것도 아니며 선교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필자는 “성육신적 선교방법”을 통하여 21세기 이슬람 선교의 효과적인 사역이 이루어지기를 소원한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이슬람 신비주의 분파인 메블라나(Mevlana) 종단의 영적 수행방법과 체험을 정리하고 그들이 체험한 영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독교 ...

      이 글의 목적은 이슬람 신비주의 분파인 메블라나(Mevlana) 종단의 영적 수행방법과 체험을 정리하고 그들이 체험한 영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독교 선교의 관점에서 메블레비(Mevlevi)들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의 이슬람 선교에 대한 접근은 전문적인 연구와 접근 방법이 결여된 것이었다. 세계인구의 1/5을 점하는 약 12억의 무슬림들은 언론에 의해서 2025년에 세계인구의 3분의 1에 육박할 전망이라고 보도되었다. 한국 내에서도 다양한 문화적 접근을 통해 이슬람 교인이 성장하여 한국의 무슬림은 이미 약 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그들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성 꾸란 한국어 의미의 번역』뿐만 아니라 모든 공식적인 문서를 통해 “알라”를 “하나님”으로 번역하고 기독교적 용어를 차용하여 비종교인들 뿐만 아니라 기독교인 마저도 미혹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교회에는 아직까지 이슬람과 무슬림을 어떻게 구별하여 사용해야 하는지도 모르는 성도들이 대부분이며 순니와 쉬아가 어떻게 다르며 이슬람 신비주의인 수피즘은 어떻게 다른 것인지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이슬람 정통에 입각한 종단 외에도 다양한 신비주의 종단이 있음을 먼저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슬람 신비주의가 어떤 역사와 사상적, 영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전하였는지 살펴볼 것이다. 특별히 정통 순니파의 사상과 전통을 바탕으로 하는 이슬람에 대한 이해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피주의의 대표적인 종단 중 하나인 메블라나 종단의 사상과 수행방법을 연구하였다. 메블라나 종단은 영적 체험을 추구하는 종교적 열정이 살아있는 종단이다. 이들은 정통 이슬람이 율법과 행위를 중심으로 무미건조한 종교적 색채를 가지고 있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또 서방 세계를 향한 폭력적 저항을 지하드로 규정한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열정과도 다른 종교적 열정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다. 필자는 메블라나 종단에 속한 수행자들의 종교적 열정을 선교적 접촉점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들의 종교적 열정은 존중하되 그들이 체험하는 영적 실체의 정체가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메블라나 종단의 수행자들이 체험하는 영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현장 리서치와 문헌 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특별히 수행을 통해 체험한 영적 경험은 메블라나 종단에 속한 수행자들의 경험을 종합하여 단순화 하였다. 다만 개개인이 다를 수 밖에 없는 영적 체험을 단순한 몇 가지의 범주로 묶은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이 부분은 차후에 더욱 발전된 연구 성과로 보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어서 수행을 통해 체험한 영적 체험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일반적인 종교에서도 영적인 체험이 실재하기 때문에 종교학적 관점의 접근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을 통해서 무슬림을 설득할 수 있기를 원하는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 이슬람의 경전인 성 꾸란과 무함마드의 언행록인 하디스를 바탕으로 영적 실체에 접근하였다. 일반적인 종교학의 시각에서 그들의 영을 설명하는 것 보다는 이슬람 자체의 자료와 시각 을 바탕으로 그들이 체험한 영적 실체를 규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필자는 선교 현장의 사역자들이 이 논문을 통해 이슬람 신비주의에 속한 메블레비들의 영적 문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얻기 원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메블레비들과 접촉하여 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문제점을 알 수 있도록 선교하기를 원한다.
      마지막으로 선교의 방법론에 있어서는 “성육신적 선교방법”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선교 대상자들과의 하나 됨, 진리대결, 능력대결을 종합하는 선교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이러한 방법론은 새로운 것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와 초대 교회 사역자들의 모습에 근거한 성경적인 원리에 근거한 것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는 최근 강조되는 영적 대결을 중심으로 한 선교 방법론이 범할 수 있는 일방적인 복음의 선포의 오류를 경계하면서도 선교 현장에서 실재적인 영적 분별력과 영적 대결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이를 위해 영적 대결과 복음의 선포에 앞서 관계의 형성이 우선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그들을 인정하면서 평화 공존을 하려는 것도 아니며 선교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필자는 “성육신적 선교방법”을 통하여 21세기 이슬람 선교의 효과적인 사역이 이루어지기를 소원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way of spiritual practice and experience in Mevlana sect, to verify the substance which Muslim have experienced and to present an effective way to approach Mevlevi in a christian point of view.
      so far, missionary work to Muslim in korea church has lacked in professional study and way of approach them according to the press, 1. 2 billion people, a fifth of world population will have been a third of it in 20 years. Even in korea, multi-cultural contact has made Muslim spread and korean muslim have been already over 40thousand people. They've translated "Allah" into "God" in not only The Holy Qur'an korean Translation of the meanings and commentary but all of official documents, which has made christians as well as non-religious people captivated. Moreover, most people have still mixed up Islam and Muslim Sunni and Shi'a
      I, therefore, intend to verify that there are so many religious Mysterious sect except Sufism and what historical, ideal and spiritual backgrounds Muslim mysticism has Especially I've chosen Mevlana as a representative of Sufism to cope with the lack of understanding Muslim Mevlana is looking for spiritual experience, while other traditional Muslim sects seek for commandants and act. contrary to others, Mevlana does not mistake a violent resistance to the western for Zihad(holy war). I mean to recognize religious passion of Mevlevi as a missionary contact point.
      This thesis refers to sundry records and also carry out field study, the two ways to explain the spiritual experiences are used; simplicity and their own materials. The spiritual performance of disciple in Mevlana is simplified Even if every individual had different experiences, intense scrutiny of future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this proposition. To persuade Muslim, this thesis approaches to the spiritual existence focused on Holy Qur'an and Hadith. I hope that missionary will have little help to find out the spiritual problem which Mevlevi nave, and to make them understand their own problem.
      Finally, the missionary process of The Incarnational Methods of Mission is presented. It is not totally new but based on biblical principal in jesus christ and the early church It is also pursued not only to take strict precaution against the error of recently take precautions against one-sided proclaiming the Gospel, but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practical spirit assortment and confrontation and to make harmony of them. Most of all, To make relation-ship takes precedence over confrontation and the proclamation of Gospel. I dont mean to coexist with Muslim and what is worse to abandon missionary work. I may have little hope that The Incarnational Methods of Mission will help Muslim mission in 21century
      번역하기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way of spiritual practice and experience in Mevlana sect, to verify the substance which Muslim have experienced and to present an effective way to approach Mevlevi in a christian point of view. so far, missi...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way of spiritual practice and experience in Mevlana sect, to verify the substance which Muslim have experienced and to present an effective way to approach Mevlevi in a christian point of view.
      so far, missionary work to Muslim in korea church has lacked in professional study and way of approach them according to the press, 1. 2 billion people, a fifth of world population will have been a third of it in 20 years. Even in korea, multi-cultural contact has made Muslim spread and korean muslim have been already over 40thousand people. They've translated "Allah" into "God" in not only The Holy Qur'an korean Translation of the meanings and commentary but all of official documents, which has made christians as well as non-religious people captivated. Moreover, most people have still mixed up Islam and Muslim Sunni and Shi'a
      I, therefore, intend to verify that there are so many religious Mysterious sect except Sufism and what historical, ideal and spiritual backgrounds Muslim mysticism has Especially I've chosen Mevlana as a representative of Sufism to cope with the lack of understanding Muslim Mevlana is looking for spiritual experience, while other traditional Muslim sects seek for commandants and act. contrary to others, Mevlana does not mistake a violent resistance to the western for Zihad(holy war). I mean to recognize religious passion of Mevlevi as a missionary contact point.
      This thesis refers to sundry records and also carry out field study, the two ways to explain the spiritual experiences are used; simplicity and their own materials. The spiritual performance of disciple in Mevlana is simplified Even if every individual had different experiences, intense scrutiny of future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this proposition. To persuade Muslim, this thesis approaches to the spiritual existence focused on Holy Qur'an and Hadith. I hope that missionary will have little help to find out the spiritual problem which Mevlevi nave, and to make them understand their own problem.
      Finally, the missionary process of The Incarnational Methods of Mission is presented. It is not totally new but based on biblical principal in jesus christ and the early church It is also pursued not only to take strict precaution against the error of recently take precautions against one-sided proclaiming the Gospel, but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practical spirit assortment and confrontation and to make harmony of them. Most of all, To make relation-ship takes precedence over confrontation and the proclamation of Gospel. I dont mean to coexist with Muslim and what is worse to abandon missionary work. I may have little hope that The Incarnational Methods of Mission will help Muslim mission in 21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 2
      • B.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 = 7
      • C. 연구의 방법과 범위 = 11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 2
      • B.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 = 7
      • C. 연구의 방법과 범위 = 11
      • D. 연구의 한계 = 12
      • Ⅱ. 수피즘(Sufusm) - 이슬람 신비주의(神秘主義) = 14
      • A. 신비주의(神秘主義, Mysticism)의 특징 = 15
      • 1. 신비주의 종교(神秘主義 宗敎)의 범주 = 18
      • 2. 신비주의 종교 (神秘主義 宗敎)의 역사 = 22
      • B. 수피즘(Subusm)의 기원과 형성 = 29
      • 1. “수피(Sufi)” 호칭의 기원 = 30
      • 2. 수피(Sufi)사상 형성의 기원 = 31
      • C. 수피즘의 수행목표(修行目標) = 35
      • D. 수피즘의 수행방법 - 의식(儀式) = 38
      • 1. 디크르 (dhikr) = 40
      • 2. 수흐바 (suhbah) = 42
      • 3. 사마 (sama) = 43
      • Ⅳ. 터키 수피즘의 개괄 = 46
      • A. 터키 수피즘의 역사 = 46
      • B. 메블라나(Mevlana) 종단 = 50
      • 1. 창시자 - 메블라나 잘랄루딘 루미 = 50
      • 2. 메블라나 종단의 특징과 그 위치 = 57
      • C. 메블라나(Mevlana) 종단의 신비수행 실재 = 59
      • 1. 세마춤(Sema Dance)의 수행과정 = 60
      • 2. 세마춤(Mevlana Dance)의 전수와 시행 현황 = 76
      • 3. 세마잔의 부류 = 79
      • Ⅳ. 터키 수피 신비체험의 실체 = 85
      • A. 터키 수피들의 영적 체험 = 85
      • 1. 세마춤을 통한 영적 체험 = 86
      • 2. 신비주의 음악을 통한 영적 체험 = 92
      • B. 꾸란이 말하는 알라와 이슬람의 영 = 95
      • 1. 성령 = 97
      • 2. 천사 = 105
      • 3. 진(Jinn) = 109
      • C. 성경의 영적 체험과 터키 수피의 영적 체험 비교 = 117
      • 1. 성경을 통해 바라본 영적 체험의 현상 = 117
      • 2. 수피들이 체험한 영적 실체 - 신비를 가장한 거짓 영 = 122
      • 3. 기독교인과 수피들의 영적 체험 차이의 원인 = 127
      • Ⅳ. 메블레비에 대한 선교적 접근 = 136
      • A. 준비단계 - 이슬람의 영적 구조 속에서 이해 = 137
      • B. 동화단계 - 현장화를 통한 접근 = 141
      • C. 능력제시 단계 - 능력 대결 (power encounter)= 145
      • D. 진리 제시 단계 - 진리대결(Truth Encounter)을 통한 회심 = 151
      • E. 성육신적 선교 사역의 완성 = 157
      • Ⅶ. 결론 = 159
      • 참고문헌 = 163
      • ABSTRACT = 171
      • 국문 초록 = 1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