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선 정암사의 사적기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9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암사에 관한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정암사와 정선군의 노력으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다섯 차례 이상의 학술대회가 개최되었 고, 그 성과물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이들 연구는 대체로 두 가지 유 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자장의 창건 사실이고 두 번째는 수마노탑에 관한 연구이다. 즉 자장과 수마노탑은 정암사의 모든 것을 상징한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하다. 절의 역사를 전하는 대부분의 기록이 이 두 가지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글은 정암사에 관한 다양한 기록 가운데 절에 전하는 사적기를 살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절의 사적기는 ‘사적’, ‘중수기’, ‘중수지’ 등 여러 이 름으로 전한다. 사실 절의 역사를 고찰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들 사적기 가 널리 원용(援用)되었다. 그런데 기록의 원문을 정확히 교감(校勘)하지 않고 연구자 마다 다르게 판독하거나, 착오된 기록이 전승되기도 하였다. 특히 수마노탑의 탑지에는 판독하기 어려운 글자들이 여럿 있다. 발견 당 시 옮겨 적으면서 누락과 오독(誤讀)이 발생하였고, 그 결과가 그대로 활 자화되었다. 이와 같은 절의 사적, 중수기, 중수지 등을 한데 모아 사적기라는 이름 으로 살펴보았다. 석비(石碑)로 조성한 5건의 탑지석은 현재 탑 안에 봉안 되어 실물을 보지 못한다. 1972년 발견 당시 촬영한 사진으로만 확인할 뿐이다. 이 당시 탑지석의 내용을 판독하는 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하여 1713년의 중수 사실을 1653년으로 오인하기도 하였다. 최근 선학들의 연 구로 1713년으로 확인되었고, 필자는 이를 뒷받침하는 「수마노탑중수사적」 중의 여특의 증언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번역하기

      정암사에 관한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정암사와 정선군의 노력으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다섯 차례 이상의 학술대회가 개최되었 고, 그 성과물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이들 ...

      정암사에 관한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정암사와 정선군의 노력으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다섯 차례 이상의 학술대회가 개최되었 고, 그 성과물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이들 연구는 대체로 두 가지 유 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자장의 창건 사실이고 두 번째는 수마노탑에 관한 연구이다. 즉 자장과 수마노탑은 정암사의 모든 것을 상징한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하다. 절의 역사를 전하는 대부분의 기록이 이 두 가지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글은 정암사에 관한 다양한 기록 가운데 절에 전하는 사적기를 살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절의 사적기는 ‘사적’, ‘중수기’, ‘중수지’ 등 여러 이 름으로 전한다. 사실 절의 역사를 고찰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들 사적기 가 널리 원용(援用)되었다. 그런데 기록의 원문을 정확히 교감(校勘)하지 않고 연구자 마다 다르게 판독하거나, 착오된 기록이 전승되기도 하였다. 특히 수마노탑의 탑지에는 판독하기 어려운 글자들이 여럿 있다. 발견 당 시 옮겨 적으면서 누락과 오독(誤讀)이 발생하였고, 그 결과가 그대로 활 자화되었다. 이와 같은 절의 사적, 중수기, 중수지 등을 한데 모아 사적기라는 이름 으로 살펴보았다. 석비(石碑)로 조성한 5건의 탑지석은 현재 탑 안에 봉안 되어 실물을 보지 못한다. 1972년 발견 당시 촬영한 사진으로만 확인할 뿐이다. 이 당시 탑지석의 내용을 판독하는 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하여 1713년의 중수 사실을 1653년으로 오인하기도 하였다. 최근 선학들의 연 구로 1713년으로 확인되었고, 필자는 이를 뒷받침하는 「수마노탑중수사적」 중의 여특의 증언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n the Jungam-sa Templ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More than five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from 2012 to 2021 with the efforts of Jungam-sa and Jeongseon-gun, and the result was published in a book. These studi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the fact that Jajang’s the temple was built, the second is a study of the Sumanotap. In other words, Jajang and the Sumanotap are important enough to symbolize everything of Jeongam-sa. It is also because most of the records that convey the history of the temple are concentrated in these two th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records of Jeongam-sa.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emple are conveyed by various names such as ‘Sajeok(事蹟)’, ‘Jungsooki(重修記)’, ‘Jungsooji(重修誌)’. In fact, most studies that examined the history of the temple have widely used these historical records. However,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was not read correctly but read differently for each researcher, misunderstanding records were also handed down. In particular, there are several letters that are difficult to read in the records ofSumanotap. At the time of discovery, omission and misreading occurred while writing down, and the result was typed as it was. Five stones pagoda records are currently enshrined in the tower and do not see the real thing. It is only confirmed by photographs taken at the time of discovery in 1972. At that time, a mistake occurred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contents of the pagoda records, and the fact of repair in 1713 was mistaken for 1653. Recent studies have confirmed it as 1713, I added a new testimony of the Sumanotop's historical records supporting this.
      번역하기

      The study on the Jungam-sa Templ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More than five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from 2012 to 2021 with the efforts of Jungam-sa and Jeongseon-gun, and the result was published in a book. These studies are largely ...

      The study on the Jungam-sa Templ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More than five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from 2012 to 2021 with the efforts of Jungam-sa and Jeongseon-gun, and the result was published in a book. These studi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the fact that Jajang’s the temple was built, the second is a study of the Sumanotap. In other words, Jajang and the Sumanotap are important enough to symbolize everything of Jeongam-sa. It is also because most of the records that convey the history of the temple are concentrated in these two th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records of Jeongam-sa.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emple are conveyed by various names such as ‘Sajeok(事蹟)’, ‘Jungsooki(重修記)’, ‘Jungsooji(重修誌)’. In fact, most studies that examined the history of the temple have widely used these historical records. However,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was not read correctly but read differently for each researcher, misunderstanding records were also handed down. In particular, there are several letters that are difficult to read in the records ofSumanotap. At the time of discovery, omission and misreading occurred while writing down, and the result was typed as it was. Five stones pagoda records are currently enshrined in the tower and do not see the real thing. It is only confirmed by photographs taken at the time of discovery in 1972. At that time, a mistake occurred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contents of the pagoda records, and the fact of repair in 1713 was mistaken for 1653. Recent studies have confirmed it as 1713, I added a new testimony of the Sumanotop's historical records supporting th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사적기의 내용 검토
      • 1. 수마노탑의 탑지석 5건
      • 2. 『정암사사적편』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사적기의 내용 검토
      • 1. 수마노탑의 탑지석 5건
      • 2. 『정암사사적편』
      • Ⅲ. 정암사 사적기의 가치와 의미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호, "조선후기 사찰 문헌설화 연구-정암사 연기설화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37 : 2001

      2 오경후, "조선시대 사찰사적에 관한 검토" 동국대 경주사학회 24·25 : 2006

      3 송일기, "조선 사찰본 서지 연표"

      4 정영호, "정암사수마노탑의 조사" 한국미술사학회 1 (1): 1960

      5 손신영, "정암사 수마노탑 탑지석(塔誌石)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원 47 (47): 116-133, 2014

      6 박동호,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7 남무희,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8 향림,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9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10 정영호, "정암사 수마노탑 내 발견 사리구에 대하여"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5 : 1975

      1 김승호, "조선후기 사찰 문헌설화 연구-정암사 연기설화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37 : 2001

      2 오경후, "조선시대 사찰사적에 관한 검토" 동국대 경주사학회 24·25 : 2006

      3 송일기, "조선 사찰본 서지 연표"

      4 정영호, "정암사수마노탑의 조사" 한국미술사학회 1 (1): 1960

      5 손신영, "정암사 수마노탑 탑지석(塔誌石)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원 47 (47): 116-133, 2014

      6 박동호,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7 남무희,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8 향림,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9 "정암사 수마노탑 연구" 정선군 2017

      10 정영호, "정암사 수마노탑 내 발견 사리구에 대하여"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5 : 1975

      11 염중섭, "자장의 전기자료 연구" 동국대 2015

      12 곽뢰, "신라 오대산문수신앙 연구" 동국대 2016

      13 "수마노탑과 자장율사" 정암사 1977

      14 정병삼, "기록과 유물로 본 정암사의 창건과 전승" 한국사학회 (118) : 123-157, 2015

      15 신대현, "淨巖寺 水瑪瑙塔 記錄 및 塔誌石의 再檢討" 한국문화사학회 (48) : 109-140, 2017

      16 오경후, "朝鮮後期 『大芚寺志』의 編纂" 한국사상사학회 19 : 2002

      17 염중섭, "『정암사사적(淨巖寺事蹟)』에 등장하는 정암사 창건 기록 검토Ⅱ- 서해용왕설(西海龍王說)과 수마노탑(水瑪瑙塔)을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원 (83) : 109-132, 2018

      18 정병삼, "19세기의 불교계의 사상적 추구와 불교예술의 변화" 한국사상문화학회 16 :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98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