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f potable water supply in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39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user’s satisfaction for the present potable water supply to improve the service of the government in delivering potable water supply in the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Satisfaction level by different water sources in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were analyzed through a collected survey data from 307 households. The main water sources are National Water Supply and Drainage Board piped water, ground water, and Community Base Organization piped water. For the quantified user satisfaction, five user satisfaction factors were considered: ① the quality of water, ② the quantity of water, ③ the availability of water, ④ the technical reliability, and ⑤ the accessibility and financial affordability.
      The surve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water quantity factor it showed a very influential result on the level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Water Supply and Drainage Board piped water supply and amongst the source of water supply this attains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for factors of quality,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water source shows a great influential on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the ground water source. For the fact that Ground water sources are not under any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nd is free of charge. With this government need a great attention to a more policy discussions in developing a systematic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Third, for the factor on quality and quantity of water the influential results shows in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the Community Base Organization piped water supply. The result shows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 to enhance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water supply quality and create some guidelines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enhance water quantity through an in-depth policy discuss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user’s satisfaction for the present potable water supply to improve the service of the government in delivering potable water supply in the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Satisfaction level by different water sources in...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user’s satisfaction for the present potable water supply to improve the service of the government in delivering potable water supply in the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Satisfaction level by different water sources in Western Province of Sri Lanka were analyzed through a collected survey data from 307 households. The main water sources are National Water Supply and Drainage Board piped water, ground water, and Community Base Organization piped water. For the quantified user satisfaction, five user satisfaction factors were considered: ① the quality of water, ② the quantity of water, ③ the availability of water, ④ the technical reliability, and ⑤ the accessibility and financial affordability.
      The surve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water quantity factor it showed a very influential result on the level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Water Supply and Drainage Board piped water supply and amongst the source of water supply this attains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for factors of quality,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water source shows a great influential on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the ground water source. For the fact that Ground water sources are not under any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nd is free of charge. With this government need a great attention to a more policy discussions in developing a systematic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Third, for the factor on quality and quantity of water the influential results shows in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the Community Base Organization piped water supply. The result shows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 to enhance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water supply quality and create some guidelines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enhance water quantity through an in-depth policy discu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식수는 인간의 필수품이다. 식수의 부족은 사회적 안녕뿐 아니라 국가경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스리랑카의 연안 지역은 식수 공급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또한, 인간의 행위으로 인한 수질 저하는 스리랑카의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식수공급체계에 대한 사용자 불만을 사왔다. 본 연구는 스리랑카 서부 지방의 식수공급에 대한 정부의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의 식수 공급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리랑카 서부지방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식수원은 307개 가구에서 수집한 1차 데이터를 통해 분석했다. 주요 식수원은 수자원국(National Water Supply & Drainage Board, NWSDB)의 공공용수 수도관, 지하수, 지역활동 시민단체(Communication Base Organizations, CBOs)의 수도관이었다. 사용자 만족도의 정량화를 위해 수량, 수질, 가용성, 기술적 안정성, 접근성 및 가격 적정성의 다섯가지 만족 요인을 고려했다.
      수량은 수자원국의 공공용수 공급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 두 가지가 급수원 중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로 수질, 수자원 가용성, 접근성에 있어서는 지하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지하수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지만 무료이기 때문인데, 이 점을 고려할 때 정부는 체계적인 지하수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정책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수질과 수량에 있어서는 지역활동 시민단체의 수도관에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 결과에 따르면 정부는 수질에 관한 최소 요건을 세우고 수질개선을 위한 지침을 두며 심도 깊은 정책 토론을 통해 수량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식수는 인간의 필수품이다. 식수의 부족은 사회적 안녕뿐 아니라 국가경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스리랑카의 연안 지역은 식수 공급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

      식수는 인간의 필수품이다. 식수의 부족은 사회적 안녕뿐 아니라 국가경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스리랑카의 연안 지역은 식수 공급원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또한, 인간의 행위으로 인한 수질 저하는 스리랑카의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식수공급체계에 대한 사용자 불만을 사왔다. 본 연구는 스리랑카 서부 지방의 식수공급에 대한 정부의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의 식수 공급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리랑카 서부지방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식수원은 307개 가구에서 수집한 1차 데이터를 통해 분석했다. 주요 식수원은 수자원국(National Water Supply & Drainage Board, NWSDB)의 공공용수 수도관, 지하수, 지역활동 시민단체(Communication Base Organizations, CBOs)의 수도관이었다. 사용자 만족도의 정량화를 위해 수량, 수질, 가용성, 기술적 안정성, 접근성 및 가격 적정성의 다섯가지 만족 요인을 고려했다.
      수량은 수자원국의 공공용수 공급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 두 가지가 급수원 중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로 수질, 수자원 가용성, 접근성에 있어서는 지하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지하수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지만 무료이기 때문인데, 이 점을 고려할 때 정부는 체계적인 지하수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정책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수질과 수량에 있어서는 지역활동 시민단체의 수도관에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 결과에 따르면 정부는 수질에 관한 최소 요건을 세우고 수질개선을 위한 지침을 두며 심도 깊은 정책 토론을 통해 수량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1
      • 1.2 Problem of statement 4
      • 1.3 Present policies and legal framework 6
      • 1.4 Objective of research 12
      •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1
      • 1.2 Problem of statement 4
      • 1.3 Present policies and legal framework 6
      • 1.4 Objective of research 12
      • 1.5 Research questions 12
      • 1.6 Scope of research 13
      • 1.7 Research methodology 13
      • 2. LITERATURE REVIEW 16
      • 2.1 Key concerns of user satisfaction of potable water supply 22
      • 2.1.1 User Satisfaction 22
      • 2.1.2 Potable Water Supply 24
      • 2.3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25
      • 3. SURVEY METHOD 35
      • 3.1 Sampling, survey and data collection 36
      • 4. DATA ANALYSIS 40
      • 5. RESULTS AND DISCUSSION 43
      • 5.1 Multivariate models for perception of user satisfaction 43
      • 5.1.1 Overall satisfaction by water source 43
      • 5.1.2 NWSDB piped water supply 45
      • 5.1.3 Ground Water Source 51
      • 5.1.4 CBO piped water supply 57
      • 5.2 Summary of results 63
      • 6.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66
      • BIBLIOGRAPHY 69
      • APPENDIX 76
      • APPENDIX A STATISTICS OF SRI LANKA WATER SUPPLY 76
      • APPENDIX B SURVEY QUESTIONNAIRE 77
      • APPENDIX 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NWSDB PIPE WATER SUPPLY 82
      • APPENDIX 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GROUND WATER SOURCE 89
      • APPENDIX 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CBO WATER SOURCE 102
      • ABBREVIATIONS 109
      • 초록 110
      • ACKNOWLEDGEMENT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