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방공기업 최고관리자의 개인적 특성과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CEO in local public enterpri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007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public enterprise now has 194 local direct management firms and 139 local indirect management firms that hired 37,555 employees. But local public enterprise runs in red. Especially, local direct management firm go 8,275 hundred million in to the black, but local indirect management firm go 8,279 hundred million in to the red which is more than half of tax revenue budget of 2003. Actually the organization shape of local public enterprise is criticized, because of reconcile of organization that merge faults of private and public enterprise. It is easy to conflict between continuous regulations and pursue of profit and has limitations clearness ruled function, troubles of joint action of mixing participation and risk of function-divisions. Therefore this study that observed characters of chief executive officers who work profit business for welfare of local citizens doubt about which factors affect local public enterprise output and presented different kinds of visions of effective management of local public enterpris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hief executive officers of 30 public corporation including subway, citizen-development and the rest on chief executive officers of 46 public corporation including facilities management, parking management firms that look around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demographic individual characters and local public enterprise output. And the demographic individual variables and local public enterprise output was utilized by SPS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emographic model are as follows: Chief executive officer''s age was more relevance with responsibility estimation output and management estimation output. There are no relations between CEO''s old age and output of public enterprise. Their capability places high value on managing local public enterprise. And Chief executive officers received a good education were more relevance with a rate of growth of local public enterprise. Local public enterprise has complex character in chase of public duty and industrialization.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limit measuring output and stipulating activity character of local public enterprise. Achievement of Chief executive officer of local public enterprise is verified by objective CEO''s demographic data in this paper.
      번역하기

      Local public enterprise now has 194 local direct management firms and 139 local indirect management firms that hired 37,555 employees. But local public enterprise runs in red. Especially, local direct management firm go 8,275 hundred million in to the...

      Local public enterprise now has 194 local direct management firms and 139 local indirect management firms that hired 37,555 employees. But local public enterprise runs in red. Especially, local direct management firm go 8,275 hundred million in to the black, but local indirect management firm go 8,279 hundred million in to the red which is more than half of tax revenue budget of 2003. Actually the organization shape of local public enterprise is criticized, because of reconcile of organization that merge faults of private and public enterprise. It is easy to conflict between continuous regulations and pursue of profit and has limitations clearness ruled function, troubles of joint action of mixing participation and risk of function-divisions. Therefore this study that observed characters of chief executive officers who work profit business for welfare of local citizens doubt about which factors affect local public enterprise output and presented different kinds of visions of effective management of local public enterpris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hief executive officers of 30 public corporation including subway, citizen-development and the rest on chief executive officers of 46 public corporation including facilities management, parking management firms that look around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demographic individual characters and local public enterprise output. And the demographic individual variables and local public enterprise output was utilized by SPS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emographic model are as follows: Chief executive officer''s age was more relevance with responsibility estimation output and management estimation output. There are no relations between CEO''s old age and output of public enterprise. Their capability places high value on managing local public enterprise. And Chief executive officers received a good education were more relevance with a rate of growth of local public enterprise. Local public enterprise has complex character in chase of public duty and industrialization.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limit measuring output and stipulating activity character of local public enterprise. Achievement of Chief executive officer of local public enterprise is verified by objective CEO''s demographic data in this pap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공기업은 2004년 현재 194개의 지방직영기업과 139개 간접경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총 자산 규모 57조 756억원에 직영기업 15,437명, 공사·공단의 경우 37,555명이 종사하는 거대 조직이다. 그러나 지방공기업은 2003년도 기준 세입예산이 16조 2,804억원인데 반해 세출예산은 17조 7,122억원으로 적자운영을 하고 있는 실태이다. 특히 직영기업의 경우는 2003년 8,275억원의 흑자를 낸 반면, 공사·공단은 8,279억원의 적자운영으로 공사·공단의 적자운영 폭은 2003년 세입예산의 절반이 넘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해 지방공기업의 조직형태가 구조적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단점만을 융화시킨 조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공공부문의 공공성 차원에서 지속적 통제성향과 민간부문의 이윤추구 성향간의 갈등, 명확한 역할 규정의 한계, 그리고 혼합적 참여로 인한 통합적 행동(joint action)의 어려움, 위험의 역할분담 등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Starling 1986: 243).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민의 복리를 위한 수익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지방공기업 최고관리자의 특성을 연구하여 이러한 요인이 지방공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방공기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방공기업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것이나, 그것이 기업으로서 합리적·능률적인 경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영의 책임자로서의 관리자의 자주성을 강화하고 책임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지방공기업의 경영조직을 일반 행정조직으로부터 분리하고 있고, 지방공기업의 경영을 위해 독자의 권한을 갖는 관리자를 두어 일상 업무의 집행에 대해 모두 관리자에게 위임한다. 즉 지방공기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의회의 관여는 주민의 복리 증진이라는 입장에서 행하는 총괄적 통제에 한정하고, 기업의 운영에 관하여는 전면적으로 기업경영자로서의 관리자에게 맡겨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 관리자의 관찰 가능한 개인적 특성과 지방공기업 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하철과 도시개발 및 기타 지방공사를 포함한 30개 지방공사와 시설관리와 주차관리를 포함하는 46개 지방공단의 최고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2002년 지방공기업 성과와의 실증분석을 하기 위하여 통계패키지는 SPSS 11.5를 사용하였고,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변수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분석, 표준편차분석 및 빈도분석 등의 기초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연구결과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의 성과와 연령이 부(-)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그러한 연구결과도 있었지만, 수익성과 공공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공기업의 특성상 이전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최고경영자의 교육수준과 지방공기업의 성장률에 대해 살펴본 가설2-2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최고관리자의 교육수준이 지방공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관리자의 연령에 대해 살펴본 가설3-1과 가설5-1의 경우 각각 책임경영평가와 경영평가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지혜와 연륜이 있는 최고관리자의 능력이 책임경영의식 및 조직 융화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어서 공공기업 경영에는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성과 기업성을 목적으로 하는 지방공기업의 성격은 다분히 이중적인 성격이다. 따라서 그 성과나 성격이 한계를 규정짓기도 용이하지 않으면서, 성과를 측정해야 하고, 그 지방공기업의 성격이 뚜렷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업 특성을 규정해야 하는 복합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조직이다. 이러한 특성은 지방공기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잣대를 마련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측정된 지방공기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최고관리자의 기여도를 측정하는데도 무리가 있었다. 이 연구는 최고관리자의 업적과 성과를 관찰가능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고, 이를 통해 최고관리자의 특성과 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으로 지방공기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역량과 자질이 충분한 최고관리자를 기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지방공기업은 2004년 현재 194개의 지방직영기업과 139개 간접경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총 자산 규모 57조 756억원에 직영기업 15,437명, 공사·공단의 경우 37,555명이 종사하는 거대 조직이�...

      지방공기업은 2004년 현재 194개의 지방직영기업과 139개 간접경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총 자산 규모 57조 756억원에 직영기업 15,437명, 공사·공단의 경우 37,555명이 종사하는 거대 조직이다. 그러나 지방공기업은 2003년도 기준 세입예산이 16조 2,804억원인데 반해 세출예산은 17조 7,122억원으로 적자운영을 하고 있는 실태이다. 특히 직영기업의 경우는 2003년 8,275억원의 흑자를 낸 반면, 공사·공단은 8,279억원의 적자운영으로 공사·공단의 적자운영 폭은 2003년 세입예산의 절반이 넘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해 지방공기업의 조직형태가 구조적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단점만을 융화시킨 조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공공부문의 공공성 차원에서 지속적 통제성향과 민간부문의 이윤추구 성향간의 갈등, 명확한 역할 규정의 한계, 그리고 혼합적 참여로 인한 통합적 행동(joint action)의 어려움, 위험의 역할분담 등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Starling 1986: 243).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민의 복리를 위한 수익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지방공기업 최고관리자의 특성을 연구하여 이러한 요인이 지방공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방공기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방공기업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것이나, 그것이 기업으로서 합리적·능률적인 경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영의 책임자로서의 관리자의 자주성을 강화하고 책임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지방공기업의 경영조직을 일반 행정조직으로부터 분리하고 있고, 지방공기업의 경영을 위해 독자의 권한을 갖는 관리자를 두어 일상 업무의 집행에 대해 모두 관리자에게 위임한다. 즉 지방공기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장 및 의회의 관여는 주민의 복리 증진이라는 입장에서 행하는 총괄적 통제에 한정하고, 기업의 운영에 관하여는 전면적으로 기업경영자로서의 관리자에게 맡겨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 관리자의 관찰 가능한 개인적 특성과 지방공기업 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하철과 도시개발 및 기타 지방공사를 포함한 30개 지방공사와 시설관리와 주차관리를 포함하는 46개 지방공단의 최고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2002년 지방공기업 성과와의 실증분석을 하기 위하여 통계패키지는 SPSS 11.5를 사용하였고,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변수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분석, 표준편차분석 및 빈도분석 등의 기초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연구결과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의 성과와 연령이 부(-)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그러한 연구결과도 있었지만, 수익성과 공공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공기업의 특성상 이전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최고경영자의 교육수준과 지방공기업의 성장률에 대해 살펴본 가설2-2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최고관리자의 교육수준이 지방공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관리자의 연령에 대해 살펴본 가설3-1과 가설5-1의 경우 각각 책임경영평가와 경영평가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지혜와 연륜이 있는 최고관리자의 능력이 책임경영의식 및 조직 융화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어서 공공기업 경영에는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성과 기업성을 목적으로 하는 지방공기업의 성격은 다분히 이중적인 성격이다. 따라서 그 성과나 성격이 한계를 규정짓기도 용이하지 않으면서, 성과를 측정해야 하고, 그 지방공기업의 성격이 뚜렷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업 특성을 규정해야 하는 복합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조직이다. 이러한 특성은 지방공기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잣대를 마련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측정된 지방공기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최고관리자의 기여도를 측정하는데도 무리가 있었다. 이 연구는 최고관리자의 업적과 성과를 관찰가능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고, 이를 통해 최고관리자의 특성과 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으로 지방공기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역량과 자질이 충분한 최고관리자를 기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