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 여성의 임신⋅출산⋅양육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2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uring the period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Six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raised t...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uring the period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Six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raised their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94 meanings, 26 subcategories, and 7 structural factors. The final 7 structural factors were <Process leading to pregnancy : Becoming pregnant under the lack of sexual self-determination>,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after pregnancy and delivery : Although lacking as a mother, she is willing to deliver the baby>, <Perception of others on the maternal rights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scrimination in care>, <Experiences in child rearing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 Growing hope amidst anxiety>, <Experiences in child’s educational period : Restrictions placed on the mother on responsibilities and care>, <Experiences in rearing during adolescency : Ambivalent feelings for the child who grow to surpass their mothers and concerns for lack of support for the child’s independence>, <Co-rearing experiences despite insufficiency>. Discussion and implications have been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발달장애 여성의 임신⋅출산⋅자녀양육과정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임신⋅출산⋅자녀 양육경험이 있는 발달장애 여성 6명으로, 심층면...

      본 연구는 발달장애 여성의 임신⋅출산⋅자녀양육과정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임신⋅출산⋅자녀 양육경험이 있는 발달장애 여성 6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여성의 임신⋅출산⋅양육경험은 94개의 의미단위, 26개의 하위구성요소, 7개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었다. 최종 도출된 구성요소는 ‘임신에 이르는 과정: 성적 자기결정권이 미약한 가운데 임신에 이름’, ‘임신 및 출산을 통해 엄마가 되는 과정: 미숙한 엄마이지만 출산의지를 가짐’, ‘발달장애 여성의 모성권에 대한 주변 인식: 배려 속 차별’, ‘영유아기 자녀양육 경험: 불안 속에서 작은 희망 키우기’, ‘학령기 자녀양육 경험: 엄마로서의 책임과 돌봄과정에서의 참여 제한’, ‘청소년기 자녀양육 경험: 엄마를 넘어서려는 자녀에 대한 양가감정 및 자녀의 자립지원 미진함에 대한 걱정’, ‘미흡하지만 더불어 함께하는 양육경험’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여성의 임신, 출산, 자녀양육 과정에 따라 필요한 사회적 지원과 그들이 어머니로서 당당하게 모성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회적 조건 조성의 필요성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혜경, "한국 여성장애인의 실태 및 복지대책" 46 : 29-34, 2002

      2 임은자, "지체장애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67-90, 2012

      3 임은자, "지체장애여성 자녀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 (3): 1-33, 2012

      4 김미옥, "지적장애인 부부의 결혼생활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7) : 167-191, 2015

      5 김성희, "지적장애 어머니의 모성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83-213, 2017

      6 윤혜영, "지적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에 대한 지원방안 연구" 24 (24): 96-124, 2013

      7 보건복지부,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8 최문정, "장애여성의 모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체 및 뇌병변장애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4 (4): 91-117, 2010

      9 김정희,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어려움과 서비스 욕구 비교를 통한 가족지원전략"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165-190, 2012

      10 김영주, "여성지적장애인의 결혼과 자녀양육에 관한 질적연구"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12

      1 오혜경, "한국 여성장애인의 실태 및 복지대책" 46 : 29-34, 2002

      2 임은자, "지체장애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67-90, 2012

      3 임은자, "지체장애여성 자녀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 (3): 1-33, 2012

      4 김미옥, "지적장애인 부부의 결혼생활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7) : 167-191, 2015

      5 김성희, "지적장애 어머니의 모성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83-213, 2017

      6 윤혜영, "지적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에 대한 지원방안 연구" 24 (24): 96-124, 2013

      7 보건복지부,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8 최문정, "장애여성의 모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체 및 뇌병변장애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4 (4): 91-117, 2010

      9 김정희,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어려움과 서비스 욕구 비교를 통한 가족지원전략"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165-190, 2012

      10 김영주, "여성지적장애인의 결혼과 자녀양육에 관한 질적연구"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12

      11 이혜경,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최복천, "여성장애인이 겪는 임신·출산·양육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323-347, 2011

      13 이미옥,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과 장애의 심리적 극복과의 관계" 6 : 101-127, 2000

      14 홍승아,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5 홍승아,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 아동기 자녀를 둔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 아시아여성연구원 48 (48): 119-158, 2009

      16 김종인, "여성장애인의 임신⋅출산⋅육아관련 종합정보제공 모델 개발" 보건복지부 2006

      17 유명화, "여성장애인의 임신·출산·육아와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1 (11): 131-157, 2007

      18 김미옥, "여성장애인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청소년기와 장년기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0) : 9-36, 2002

      19 서해정, "여성장애인 모성권 증진을 위한 임신, 출산, 지원 정책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6

      20 최정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201-240, 2014

      21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22 김미옥, "농촌지역 지적장애여성의 자녀양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5-29, 2013

      23 강승원, "기혼 여성 지적장애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웰니스학회 10 (10): 117-126, 2015

      24 Redshaw, M., "Women with disability: The experience of maternity care during pregnancy, Labour and birth and the postnatal period" 13 (13): 1-, 2013

      25 Walsh-Gallagher, D., "The Ambiguity of disabled women’s experience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motherhood: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28 (28): 156-162, 2012

      26 Giorgi,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2004

      27 보건복지부, "2020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28 김성희, "2017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2.02 2.30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