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ek Yong-seong(白龍城), the Most Venerable Master, was a high priest during the modern times, advocating Seon-Nong Buddhism(禪農佛敎) for the independence of the people and the reform of Buddhism and established Hwagwawon(華果院) at Mt. Ba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02069
이재수 (동국대학교)
2017
Korean
백용성 ; 화과원 ; 대각교 ; 대각회 ; 선농불교 ; 혁신불교 ; 불교개혁 ; 민족불교 ; 불교문화콘텐츠 ; 문화관광 ; 백용성 대종사 총서 ; Baek Yong-seong ; Hwagwawon ; Daegakgyo ; Daegakhoi ; Seon-Nong Buddhism ; Innovation Buddhism ; Buddhist Reformation ; Ethnic Buddhism ; Buddhist cultural contents ; Cultural Tourism ;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KCI등재
학술저널
129-168(4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ek Yong-seong(白龍城), the Most Venerable Master, was a high priest during the modern times, advocating Seon-Nong Buddhism(禪農佛敎) for the independence of the people and the reform of Buddhism and established Hwagwawon(華果院) at Mt. Bae...
Baek Yong-seong(白龍城), the Most Venerable Master, was a high priest during the modern times, advocating Seon-Nong Buddhism(禪農佛敎) for the independence of the people and the reform of Buddhism and established Hwagwawon(華果院) at Mt. Baekwoon in Hamyang. He did both labor and training there and used the income to fulfill self-sufficiency and even send money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for the independence fund. In addition, it was Hwagwawon that he wrote many of his books and developed the Daegakgyo(大覺敎) Movement.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the development and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for Hwagwawon to enhance his spirit and value inherent in it. Cultural tourism was thus examined along with measures to promote Hwagwawon's educational and complex uses. These discussions were based on the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Daegakhoi(大覺會) and the Academy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to identify, examine, and collect writings and translated works by Baek Yong-seong and sort them out according to an academic system. His writings and materials were interpreted and arranged in Korean and put together in a series called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whose publication and computerization are part of the project's achievements.
The investigator proposed three prerequisites for the development of Hwagwawon's cultural Contents, and they are total digitalization, establishment of complex information about Baek and his Hwagwawon, and analysis and reprocessing of source materials. The value chain for the development of its Contents covered the creation of an “archive of Hwagwawon's source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its restoration,” and the utilization of Contents to experience, teach, and use its values.
The utilization plans of its Contents were mainly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ing Hwagwawon and local culture and in the scope and direction of utilizing the cultural tourism sector. The discussion results show that the cultural Contents of Hwagwawon holds value as a representative brand of the local culture and has the potential of creating derivative Contents through its complex utilization in the future.
Hwagwawon will hopefully be designated as a National Historic Site and established as a local brand through more advanced discussions and joint operations.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ts cultural Contents are expected fit for its historic value as the cradle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ts religious value as the venue of Seon-Nong Buddhism and reform of Buddhism, and its value as complex cultural space to publish various books and literary works including the Avatamska Sutra.
국문 초록 (Abstract)
백용성 대종사는 근대시기의 고승으로 민족독립과 혁신불교를 실현하기 위해 선농불교를 주창하고 함양의 백운산에 화과원을 세웠다. 이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함께하고 자급자족을 넘어...
백용성 대종사는 근대시기의 고승으로 민족독립과 혁신불교를 실현하기 위해 선농불교를 주창하고 함양의 백운산에 화과원을 세웠다. 이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함께하고 자급자족을 넘어서 상해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을 보냈다. 여기에서 수많은 저술을 남기고 대각교 운동을 펼쳤다.
본 논의는 화과원에 담긴 백용성의 정신과 가치를 드높이기 위하여, 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관광과 교육 및 복합적인 활용 방안을 고민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바탕에는 백용성이 남긴 자료와 저술 및 번역서를 발굴, 조사 수집하고, 학술적 체계를 통해 정리한 대각회와 동국대 불교학술원의 협력 사업이 뒷받침되었다. 백용성의 저술과 자료를 우리말로 풀어서 정리하여 총서로 망라한 『백용성 대종사 총서』의 발간과 전산화 사업의 성과가 자리 잡고 있다.
논자는 화과원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 전적의 디지털화, 백용성과 화과원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의 구축, 원천자료의 분석과 재가공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화과원 콘텐츠의 개발을 위한 가치사슬을 첫째, ‘화과원 원천자료 아카이브’ 구축, 둘째, ‘화과원 복원 콘텐츠’의 개발과 셋째, 화과원의 가치를 체험하고, 교육하며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활용으로 정리하였다.
화과원 콘텐츠의 활용방안으로 크게 화과원의 지역문화브랜딩의 관점과 문화관광 분야의 활용의 범위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화과원 문화콘텐츠가 지역문화의 대표적 브랜드로 가치가 있으며, 복합적인 활용을 통한 향후 파생 콘텐츠 창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향후 보다 진전된 논의와 공동의 작업을 통해 화과원이 국가사적지로 지정되어 지역브랜드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또한 화과원에 담긴 민족독립운동의 산실이라는 역사적 가치와 선농불교와 불교혁신의 수행처라는 종교적인 가치, 나아가 화엄경을 비롯한 다양한 저술과 문학의 산실이라는 복합적 문화공간으로서의 가치에 맞는 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63) : 1980
2 김달진, "화과원시"
3 윤선효, "화과원과 용성스님의 항일운동"
4 김기훈, "항일 불교운동의 주역… ‘백용성 대종사 총서’ 발간"
5 김영, "함양 백운산 용성스님 화과원 복원, 독립운동 전진기지 선농불교 정립"
6 한보광, "총목차 및 색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7 백용성, "청공원일(晴空圓日)"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8 류정아,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이론과 실제 - 축제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8) : 39-57, 2006
9 고석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사례" 인문콘텐츠학회 (8) : 109-125, 2006
10 백승국,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 연구 -호남지역 문화유산브랜딩에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2) : 217-248, 2008
1 조용명, "老師의 雲水시절" (63) : 1980
2 김달진, "화과원시"
3 윤선효, "화과원과 용성스님의 항일운동"
4 김기훈, "항일 불교운동의 주역… ‘백용성 대종사 총서’ 발간"
5 김영, "함양 백운산 용성스님 화과원 복원, 독립운동 전진기지 선농불교 정립"
6 한보광, "총목차 및 색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7 백용성, "청공원일(晴空圓日)"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8 류정아,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이론과 실제 - 축제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8) : 39-57, 2006
9 고석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사례" 인문콘텐츠학회 (8) : 109-125, 2006
10 백승국,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 연구 -호남지역 문화유산브랜딩에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2) : 217-248, 2008
11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원형 활용 콘텐츠 개발 시범 사업 보고서 -종교문화원형 활용 콘텐츠 성공사례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12 백용성, "저술과 번역에 대한 연기, 조선글 화엄경(2)"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야기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14 한상길, "유물로 보는 봉암 월주의 생애" 대각사상연구원 (26) : 183-233, 2016
15 한보광, "원효대사 다장르 스토리뱅크의 기획과 제작" 동국대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11 : 2009
16 "용성총서 7(신발굴자료)"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7 동산혜일, "용성선사어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8 이재수, "삼화사 국행수륙대재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한국정토학회 22 : 243-273, 2014
19 김달진, "산거일기" 세계사 1990
20 김광식, "백용성의 유적지 복원과 도솔암의 미래" 대각사상연구원 (12) : 207-236, 2009
21 심두섭, "백용성을 방문하고" (89) : 1933
22 김광식, "백용성 연구" 동국대출판부 2017
23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백용성 대종사 총서 의 출간과 데이터 베이스시스템 구축"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18 : 2016
24 이춘근,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25 김의숙, "문학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역락 2005
2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문화유산영상관 전시운영방안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2013
27 유경훈, "독립운동 자금줄 역할 했던 함양 화과원, 사적지 ‘도전장’"
28 김광식, "華果院과 백용성, 수법제자의 재인식 - 이선파와 변봉암을 중심으로 -" 대각사상연구원 (26) : 111-144, 2016
29 이수창, "白龍城의 禪農佛敎에 대한 再照明 - 교단사적 측면을 중심으로 -" 대각사상연구원 (23) : 65-94, 2015
30 백승균, "‘홍성역사인물축제’ 지역축제 부문 수상"
31 Kearns, G., "Selling Places: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 Pergamon Press 1993
32 The Collections Trust, "Mapping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heritage sector"
33 선우도량, "22인의 증언을 통해 본 근현대 불교사" 선우도량 한국불교근현대사연구회 2002
34 이재수, "'백용성 대종사 총서' 발간 경위와 성격" 대각사상연구원 (27) : 9-50, 2017
백용성의 만주 대각교 농장과 함양 화과원- 독립운동 자금지원과 독립운동 근거지에 대하여 -
불이성 법륜사(不二城 法輪寺)와 현대포교– 대륜세영(大輪世榮) 대종사를 중심으로-
'금강삼매경'의 존삼수일설-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48 | 1.0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