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 - 도량 건립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를 밝혀 바람직한 보원사수륙 재의 방향을 찾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과거 보원사수륙재 모습을 찾아보 기 위해 근대 이전의 수륙재를 살폈고, 현행 수륙재는 현재 한국불교 수륙 재 현장을 비교하며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을 살폈다. 근대 이전의 수륙재는 단일한 의문에 의해 설행되는 것이 아니라 설판 상황(設辦狀況)에 의거하여 결수문(結手文)・중례문(中禮文)・자기문(仔夔文) 등으로 수륙재가 설행되었고, 사찰의 주전(主殿)・양서(兩序)・정문(正門) 등 에 체계적으로 설단되었으며, 의례 설행은 그 역할을 분담해 병렬로 행해 졌고, 회수(會首)와 재자(齋者)가 의례의 주체임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등 이 과거의 의례에서는 잘 지켜져 왔을 것으로 보이며, 보원사수륙재도 다 르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보원사지에 수륙도량을 건립하고 있는 현재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으로는 중앙의 상단에 괘불을 걸고, 좌측에 중단과 오로단을, 우측에 제산단(諸山 壇)과 사자단(使者壇)을, 남측에 청법단(聽法壇)을 설치하고, 상단 앞자리 에 회수(會首)와 재주(齋主) 자리를 마련한 도량 배치가 언급될 수 있다. 또 건단(建壇)의식에서 전통의 신중청(神衆請) 의식을 통해 괘불이운(掛佛 移運)의 옹호(擁護)를 발원하고 있으며, 영혼(魂靈)을 맞이하는 영혼식(迎 魂式)은 16~17세기 형식을 도입하고, 다른 재장(齋場)에서 볼 수 없는 사 문소참(沙門小參: 對靈一種) 의식을 복원하고 있는 설행(設行) 등이 언급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를 밝혀 바람직한 보원사수륙 재의 방향을 찾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과거 보원사수륙재 모습을 찾아보 기 위해 근대 이전의 수륙재를 살폈고, 현...

      이 글은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를 밝혀 바람직한 보원사수륙 재의 방향을 찾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과거 보원사수륙재 모습을 찾아보 기 위해 근대 이전의 수륙재를 살폈고, 현행 수륙재는 현재 한국불교 수륙 재 현장을 비교하며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을 살폈다. 근대 이전의 수륙재는 단일한 의문에 의해 설행되는 것이 아니라 설판 상황(設辦狀況)에 의거하여 결수문(結手文)・중례문(中禮文)・자기문(仔夔文) 등으로 수륙재가 설행되었고, 사찰의 주전(主殿)・양서(兩序)・정문(正門) 등 에 체계적으로 설단되었으며, 의례 설행은 그 역할을 분담해 병렬로 행해 졌고, 회수(會首)와 재자(齋者)가 의례의 주체임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등 이 과거의 의례에서는 잘 지켜져 왔을 것으로 보이며, 보원사수륙재도 다 르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보원사지에 수륙도량을 건립하고 있는 현재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으로는 중앙의 상단에 괘불을 걸고, 좌측에 중단과 오로단을, 우측에 제산단(諸山 壇)과 사자단(使者壇)을, 남측에 청법단(聽法壇)을 설치하고, 상단 앞자리 에 회수(會首)와 재주(齋主) 자리를 마련한 도량 배치가 언급될 수 있다. 또 건단(建壇)의식에서 전통의 신중청(神衆請) 의식을 통해 괘불이운(掛佛 移運)의 옹호(擁護)를 발원하고 있으며, 영혼(魂靈)을 맞이하는 영혼식(迎 魂式)은 16~17세기 형식을 도입하고, 다른 재장(齋場)에서 볼 수 없는 사 문소참(沙門小參: 對靈一種) 의식을 복원하고 있는 설행(設行) 등이 언급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riting considers finding the desirable way of Bowonsa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by researching its past and present.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is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what Bowonsa Suryukjae looked like in the past,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in the comparison of its current Suryukjae and the current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was not performed with a single program, but with Gyeolsumun (結手文), Jungryemun (中禮文) and Jagimun (仔夔文), etc. based on the situation on its ground. It was performed in the main hall, the eastern and the western buildings, and the main gate of the temple, etc. in parallel by sharing their roles, It seems to have shown clearly that the leader and the performers of Suryukjae are the subjects of the rites in the past, which is thought to be the same case as Bowonsa Suryukja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Bowonsa Suryukjae, which is currently set at the site of Bowonsa, is the arrangement of bodhi-mandala, such as Gwaebul (掛佛,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at the top of the center, The Middle altar and Orodan (五路壇, the altar to open the five paths of heaven) on the left, Jesandan (諸山壇, the altar for the mountains) and Sajadan (使者壇, the altar for the messenger) on the right and Cheongbapdan (聽法壇, the altar to invite the Dharma talk) on the south and a leader and a master seats in the upper front. Also, its other characteristics can be mentioned as follows: through the traditional rite of Sinjungcheong (神衆請, praying to pantheon), they pray good fortune for carrying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in the ceremonies of setting altar, and introduce the ritual to welcome the spirits (迎魂式) consisting of the formality of the 16th~17th century and restore the ritual of Samunsocham (沙門小參)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ritual scene.
      번역하기

      This writing considers finding the desirable way of Bowonsa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by researching its past and present.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is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what Bowonsa Suryukjae looke...

      This writing considers finding the desirable way of Bowonsa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by researching its past and present.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is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what Bowonsa Suryukjae looked like in the past,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in the comparison of its current Suryukjae and the current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was not performed with a single program, but with Gyeolsumun (結手文), Jungryemun (中禮文) and Jagimun (仔夔文), etc. based on the situation on its ground. It was performed in the main hall, the eastern and the western buildings, and the main gate of the temple, etc. in parallel by sharing their roles, It seems to have shown clearly that the leader and the performers of Suryukjae are the subjects of the rites in the past, which is thought to be the same case as Bowonsa Suryukja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Bowonsa Suryukjae, which is currently set at the site of Bowonsa, is the arrangement of bodhi-mandala, such as Gwaebul (掛佛,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at the top of the center, The Middle altar and Orodan (五路壇, the altar to open the five paths of heaven) on the left, Jesandan (諸山壇, the altar for the mountains) and Sajadan (使者壇, the altar for the messenger) on the right and Cheongbapdan (聽法壇, the altar to invite the Dharma talk) on the south and a leader and a master seats in the upper front. Also, its other characteristics can be mentioned as follows: through the traditional rite of Sinjungcheong (神衆請, praying to pantheon), they pray good fortune for carrying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in the ceremonies of setting altar, and introduce the ritual to welcome the spirits (迎魂式) consisting of the formality of the 16th~17th century and restore the ritual of Samunsocham (沙門小參)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ritual sce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서언
      • Ⅱ. 근대 이전의 수륙재
      • Ⅲ. 현대 수륙재의 양태
      • Ⅳ. 결어
      • 한글요약
      • Ⅰ. 서언
      • Ⅱ. 근대 이전의 수륙재
      • Ⅲ. 현대 수륙재의 양태
      • Ⅳ.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계현,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75

      2 延濟永, "한국水陸齋의 儀禮와 설행양상" 고려대학교대학원 2014

      3 이성운, "영산재의 독립과 변용의 모범 탐색" 한국정토학회 (33) : 69-104, 2020

      4 이성운, "영산재의 구조와 설행 및 사상과 인식" 불교문예연구소 17 : 41-78, 2021

      5 심상현, "영산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6 안진호, "석문의범" 만상회 1935

      7 송일기, "생전예수재의 불교문화" (사)생전예수재보존회 2020

      8 學祖, "삼단시식문"

      9 송일기, "불교의례서 「中禮文」의 板本考" 한국서지학회1 (37) : 27-74, 2011

      10 권기종, "불교사상사연구상" 한국불교연구원 2004

      1 안계현,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75

      2 延濟永, "한국水陸齋의 儀禮와 설행양상" 고려대학교대학원 2014

      3 이성운, "영산재의 독립과 변용의 모범 탐색" 한국정토학회 (33) : 69-104, 2020

      4 이성운, "영산재의 구조와 설행 및 사상과 인식" 불교문예연구소 17 : 41-78, 2021

      5 심상현, "영산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6 안진호, "석문의범" 만상회 1935

      7 송일기, "생전예수재의 불교문화" (사)생전예수재보존회 2020

      8 學祖, "삼단시식문"

      9 송일기, "불교의례서 「中禮文」의 板本考" 한국서지학회1 (37) : 27-74, 2011

      10 권기종, "불교사상사연구상" 한국불교연구원 2004

      11 이성운, "내포가야산 보원사와 수륙재" 보원사수륙재설행위원회 2020

      12 이성운, "국가무형문화재 제125호 삼화사수륙재문화" 삼화사수륙재보존회 2020

      13 고상현,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0) : 1-49, 2011

      14 강우방, "감로탱" 예경 2010

      15 "麻谷寺 所藏 梵音刪補集"

      16 박영만, "韓國水陸齋儀文의 成立 및 變容 硏究"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17 HD 동국대학교출판부, "韓國佛敎全書 1~14" 1988

      18 KR 朴世敏,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第1~4輯" 삼성암 1993

      19 "蒙山施食念誦說法儀(藏外佛經 第28冊, 213방16ᄌ)"

      20 최명철, "水陸齋의 設行樣相에 대한 比較 硏究 : 삼화사ᆞ진관사ᆞ백운사를 중심으로" 위덕대학교대학원 2018

      21 石峰, "水陸無遮儀禮集" 아랫녘수륙재보존회 2013

      22 印光, "水陸儀軌會本卷第四" 上海佛學書局 1924

      23 智還, "梵音刪補集"

      24 정명희, "朝鮮時代 佛敎儀式의 三壇儀禮와 佛畵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25 "新刊刪補梵音集"

      26 "志磐文"

      27 "天地冥陽水陸雜文"

      28 戴曉雲, "天地冥陽水陸儀文校點"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4

      29 "仔夔文節次條例"

      30 智禪, "五種梵音集"

      31 우진웅,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의 版本에 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50) : 351-38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98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