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課農小抄 異本 교감과 정본화 작업의 성과와 의미 = Achievement and meaning of correcting differences of different versions of ‘Gwanongsocho 課農小抄 ’ and making trustworthy ed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3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課農小抄 는 朴趾源(1737~1805)이 沔川郡守로 재직하고 있던 1799 년(正祖 23)에 正祖의 綸音에 따라 지은 農書이다. 박지원은 기존에 있던 국내와 중국의 다양한 農書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연한 체제로 정리하 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課農小抄 를 저술했다. 여기에 한전론적 토지 개혁안을 담은 <限民名田議>를 부록으로 붙여 정조에게 올렸다. 따라서 課農小抄 는 박지원의 실학사상과 조선 후기 農學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책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課農小抄 연구와 번역의 기본 텍스트였던 朴榮喆本 燕巖集 은 원문 판독이나 인쇄 과정에서 발생한 錯誤와 脫 落이 많았다. 이에 課農小抄 異本 校勘과 定本化 작업은 課農小抄 연구와 번역의 토대를 혁신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課農小抄 이본 교감 및 정본화 작업은 박영철본 燕巖集 의 권 16~17에 수록되어 있는 課農小抄 를 저본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박지원이 沔川郡守로 근무하던 시절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家藏本 沔陽雜錄 의 책3과 책4에 수록된 課農小抄 관련 내용들과 우선 교감 작업을 시행한 후, 기타 7종의 이본들과 교감 작업을 시행했다. 정본화하는 과정에서는 무엇보다도 박지원이 참고했던 국내와 중국 農書와의 비교에 집중했다. 이과정에서 저본의 글자 수정 臺本으로 명나라 말기의 학자인 徐光啓(1562~ 1633)의 農政全書 를 적극 참고했다. 서광계의 農政全書 는 조선 후기 문인들이 농업 연구를 할 때 필수적으로 참고했는데, 박지원의 課農小抄 또한 農政全書 의 체재와 내용을 적극 참고했기 때문이다. 課農小抄 이본 교감과 정본화 작업의 의의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박영철본 課農小抄 에는 없던 자료를 보완해서 완전한 체재를 갖추었다. 정본화 작업을 통해 沔陽雜錄 책3에 수록되어 있는 <群書目>과 沔陽 雜錄 책4에 수록되어 있는 두 편의 <限民名田議>가 새롭게 보충되었다. 둘째, 저본의 誤字를 수정하고 脫字를 보충했다. 정본화 작업을 통해 저본인 박영철본 課農小抄 중에서 문맥, 농법 설명, 농기구 용어, 농작물 용어, 숫자 표기, 박지원의 評 부분에 관한 각종 誤字를 수정하고 脫字를 보충 했다. 셋째, 박영철본 課農小抄 를 저본으로 삼았던 기존 번역서의 오류를 수정하고, 課農小抄 의 완역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課農小抄 이본 교감과 정본화 작업은 課農小抄 의 문헌학적 정리와 교감의 문제를 해결하고, 課農小抄 의 내용과 사상을 새롭게 조명하고 그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나아가서 박지원의 농학과 실학사상을 이해하고, 역사학계・경제학계 등과의 학제간 연구를 촉진하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課農小抄 는 朴趾源(1737~1805)이 沔川郡守로 재직하고 있던 1799 년(正祖 23)에 正祖의 綸音에 따라 지은 農書이다. 박지원은 기존에 있던 국내와 중국의 다양한 農書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

      課農小抄 는 朴趾源(1737~1805)이 沔川郡守로 재직하고 있던 1799 년(正祖 23)에 正祖의 綸音에 따라 지은 農書이다. 박지원은 기존에 있던 국내와 중국의 다양한 農書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연한 체제로 정리하 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課農小抄 를 저술했다. 여기에 한전론적 토지 개혁안을 담은 <限民名田議>를 부록으로 붙여 정조에게 올렸다. 따라서 課農小抄 는 박지원의 실학사상과 조선 후기 農學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책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課農小抄 연구와 번역의 기본 텍스트였던 朴榮喆本 燕巖集 은 원문 판독이나 인쇄 과정에서 발생한 錯誤와 脫 落이 많았다. 이에 課農小抄 異本 校勘과 定本化 작업은 課農小抄 연구와 번역의 토대를 혁신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課農小抄 이본 교감 및 정본화 작업은 박영철본 燕巖集 의 권 16~17에 수록되어 있는 課農小抄 를 저본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박지원이 沔川郡守로 근무하던 시절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家藏本 沔陽雜錄 의 책3과 책4에 수록된 課農小抄 관련 내용들과 우선 교감 작업을 시행한 후, 기타 7종의 이본들과 교감 작업을 시행했다. 정본화하는 과정에서는 무엇보다도 박지원이 참고했던 국내와 중국 農書와의 비교에 집중했다. 이과정에서 저본의 글자 수정 臺本으로 명나라 말기의 학자인 徐光啓(1562~ 1633)의 農政全書 를 적극 참고했다. 서광계의 農政全書 는 조선 후기 문인들이 농업 연구를 할 때 필수적으로 참고했는데, 박지원의 課農小抄 또한 農政全書 의 체재와 내용을 적극 참고했기 때문이다. 課農小抄 이본 교감과 정본화 작업의 의의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박영철본 課農小抄 에는 없던 자료를 보완해서 완전한 체재를 갖추었다. 정본화 작업을 통해 沔陽雜錄 책3에 수록되어 있는 <群書目>과 沔陽 雜錄 책4에 수록되어 있는 두 편의 <限民名田議>가 새롭게 보충되었다. 둘째, 저본의 誤字를 수정하고 脫字를 보충했다. 정본화 작업을 통해 저본인 박영철본 課農小抄 중에서 문맥, 농법 설명, 농기구 용어, 농작물 용어, 숫자 표기, 박지원의 評 부분에 관한 각종 誤字를 수정하고 脫字를 보충 했다. 셋째, 박영철본 課農小抄 를 저본으로 삼았던 기존 번역서의 오류를 수정하고, 課農小抄 의 완역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課農小抄 이본 교감과 정본화 작업은 課農小抄 의 문헌학적 정리와 교감의 문제를 해결하고, 課農小抄 의 내용과 사상을 새롭게 조명하고 그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나아가서 박지원의 농학과 실학사상을 이해하고, 역사학계・경제학계 등과의 학제간 연구를 촉진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課農小抄 is a agricultural book written by Park Ji Won (1737~1805) in 1799 on the instruction of King Jeongjo when serving as a governor of a country of 沔川. He wrote this book adding his opinions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various internal and Chinese agricultural books and organizing them in systematic ways. And he laid this book at King Jeongjo’s feet attaching a supplement of 「限民名田議」. Therefore 課農小 抄 is a very important book for studying his practical thought and agricultural sciences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But 燕巖集 of Park Young-chul which has been a basic text of this study and translation until now left a lot of mistakes and missings during text reading and print process. So it is a critical step to correct differences of different versions of 課農小抄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The work to correct differences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is based on 課農小抄 of 燕巖集 of Park Young-chul. At first completing correcting jobs with 課農小抄 contained in book3 and book4 of 沔陽雜 錄 and then did correcting jobs with other 7 different vers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rustworthy editions I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internal and Chinese agricultural books to which Park Ji Won referred. Especially on this process I actively consulted 農政全書 of Seo Kuang Gye(1562~1633), scholar at the end of Ming Dynasty of China as a basis of correcting letters. Because this book was requisitely consulted among writers when studying agriculture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and 課農 小抄 of Park Ji Won also aggressively referred to the syetem and content of this book. There are 3 important meanings of correcting differences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First by supplementing the missing data on 課農小 抄 of Park Young-chul, we have had a complete system. Through making trustworthy editions, 「群書目」 contained in 沔陽雜錄 book3 & two 「限 民名田議」 contained in 沔陽雜錄 book4 were newly replenished. Second We fixed misspellings and compensated for missing parts of the basic text. By making trustworthy editions work, we corrected misspellings on Context, explanation of farming method, agricultural term, numerical representation, erratum on criticism parts of Park Ji Won and compensated for missing parts of 課農小抄 of basic text of Park Young-chul. Third we fixed errors in existing translations based on 課農小抄 of Park Youngchul and we have been able to expect to have a perfect translation.
      번역하기

      課農小抄 is a agricultural book written by Park Ji Won (1737~1805) in 1799 on the instruction of King Jeongjo when serving as a governor of a country of 沔川. He wrote this book adding his opinions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various interna...

      課農小抄 is a agricultural book written by Park Ji Won (1737~1805) in 1799 on the instruction of King Jeongjo when serving as a governor of a country of 沔川. He wrote this book adding his opinions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various internal and Chinese agricultural books and organizing them in systematic ways. And he laid this book at King Jeongjo’s feet attaching a supplement of 「限民名田議」. Therefore 課農小 抄 is a very important book for studying his practical thought and agricultural sciences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But 燕巖集 of Park Young-chul which has been a basic text of this study and translation until now left a lot of mistakes and missings during text reading and print process. So it is a critical step to correct differences of different versions of 課農小抄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The work to correct differences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is based on 課農小抄 of 燕巖集 of Park Young-chul. At first completing correcting jobs with 課農小抄 contained in book3 and book4 of 沔陽雜 錄 and then did correcting jobs with other 7 different vers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rustworthy editions I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internal and Chinese agricultural books to which Park Ji Won referred. Especially on this process I actively consulted 農政全書 of Seo Kuang Gye(1562~1633), scholar at the end of Ming Dynasty of China as a basis of correcting letters. Because this book was requisitely consulted among writers when studying agriculture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and 課農 小抄 of Park Ji Won also aggressively referred to the syetem and content of this book. There are 3 important meanings of correcting differences and make trustworthy editions. First by supplementing the missing data on 課農小 抄 of Park Young-chul, we have had a complete system. Through making trustworthy editions, 「群書目」 contained in 沔陽雜錄 book3 & two 「限 民名田議」 contained in 沔陽雜錄 book4 were newly replenished. Second We fixed misspellings and compensated for missing parts of the basic text. By making trustworthy editions work, we corrected misspellings on Context, explanation of farming method, agricultural term, numerical representation, erratum on criticism parts of Park Ji Won and compensated for missing parts of 課農小抄 of basic text of Park Young-chul. Third we fixed errors in existing translations based on 課農小抄 of Park Youngchul and we have been able to expect to have a perfect trans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작업 방식과 작업 현황 개관 3. 異本 교감 및 정본화 작업의 의의 4. 결론
      • 1. 서론 2. 작업 방식과 작업 현황 개관 3. 異本 교감 및 정본화 작업의 의의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고전종합 DB"

      2 염정섭, "한국 농서 번역의 현황과 전망" 한국고전번역학회 5 : 2014

      3 안대회, "한국 고전학의 방향 ― 정전화와 정본화" 대동문화연구원 (101) : 11-34, 2018

      4 김명호, "일본 東洋文庫 소장 『燕巖集』에 대한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321-347, 2010

      5 김명호, "연암집 상" 돌베개 2007

      6 염정섭, "연암 박지원 연구" 사람의 무늬 2012

      7 김문식, "박지원의 <限民名田議> 수정 과정" 태학사 69 : 2014

      8 홍기문, "박지원 작품선집" 국립문학예술서적 출판사 1960

      9 현안옥, "박지원 연상각선본 의 개작 양상과 그 의미" 전북대학교 2017

      10 남성우, "면양잡록" 당진문화원 2016

      1 "한국고전종합 DB"

      2 염정섭, "한국 농서 번역의 현황과 전망" 한국고전번역학회 5 : 2014

      3 안대회, "한국 고전학의 방향 ― 정전화와 정본화" 대동문화연구원 (101) : 11-34, 2018

      4 김명호, "일본 東洋文庫 소장 『燕巖集』에 대한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321-347, 2010

      5 김명호, "연암집 상" 돌베개 2007

      6 염정섭, "연암 박지원 연구" 사람의 무늬 2012

      7 김문식, "박지원의 <限民名田議> 수정 과정" 태학사 69 : 2014

      8 홍기문, "박지원 작품선집" 국립문학예술서적 출판사 1960

      9 현안옥, "박지원 연상각선본 의 개작 양상과 그 의미" 전북대학교 2017

      10 남성우, "면양잡록" 당진문화원 2016

      11 김영진, "농업 및 식품고전의 국역(國譯)현황과 금후 과제" 한국농업사학회 4 (4): 1-14, 2005

      12 정재철, "김택영의 『연암집』 편찬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회 (63) : 135-167, 2016

      13 김혈조, "燕巖集 異本에 대한 고찰" 국한문학회 17 : 1994

      14 김문식, "沔陽雜錄" 문예원 2012

      15 김혈조, "沔陽雜錄" 문예원 2012

      16 김영진, "朴趾源의 필사본 小集들과 작품 창작년 고증"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3) : 47-82, 2005

      17 김윤조, "朴榮喆本 燕巖集 의 錯誤・脫落에 대한 검토" 단국한문학회 10 : 1992

      18 김용섭, "朝鮮後期 農學史硏究" 일조각 1988

      19 "CD-ROM 文淵閣四庫全書" 迪志文化出版有限公司 2000

      20 염정섭, "18세기 말 正祖의 ‘農書大全’ 편찬 추진과 의의" 한국사연구회 112 : 2001

      21 過庭錄, "(淵民文庫 所藏) 燕巖 朴趾源 作品筆寫本 叢書 20" 문예원 2012

      22 沔陽雜錄, "(淵民文庫 所藏) 燕巖 朴趾源 作品筆寫本 叢書 12" 문예원 2012

      23 최홍규, "(國譯)課農小抄" 아세아문화사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