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사용자들이 반드시 따라야 할 규정 중에는 <한글 맞춤법>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띄어쓰기 규정이 있긴 하지만, 사실상 현재의 띄어쓰기 규정을 일반적인 국어 사용자들이 제대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99742
2021
-
710
KCI등재
학술저널
239-264(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어 사용자들이 반드시 따라야 할 규정 중에는 <한글 맞춤법>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띄어쓰기 규정이 있긴 하지만, 사실상 현재의 띄어쓰기 규정을 일반적인 국어 사용자들이 제대로...
국어 사용자들이 반드시 따라야 할 규정 중에는 <한글 맞춤법>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띄어쓰기 규정이 있긴 하지만, 사실상 현재의 띄어쓰기 규정을 일반적인 국어 사용자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실제 글을 쓸 때 적용하기란 여간해서는 힘든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현행 띄어쓰기 규정에는 규정의 취지마저 파악하기가 힘들 정도로 각종 문제들이 산재해 있기 때문으로서, 현행 띄어쓰기 규정에 나타난 문제점은 대략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전체적으로 조항마다 설명이 불충분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일부 조항에서는 설명이 중복되어 국어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있을 뿐 아니라, 47항과 48항의 경우는 다른 조항과는 판이한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어 일관성을 상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어’별 띄어쓰기라는 기준 외에 ‘단음절’이나 ‘전문 용어’같은 또 다른 기준이 개입되어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는 이외에도, 단어별 띄어쓰기에 치중하다 보니 구를 이루는 경우에 대한 설명 또한 부족한 실정이고 국어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외래어의 처리에 대한 조항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국어 사용자들이 띄어쓰기를 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 위해서라도 현재의 띄어쓰기 규정은 최대한도의 개선이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이 글에서는 국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원만하게 띄어쓰기를 할 수 있게 하는 나름대로의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띄어쓰기 조항들이 <한글 맞춤법>의 일부로 존재하는 한 띄어쓰기 규정은 양적인 면에서나 내용적인 면에서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띄어쓰기 규정이 더 이상 <한글 맞춤법>의 일부가 아니라 독립된 규정으로 분리되기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considered extremely difficult for general Korean speakers to properly understand the spacing provisions of Chapter 5 of the Korean Spelling Act, which is currently applied to spacing in Korean. This is because various problems are scattered in ...
It is considered extremely difficult for general Korean speakers to properly understand the spacing provisions of Chapter 5 of the Korean Spelling Act, which is currently applied to spacing in Korean. This is because various problems are scattered in the current spacing regulations. There are about six problems that have appeared in the current spacing regulations. First of all, the explanation for each clause is insufficient, which is not actually helpful. In addition, in some provisions, explanations are duplicated, causing confusion to Korean language us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ragraphs 47 and 48, it is described in a different way from other provisions, so it is losing consistency. Fourth, in addition to the criteria of spacing by word, other criteria such as ‘single syllables’ and ‘specialized terms’ are involved, adding to the problem. Fifth, as the focus is on spacing by word, the explanation of the case of forming a phrase is also insufficient. Finally, there is no provision for foreign languages that form part of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in this paper, we sought a methodology that allows Korean language users to smoothly spacing. Hopefully, spacing regulations will be separated into independent regul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태수,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검토" 시학과 언어학회 1 : 221-247, 2001
2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3 이주행, "한국어 어문규범의 이해" 보고사 2005
4 정희창, "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국립국어연구원 12 (12): 17-32, 2002
5 이숭녕, "인문계 고등학교 문법" 을유문화사 1968
6 이응백, "인문계 고등학교 문법" 보진재 1979
7 정희창, "우리말 맞춤법 띄어쓰기" 엘에치코리아 2020
8 허철구, "우리말 규범의 이해" 역락 2019
9 이희승, "새로 고친 판 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 신구문화사 1959
10 시정곤, "명사 연결체의 띄어쓰기 실상과 처리 방향" 국립국어연구원 12 (12): 33-48, 2002
1 엄태수,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검토" 시학과 언어학회 1 : 221-247, 2001
2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3 이주행, "한국어 어문규범의 이해" 보고사 2005
4 정희창, "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국립국어연구원 12 (12): 17-32, 2002
5 이숭녕, "인문계 고등학교 문법" 을유문화사 1968
6 이응백, "인문계 고등학교 문법" 보진재 1979
7 정희창, "우리말 맞춤법 띄어쓰기" 엘에치코리아 2020
8 허철구, "우리말 규범의 이해" 역락 2019
9 이희승, "새로 고친 판 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 신구문화사 1959
10 시정곤, "명사 연결체의 띄어쓰기 실상과 처리 방향" 국립국어연구원 12 (12): 33-48, 2002
11 이호권, "맞춤법과 표준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12 이익섭, "띄어쓰기의 현황과 전망" 국립국어연구원 12 (12): 5-16, 2002
13 이광호, "국어 정서법"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8
14 문교부, "국어 어문 규정집"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8
15 나찬연, "국어 어문 규범의 이해" 월인 2013
16 박정규, "국어 띄어쓰기 규정의 기준 설정 문제 일고찰" 한국언어문학회 (106) : 205-241, 2018
17 박정규(朴錠奎), "국어 띄어쓰기 規定의 改善案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83-108, 2006
1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부 1985
1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2002
20 이희승, "개정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2015
21 박정규, "『한글 맞춤법 』의 ‘띄어쓰기 규정’ 개선안 일고찰" 우리말학회 (54) : 123-150, 2018
‘죽음’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 - 최근의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상대높임법 실현 양상 비교 연구 - 요청 화행에 나타난 학습자의 과공손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3-11-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 |
2013-11-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7 | 1.448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