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성취기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특수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1202
2023
-
379
KCI등재
학술저널
85-113(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성취기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특수교...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성취기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특수교사 중 음악 교과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는 생활화, 감상, 표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생활화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과 소통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표현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의 요소 중요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실행도는 생활화, 감상, 표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화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의 쓰임 실행도가 가장 높았으며, 표현 영역의 핵심개념 중 음악의 요소 실행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총 94개 중 92개의 성취기준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교사들의 성취기준 실행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 연구 결과는 기본교육과정 음악과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향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usic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p...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usic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music subjects across the country. Results: First, the importance was in the order of habituation, listening, and expression. Teachers recognized the core concept of ‘music and communication’ in ‘habituation’ at most, while they recognized the core concept of ‘elements of music’ in the ‘expression’ at least. Second, the performance was in the order of habituation, listening, and expression. Teachers applied the core concept of ‘use of music’ in ‘habituation’ at most, while they indicated the core concept of ‘element of music’ in the ‘expression’ at least. Third, 92 of the 94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investigate ways to increase teacher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 as well as basic music curriculum.
목차 (Table of Contents)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외적 체제 및 전자저작물 활용에 대한 문헌 분석
그림 동화책을 사용한 대화식 책 읽기 중재가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읽기이해와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카페 운영 프로젝트를 주제로 한 특수학교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키르기스스탄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 ODA(공적개발원조)사업의 수요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