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칠기의 발전과정과 진흥 정책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Korean Lacquew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5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칠기는 일제강점기를 기점으로 진행된 타율적개발정책으로 고유쓰임이 이어지지 못했고, 전통제작기술의 단절과 기술자들의 소멸로 자율적 자리매김을하지 못하였다. 특히 일본수요...

      한국칠기는 일제강점기를 기점으로 진행된 타율적개발정책으로 고유쓰임이 이어지지 못했고, 전통제작기술의 단절과 기술자들의 소멸로 자율적 자리매김을하지 못하였다. 특히 일본수요를 채우기 위한 나전칠기 위주 개발로 칠기 고유의 양식은 소멸되고, 일본형식의 두꺼운 칠에 자개가 화려하게 장식된 나전칠기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한국전쟁시기 옻칠의 대체 도료인 ‘카슈’가 도입되며, 한국칠기는 쇠퇴한다.
      또한 일제강점기 자리 잡은 나전칠기 제작형식은 뒤이은 미군정, 대한민국정부 수립 시기까지 변화 없이유지된다. 이후 추진된 정부의 산업화 정책과 올림픽특수에서도 일제강점기 나전칠기 제작원형은 고수된채 관광기념품으로 개발되며 그 경향은 현재에 이른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정부 및 업계의 칠기의 재인식과 시장 변화가 시작되고, 2010년대 새로운 칠기정책의 착수로 현대 한국 사회의 일상 상품으로의 확산이 기대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칠기의 발전과정과 정부의 진흥정책 및 상품화 동향을 분석하여 현대 일상 상품으로의 확산 가능성을 살펴보고자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lacquerware failed to continue in its proper use as a result of heteronomous development policy enforc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uld not establish itself autonomously due to the discontinuance of traditional production ...

      Korean lacquerware failed to continue in its proper use as a result of heteronomous development policy enforc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uld not establish itself autonomously due to the discontinuance of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and the extinction of its craftsmen. Particularly, the unique style of Korean lacquerware disappear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acquerware revolving around mother-of-pearl lacquerware to meet Japanese demands, and thus was replaced by the style of mother-of-pearl lacquerware richly ornamented with mother-of-pearl in a Japanese-style thick coating of lacquer. During the Korean War, cashew paint, a substitute paint for lacquer, was introduced, and Korean lacquerware further declined. In addition, the mode of fabricating mother-of-pearl lacquerware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maintained intact during the subsequent US military rule and until the formation of ROK government. The original fabrication mode of mother-of-pearl lacquerware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also adhered to in the government’s policy of industrialization promoted afterwards and in face of increased demands during the Olympic Game, and was even developed into tourist souvenirs; and this tendency is still prevalent in these days.
      However, a new understanding of lacquerware among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y and changes in the market began after the 2000s, and a new policy for lacquerware started in the 2010s, and thus the diffusion of Korean lacquerware as everyday life good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expecte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rocess of progress in Korean lacquerware and the trends of the government’s promotion policy and commercialization for Korean lacquerware, thereby investigating the probability of its diffusion as contemporary daily go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정아, "한국 현대 칠공예에 나타난 표현기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 최근호, "조선시대 공예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에 관한연구" 4 : 1999

      3 (주)더나인칼라, "전통옻칠의 규격화, 다양화 및 대량 생산공정 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4 최공호,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연구" 34 : 1989

      5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신(新) 전통문화 육성 진흥연구용역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5

      6 최공호, "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한국 근대 공예사론" 미술문화 2008

      1 강정아, "한국 현대 칠공예에 나타난 표현기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 최근호, "조선시대 공예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에 관한연구" 4 : 1999

      3 (주)더나인칼라, "전통옻칠의 규격화, 다양화 및 대량 생산공정 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4 최공호,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연구" 34 : 1989

      5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신(新) 전통문화 육성 진흥연구용역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5

      6 최공호, "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한국 근대 공예사론" 미술문화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