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강삼매경'의 존삼수일설-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influences of Buddhist Exiles on Jejud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on the theory of preserving the three and guarding the one in Vājrasamādhi Sūtra. The theory consists of three practices: preserving the three liberations,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and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The stages of the access of principle, which is shown in Vājrasamādhi Sūtra,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stages of ten faiths to ten abidings in preserving the three liberations, the stages of ten practices in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and the stages of ten returns in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Firstly, the essence of the preserving three liberations is the state of accomplishing the three liberations: the liberation of space, the liberation of diamond, and the liberation of prajñā. These three liberations can be attained by cultivating the three kinds of wisdom: the wisdom of hearing, the wisdom of thinking, and the wisdom of practicing. And the function of the preserving three liberation means reserving the same mind which is practiced in the state of meditation when the practitioner comes out of the meditation and meets the people and things in the world.
      Secondly, the essence of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is the mind of the aspect of suchness in The Awakening of the Mahāyāna Faith which is famous for the teaching, “One mind has two kinds of aspects: the aspect of suchness and the aspect of arising and ceasing.” And the function of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means keeping always the mind of aspect of suchness or the middle way (mādhyamika) which is the essence of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in the state of meditation or in the middle of the world.
      Thirdly, the essence of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is the state of no mind of discrimination, which divides right things with wrong things and splits this things with that things, which can be seen easily in the ordinary people’s mind. And the function of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means activities that the practitioner don’t stay in having the one mark even though finding the middle way in the state of meditation and don’t gain or lose the one mark even though enlightening the ordinary people out of the medit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s on the theory of preserving the three and guarding the one in Vājrasamādhi Sūtra. The theory consists of three practices: preserving the three liberations,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and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

      This paper studies on the theory of preserving the three and guarding the one in Vājrasamādhi Sūtra. The theory consists of three practices: preserving the three liberations,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and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The stages of the access of principle, which is shown in Vājrasamādhi Sūtra,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stages of ten faiths to ten abidings in preserving the three liberations, the stages of ten practices in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and the stages of ten returns in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Firstly, the essence of the preserving three liberations is the state of accomplishing the three liberations: the liberation of space, the liberation of diamond, and the liberation of prajñā. These three liberations can be attained by cultivating the three kinds of wisdom: the wisdom of hearing, the wisdom of thinking, and the wisdom of practicing. And the function of the preserving three liberation means reserving the same mind which is practiced in the state of meditation when the practitioner comes out of the meditation and meets the people and things in the world.
      Secondly, the essence of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is the mind of the aspect of suchness in The Awakening of the Mahāyāna Faith which is famous for the teaching, “One mind has two kinds of aspects: the aspect of suchness and the aspect of arising and ceasing.” And the function of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means keeping always the mind of aspect of suchness or the middle way (mādhyamika) which is the essence of guarding the one mind of suchness in the state of meditation or in the middle of the world.
      Thirdly, the essence of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is the state of no mind of discrimination, which divides right things with wrong things and splits this things with that things, which can be seen easily in the ordinary people’s mind. And the function of accessing the tathāgathadhyāna means activities that the practitioner don’t stay in having the one mark even though finding the middle way in the state of meditation and don’t gain or lose the one mark even though enlightening the ordinary people out of the medi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금강삼매경』의 핵심 가르침 중의 하나인 ‘존삼수일설’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입실제품」에 등장하는 존삼수일설은 모두 ‘존삼해탈’, ‘수일심여’, ‘입여래선’의 3가지 수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이입(理入)이라고 하는 『금강삼매경』의 수행단계에 해당되는데, 존삼해탈은 십신에서 십주까지, 수일심여는 십행, 입여래선은 십회향에 각각 배당되는 정교한 수행체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존삼해탈(存三解脫)’의 체(體)인 ‘세 가지 해탈[三解脫]’이란, 문혜(聞慧), 사혜(思慧), 수혜(修慧)이라는 세 가지 지혜를 닦아서, 그 결과 허공해탈(虛空解脫), 금강해탈(金剛解脫), 반야해탈(般若解脫)이라는 세 가지 해탈을 성취하는 것이다. 또한, ‘존삼해탈’의 용(用)인 ‘간직한다[存]’는 것은, 선정에서 나와 세상일을 마주 대했을 때에도 선정에서 닦은 그 마음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수일심여(守一心如)’의 체(體)인 ‘한 마음의 진여[一心如]’란 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일심법의 2가지 법 중에서 심생멸문이 아닌 심진여문(心眞如門)을 가리킨다. 또한, ‘수일심여’의 용(用)인 ‘지킨다[守]’란 수행자가 선정에 들어있거나 선정에서 나오거나 할 것 없이 수일심여의 체인 ‘심진여문’ 혹은 ‘중도(中道)’를 가슴에 항상 담아두고 지키는 것을 말한다.
      셋째, ‘입여래선(入如來禪)’의 체(體)인 ‘이관삼매(理觀三昧)’란 무엇이 옳다거나 그르다거나 하는 분별심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입여래선’ 용(用)인 ‘관(觀)’이란 선정에 들어가 진제를 관찰하여 참모습을 관조하더라도 중도라는 하나의 상에 머물지 않고, 선정 밖으로 나와 속제를 관찰하여 중생을 교화하더라도 얻거나 잃음이 없는 활동을 말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금강삼매경』의 핵심 가르침 중의 하나인 ‘존삼수일설’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입실제품」에 등장하는 존삼수일설은 모두 ‘존삼해탈’, ‘수일심여’, ‘입여래선’의 3...

      본고는 『금강삼매경』의 핵심 가르침 중의 하나인 ‘존삼수일설’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입실제품」에 등장하는 존삼수일설은 모두 ‘존삼해탈’, ‘수일심여’, ‘입여래선’의 3가지 수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이입(理入)이라고 하는 『금강삼매경』의 수행단계에 해당되는데, 존삼해탈은 십신에서 십주까지, 수일심여는 십행, 입여래선은 십회향에 각각 배당되는 정교한 수행체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존삼해탈(存三解脫)’의 체(體)인 ‘세 가지 해탈[三解脫]’이란, 문혜(聞慧), 사혜(思慧), 수혜(修慧)이라는 세 가지 지혜를 닦아서, 그 결과 허공해탈(虛空解脫), 금강해탈(金剛解脫), 반야해탈(般若解脫)이라는 세 가지 해탈을 성취하는 것이다. 또한, ‘존삼해탈’의 용(用)인 ‘간직한다[存]’는 것은, 선정에서 나와 세상일을 마주 대했을 때에도 선정에서 닦은 그 마음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수일심여(守一心如)’의 체(體)인 ‘한 마음의 진여[一心如]’란 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일심법의 2가지 법 중에서 심생멸문이 아닌 심진여문(心眞如門)을 가리킨다. 또한, ‘수일심여’의 용(用)인 ‘지킨다[守]’란 수행자가 선정에 들어있거나 선정에서 나오거나 할 것 없이 수일심여의 체인 ‘심진여문’ 혹은 ‘중도(中道)’를 가슴에 항상 담아두고 지키는 것을 말한다.
      셋째, ‘입여래선(入如來禪)’의 체(體)인 ‘이관삼매(理觀三昧)’란 무엇이 옳다거나 그르다거나 하는 분별심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입여래선’ 용(用)인 ‘관(觀)’이란 선정에 들어가 진제를 관찰하여 참모습을 관조하더라도 중도라는 하나의 상에 머물지 않고, 선정 밖으로 나와 속제를 관찰하여 중생을 교화하더라도 얻거나 잃음이 없는 활동을 말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木村宣彰, "金剛三昧經の眞僞問題" 18 (18): 1976

      2 이정희, "원효의 실천수행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3 박태원,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읽기" 세창미디어 2014

      4 이병학, "역사 속의 원효와 『금강삼매경론』" 혜안 2017

      5 김영태, "신라에서 이룩된 금강삼매경"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5 : 1988

      6 조윤경, "법랑(法朗)의 ‘상즉(相卽)’ 개념" 불교학연구회 50 : 145-172, 2017

      7 박성배, "몸과 몸짓의 논리" 민음사 2007

      8 "金剛三昧經論(韓佛全1)"

      9 柳田聖山, "金剛三昧經の硏究" 3 : 1993

      10 "金剛三昧經(大正藏9)"

      1 木村宣彰, "金剛三昧經の眞僞問題" 18 (18): 1976

      2 이정희, "원효의 실천수행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3 박태원,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읽기" 세창미디어 2014

      4 이병학, "역사 속의 원효와 『금강삼매경론』" 혜안 2017

      5 김영태, "신라에서 이룩된 금강삼매경"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5 : 1988

      6 조윤경, "법랑(法朗)의 ‘상즉(相卽)’ 개념" 불교학연구회 50 : 145-172, 2017

      7 박성배, "몸과 몸짓의 논리" 민음사 2007

      8 "金剛三昧經論(韓佛全1)"

      9 柳田聖山, "金剛三昧經の硏究" 3 : 1993

      10 "金剛三昧經(大正藏9)"

      11 김진무, "道信禪師의 禪思想과 그 意義" 불교문화연구원 (42) : 141-170, 2005

      12 "觀無量壽佛經疏(大正藏37)"

      13 "菩薩瓔珞本業經(大正藏24)"

      14 水野弘元, "菩提達摩の二入四行說と金剛三昧經" 13 : 1955

      15 "維摩經玄疏(大正藏38)"

      16 남동신, "新羅中代佛敎의 성립에 관한 연구 -금강삼매경과 금강삼매경론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1 : 1998

      17 "摩訶止觀(大正藏46)"

      18 "大乘四論玄義記(續藏經46)"

      19 柳田聖山, "初期禪宗史書の硏究" 禪文化硏究所 1967

      20 "二諦義(大正藏45)"

      21 석길암, "『金剛三昧經』의 성립과 유통에 대한 재고" 보조사상연구원 31 : 77-125, 2009

      22 Buswell, Robert. E, "The Formation of Ch'an Ideology in China and Korea; The Vajrasamadhi-Sutra, a Buddhist Apocryph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23 Walter, Liebenthal, "Notes on the ‘Vajrasamadhi'" 42 : 19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8 1.0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