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북한 당국은 남북관계를 적대적 관계로 보고, 대한민국과는 더 이상 통일을 논의할 수 없다고 했다. 또한 같은 해 9월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38586
2024
-
341
학술저널
49-76(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23년 북한 당국은 남북관계를 적대적 관계로 보고, 대한민국과는 더 이상 통일을 논의할 수 없다고 했다. 또한 같은 해 9월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2023년 북한 당국은 남북관계를 적대적 관계로 보고, 대한민국과는 더 이상 통일을 논의할 수 없다고 했다. 또한 같은 해 9월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북한군을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했다. 과거 냉전기 줄타기 외교를 통해 안보적·경제적 이익을 취했던 전통적인 북-중-러 삼각 관계 복원을 모색하도록 하고 있는 듯하다. 이에 본 글은 북한이 최근 보여준 일련의 조치들이 중국과 러시아를 활용해 진영을 강화하려는 것인지, 그리고 진영에서 북한의 위상은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2개의 경쟁 국가에 대해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는 중추 국가), 그리고 그 구상의 실현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글의 구성은 2장에서 약소국 북한이 강대국 중국과 러시아를 진영 외교를 끌어들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틀로서 디트머의 ‘전략적 삼각관계’를 제시하고, 3장에서는 북한이 소련, 중국과 함께 삼각관계를 이루며 추진했던 줄타기 외교 혹은 시계추 외교 내용을 검토한다. 이어 4장에서는 북한이 중국, 러시아와의 삼각관계 속에서 목표로 한 바를 실현하려는 대외전략과 내용을 살펴본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북한의 전략적 삼각관계를 통해 나타난 외교전략을 평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23, North Korea viewed inter-Korean relations as hostile, and said they could no longer deal with unification agenda. After Summit with Putin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Kim Jongun strengthened military cooperation with Russia and sent North K...
In 2023, North Korea viewed inter-Korean relations as hostile, and said they could no longer deal with unification agenda. After Summit with Putin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Kim Jongun strengthened military cooperation with Russia and sent North Korean troops to the war in Ukraine. It seems that they are seeking to restore the traditional North Korea-China-Russia triangular relationship, which used to benefit security and economy through swing diplomacy during the Cold War in the past. In respons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whether North Korea's recent behaviors are intended to strengthen its camp by utilizing China and Russia, how it envisions its status among triangular relations (a pivot that can flexibly choose two competing countries), and the feasibility of the plan. Chapter 2 presents Dittmer's “strategic triangle”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process by which the weaker North attracts swing diplomacy from China and Russia, and Chapter 3 reviews the contents of diplomacy that North Korea promoted by forming a triangular relationship with the Soviet Union(Russia) and China. Chapter 4 then examines North Korea's external strategy and content to realize its goal in the triangular relationship with China and Russia. Finally, the conclusion evaluates the diplomatic strategy that emerged through North Korea's strategic triangular relationship.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남 사이버 공작전술 위협 변화와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