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自警編』의 수용 및 간행 판본 연구 = The Acceptance Patterns of the Jagyungpyun and the Editions Publishe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9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국 宋나라에서 편찬되고 간행된 여러 서적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많이 읽히고, 간행의 빈도가 잦았던 판본들에 대한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自警...

      이 연구는 중국 宋나라에서 편찬되고 간행된 여러 서적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많이 읽히고, 간행의 빈도가 잦았던 판본들에 대한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自警編』의 편찬 및 중국 간행 사실에 관한 역사적인 배경과 관련 기록을 살펴보고, 더불어 중국에 전존하는 판본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후 판본의 유통 정황에 대한 기록을 사료에 따라 통시적으로 검토하고, 전존본의 간행 계통 및 판본의 서지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이 같은 연구의 결과 『自警編』은 조선 초기 초주갑인자로 간행된 이후 17세기 말까지 꾸준한 빈도로 간행되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7세기 이후에는 朴世采의 증보판 『自警編』으로 알려진 『新修自警編』이 그 수요를 대변하면서, 官이나 私家를 막론하고 주로 유통되었던 정황을 알 수 있었다. 물론, 판본으로 간행되지는 않았으나, 조선 후기 私家를 중심으로 『自警編』의 편제를 모방하여 우리나라의 사례로 본문을 채운 후속 저술들도 속속 등장하고 유통되기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tried as a part of a series of books which have been widely read in Korea and published frequently in publishing and publishing in Song Dynasty. From this point of view, we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lated records of ...

      This study has been tried as a part of a series of books which have been widely read in Korea and published frequently in publishing and publishing in Song Dynasty. From this point of view, we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lated records of the compilation of Jagyungpyun and the facts of publishing in China,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versions existing in China. Then, the records of the publication of the version after the influx into Korea were examined by the feed, an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ing system and the version of the previous vers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Jagyungpyun was published at the steady frequency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fter it was published as the beginning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fter the 17th century, the Shinsujagyungpyun, which is known as Jagyungpyun edition of Park Se –chae, represented the demand, and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ituation that was mainly distributed to the public. Of course, it was not published as a version, but the follow-up writings that filled the text with the example of our country appeared one after the o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柳鐸一, "?朱子書節要?의 編纂 流通과 朴光前의 位置" 퇴계연구소 (32) : 97-134, 2003

      2 한국서지학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日本國立公文書館 內閣文庫 韓國本 目錄" 한국서지학회 1998

      3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日本 尊經閣文庫 所藏 韓國本" 同연구소 2006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日本 宮內廳 書陵部 韓國本目錄" 同연구소 2001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6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7 "한국고전적종합목록 시스템"

      8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9 윤병태, "조선후기 활자와 책" 범우사 1992

      10 리철화, "조선출판문화사" 사회과학출판사 1995

      1 柳鐸一, "?朱子書節要?의 編纂 流通과 朴光前의 位置" 퇴계연구소 (32) : 97-134, 2003

      2 한국서지학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日本國立公文書館 內閣文庫 韓國本 目錄" 한국서지학회 1998

      3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日本 尊經閣文庫 所藏 韓國本" 同연구소 2006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 日本 宮內廳 書陵部 韓國本目錄" 同연구소 2001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6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7 "한국고전적종합목록 시스템"

      8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9 윤병태, "조선후기 활자와 책" 범우사 1992

      10 리철화, "조선출판문화사" 사회과학출판사 1995

      11 우정임, "조선전기 성리서의 간행과 유통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12 옥영정, "조선 使臣의 중국서적 수집활동과 그 현존자료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서지학회 (61) : 5-29, 2015

      13 유탁일, "영남지방 현존목활자와 그 인쇄용구" (3) : 31-56, 1979

      1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16 옥영정, "국내 현존 宋․元本의 조사와 書誌的 분석" 한국서지학회 (52) : 249-293, 2012

      17 윤상기, "경남 함안의 서원판본에 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44) : 301-330, 2009

      18 南權熙,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淸州古印刷博物館 2002

      19 "高麗史"

      20 鄭亨愚, "韓國의 冊板目錄" 保景文化社 1995

      21 尹炳泰, "韓國書誌年表" 韓國圖書館協會 1972

      22 모리스 꾸랑, "韓國書誌" 一潮閣 1994

      23 金斗鐘, "韓國古印刷技術史" 探求堂 1980

      24 千惠鳳, "韓國典籍印刷史" 汎友社 1990

      25 靜嘉堂文庫, "靜嘉堂文庫宋元版圖錄 2冊(圖版篇․解題篇)" 汲古書院 1992

      26 周寶榮, "走向大衆: 宋代的出版轉型" 中國書籍出版社 2012

      27 中國國家圖書館, "第一․二․三批 國家珍貴古籍名錄圖錄 26冊" 國家圖書館出版社 2012

      28 黑田亮, "朝鮮舊書考" 岩波書店 1940

      29 "朝鮮王朝實錄"

      30 조정화, "朝鮮朝後期 嶺南官板本에 관한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6

      31 배현숙, "朝鮮朝 書堂의 書籍 刊行과 收藏에 관한 硏究" 한국서지학회 (35) : 5-40, 2006

      32 金澤庄三郞, "朝鮮書籍目錄" 成進文化社 1976

      33 張伯偉, "朝鮮時代書目叢刊" 中華書局 2004

      34 釋尾春芿, "朝鮮古書目錄" 朝鮮古書刊行會 1911

      35 "日省錄"

      36 沈㬂俊, "日本訪書志"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37 "新增東國輿地勝覽"

      38 "承政院日記"

      39 長澤規矩也, "宋元版の硏究" 汲古書院 1983

      40 李明杰, "宋代版本學硏究" 齊魯書社 2006

      41 田建平, "宋代書籍出版史硏究" 河北大學大學院 2012

      42 楊玲, "宋代出版文化" 文物出版社 2012

      43 周寶榮, "宋代出版史硏究" 中州古籍出版社 2003

      44 張麗娟, "宋代儒家經書版本的文本類型" 12 (12): 59-62, 2013

      45 "增補文獻備考"

      46 前間恭作, "古鮮冊譜 第一冊-第三冊" 東洋文庫 1944

      47 羅偉國, "古籍版本題記索引" 上海書店出版 1991

      48 李致忠, "古籍版本學槪論" 書目文獻出版社 1990

      49 "內閣日曆"

      50 千惠鳳, "內閣文庫의 한국고활자본에 대하여" (3) : 39-81, 1970

      51 任繼愈, "中國版本文化叢書-宋本" 江芬古籍出版社 2002

      52 姚伯岳, "中國圖書版本學" 북경대학출판사 2004

      53 工藤一郞, "中國圖書文獻史攷" 明治書院 2006

      54 曹之, "中國古籍編撰史" 武漢大學出版社 2015

      55 曹之, "中國古籍版本學" 武漢大學出版社 2015

      56 羅樹寶, "中國古代圖書印刷史" 岳麓書社 2008

      57 張秀民, "中國印刷史Ⅰ․Ⅱ" 浙江古籍出版社 2006

      58 李瑞良, "中國出版編年史" 福州人民出版社 2004

      59 李致忠, "中國典籍史" 上海人民出版社 2004

      60 久保田量遠, "中國儒道佛三敎史論" 國書刊行會 1986

      61 趙吉惠, "中國儒學史 1・2・3" 신원문화사 1997

      62 "三國遺事"

      63 "三國史記"

      64 옥영정, "「竹溪志」의 編纂과 版本에 관한 書誌的 硏究" 한국서지학회 (31) : 297-322,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KCI등재
      2019-03-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
      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1.1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