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반도 고대 도시 외곽의 등장과 전개 =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city wall of an ancient city on the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1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then reviewed city wall that made a new appearance in ancient cities. There are only two relics of ancient cities that built city wall: Sabi Castle Town of Baekje and Jangan Castle of Goguryeo. These two ancient cities share a lot of common ...

      The study then reviewed city wall that made a new appearance in ancient cities. There are only two relics of ancient cities that built city wall: Sabi Castle Town of Baekje and Jangan Castle of Goguryeo. These two ancient cities share a lot of common features including that they were outcomes of planned capital transfer in the sixth century and that an outer boundary was built around expanded cities with grid-type sections and dwelling quarters for people within the boundary. The fact that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at two different places of different states suggests that certain aspects of a castle town were shared during the days. Researchers, however, have different ideas of their emergence factors. While the Sabi Castle Town is estimated to have happened according to its own need, Jangan Castle is estimat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orthern Dynasties. The study thus looked into their similarities in foreign affairs and castle town structures those days and found that they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relations between Northern Dynasties and Goguryeo and between Goguryeo and Baekje. Since Baekje built city wall earlier than Goguryeo, there is no saying that it was influenced by Goguryeo's city wall. The investigator interpreted actively a couple of points including that a transfer of capital was done based on enough planning and that a lot of Goguryeo elements were found in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and found that the Baekje built its city wall according to the rising need to accommodate its growing population amidst the urbanization of its castle town by accepting the concept of city wall according to its own topography and situ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Northern Dynas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미, "한국고대도시의 기원 연구" 백산학회 (101) : 33-59, 2015

      2 기경량, "한국 고대사에서 왕도(王都)와 도성(都城)의 개념 -고구려의 용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4) : 159-188, 2017

      3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11

      4 신희권, "풍납토성 500년 백제 왕도의 비전과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 Ⅺ" 2018

      6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연기 나성리유적" 2015

      7 황보은숙, "신라고고학개론上" 진인진 2014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 왕경과 월성의 공간과 기능" 2019

      9 이상준, "신라 왕경과 월성의 공간과 기능"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10 서현주, "사비백제 고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9

      1 박선미, "한국고대도시의 기원 연구" 백산학회 (101) : 33-59, 2015

      2 기경량, "한국 고대사에서 왕도(王都)와 도성(都城)의 개념 -고구려의 용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4) : 159-188, 2017

      3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2011

      4 신희권, "풍납토성 500년 백제 왕도의 비전과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 Ⅺ" 2018

      6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연기 나성리유적" 2015

      7 황보은숙, "신라고고학개론上" 진인진 2014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 왕경과 월성의 공간과 기능" 2019

      9 이상준, "신라 왕경과 월성의 공간과 기능"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10 서현주, "사비백제 고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9

      11 박순발,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 출판부 2010

      12 허수정, "백제 한성기 지상건물의 전개양상" 한신대 2019

      13 이현숙, "백제 웅진성의 조사성과와 웅진왕도의 경관" 백제문화연구소 (59) : 31-73, 2018

      14 서현주, "백제 웅진·사비기 벽주건물의 변천과 분포" 호남고고학회 65 : 76-103, 2020

      15 심상육, "발굴자료를 통해 본 사비도성의 변천과 경관" 백제문화연구소 (62) : 27-47, 2020

      16 한성백제박물관, "몽촌토성 III" 2019

      17 이성주, "마을(村落)과 都市에 관한 考古學의 論議" 중부고고학회 11 (11): 5-31, 2012

      18 박순발, "동아시아 문화의 정수, 백제왕도"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 2019

      19 전용호, "동아시아 도성경관의 상징, 백제왕도"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 2019

      20 이현숙, "동아시아 도성경관의 상징, 백제왕도"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 2019

      21 서정석, "동아시아 도성경관의 상징, 백제왕도"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 2019

      22 박순발, "동아시아 고대 도성 民里의 형성과 전개" 역사문화연구소 (52) : 3-38, 2014

      23 권순홍, "도성 관련 용어 검토 — ‘都’ㆍ‘郭’ㆍ‘京’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2) : 35-63, 2017

      24 기경량, "고대도성과 월성의 공간구조와 경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2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고대도성과 월성의 공간구조와 경관" 2019

      26 김희선, "고대 동아시아의 천도와 도성 -계획 천도와 좌북조남식 도성구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63) : 99-132, 2015

      27 임기환, "고구려 평양 도성의 정치적 성격" 한국사연구회 (137) : 1-32, 2007

      28 양시은, "고구려 성 연구" 진인진 2013

      29 양시은, "고구려 도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구려발해학회 50 : 37-66, 2014

      30 여호규,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 한국고대사학회 (66) : 43-93, 2012

      31 박순발, "高句麗의 都城과 墓域"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2) : 43-94, 2012

      32 기경량, "高句麗 王都 硏究" 서울대 2019

      33 여호규, "高句麗 國內城期의 도성 경관과 토지 이용" 고구려발해학회 65 : 9-38, 2019

      34 여호규, "高句麗 國內 遷都의 시기와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8) : 37-84, 2005

      35 황인호, "韓日文化財論集 II" 국립문화재연구소․나라문화재연구소 2010

      36 전덕재, "韓國 古代의 王京과 都城, 地方都市" 역사학회 (207) : 329-354, 2010

      37 張學鋒, "空間與葬" 2019

      38 이남석, "泗沘都城의 景觀과 羅城의 築造背景" 백제문화연구소 1 (1): 261-281, 2014

      39 츠치다준코, "泗 樣式土器에서 보이는 高句麗土器의 影響에 대한 검토" 한국고고학회 (72) : 118-159, 2009

      40 여호규, "城時期 百濟의 都城制와 防禦體系" 36 : 2002

      41 박순발, "古代 東亞細亞 都城과 益山 왕궁성"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4

      42 钱国祥, "北魏洛阳外郭城的空间格局复原研究" 6 : 2019

      43 木浦大學校博物館, "務安 良將里 遺蹟" 1997

      44 湖南文化財硏究院, "光州 山亭洞遺蹟" 2008

      45 조윤재, "中國 古代 陪都制의 形成과 類型 - 古代 韓國 都城의 復都制 검토를 위한 예찰 -" 중앙문화재연구원 (20) : 106-159, 2016

      46 钱国祥, "中国古代汉唐都城形制的演进" 4 : 2016

      47 김희선, "6∼7세기 동아시아 도성제와 고구려長安城-도성의 가로구획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3) : 39-8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전통문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Heritage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