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명부는 나라에서 봉호를 받은 부인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 글에서는 왕녀등 왕실 여성을 제외한 일반 지배층 여성을 중심으로 고려 전기 외명부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78325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83(47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외명부는 나라에서 봉호를 받은 부인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 글에서는 왕녀등 왕실 여성을 제외한 일반 지배층 여성을 중심으로 고려 전기 외명부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명부는 나라에서 봉호를 받은 부인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 글에서는 왕녀등 왕실 여성을 제외한 일반 지배층 여성을 중심으로 고려 전기 외명부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명부의 구성과 종류, 외명부 봉증제의 성립과 운용, 그 정치적 기능과 사회적 의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외명부의 구성을 보면 國大夫人, 郡大夫人과 郡君, 縣君등이 있었다. 외명부의 종류는 그 자격을 기준으로 볼 때 (1)후비의 모와 조모, (2)공훈을 세운 신료의 모와 처, (3)일정 직품 이상 관료의 모와 처, (4)공을 세운 부인 등이 있었다. 대다수의 외명부는 세번째 유형에 속하는 문무 관료의 어머니와 아내이었다.
고려 초 성종대에 일정 직품 이상 관인의 모와 처를 봉증하는 제도가 성립하였다. 현종은 지배층 여성을 외명부로 봉작하는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외명부의 봉증 대상을 보면 대체로 직사 常參이상과 산관 4품 이상 관료의 모와 처이었다. 봉증 시기를 보면 신왕의 즉위, 왕태후와 왕태자의 책봉 등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봉증은 국왕이 특별한 계기가 있을 때에 사면 등과 함께 베푼 은사의 하나이었다.
외명부의 봉증은 국왕이 상층 관료를 우대하여 그 모와 처에게 명예로운 칭호를 내리는 정치적 기능을 하였다. 고려 사회에서 외명부는 지배층 여성을 의미하였다. 외명부의 봉호는 특정 부인의 공적 칭호이면서 사회적 지칭어로 쓰였다. 그 명호에는 본인의 출신 관향을 읍호로 표기하여 부인의 가문의식, 벌족의식을 나타내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외명부의 봉증은 문벌 가문 출신의 여성을 사회적으로 공인하는 의미를 가졌다. 이러한 외명부 제도를 통하여 문벌을 중시하는 귀족사회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e-Myeong-Bu referred to the ladies who were invested with the title of nobility from the government. This paper aims the nature of Oe-Myeong-Bu during early Goryeo. The study explored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Oe-Myeong-Bu as well as its fun...
Oe-Myeong-Bu referred to the ladies who were invested with the title of nobility from the government. This paper aims the nature of Oe-Myeong-Bu during early Goryeo. The study explored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Oe-Myeong-Bu as well as its function and social significance.
Oe-Myeong-Bu consisted with Gug-Dae-Bu-In, Gun-Dae-Bu-In, Gun-Gun and Hyeon-Gun. Members of Oe-Myeong-Bu included the Queen’s mothers and grandmothers, the wives of the officials who made an outstanding achievement, the mothers and wive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lady who made an outstanding achievement. Most of the members of Oe-Myeong-Bu were the mothers and the wives of the nation’s civilian or military officials.
The system of investing official’s mother and wife with the title of nobility was established under the reign of King Seongjong. King Hyeonjong enforced the system in earnest. In general, the invested the mothers and wives of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ith the position of Sang-Cham-Gwan and the 4<SUP>th</SUP> ranking of San-Gwan or higher ranking. When the nation had joyful events such as a king’s ascension to the throne or the investiture of a crown prince and a mother of king, the king gracefully invested the mothers and the wives of government officials with the title of nobility. The title of Oe-Myeong-Bu represented the official status of noble-class women, and served as public recognition of the ladies. The titles of Oe-Myeong-Bu contained the birthplace or the domicile of the ladies who were given the titles, which revealed the ladies’ distinguished family backgrounds. The system of Oe-Myeong-Bu during early Goryeo reflected the aristocratic society’s emphasis on family backgrou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선, "역주고려묘지명집성 상 ‧ 하"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2 "신증동국여지승람"
3 "신당서"
4 "세종실록지리지"
5 "성종실록"
6 "삼국유사"
7 "삼국사기"
8 "동문선"
9 우태연, "고려초 지명별호의 제정과 그 운용(하)" 12 : 1989
10 변태섭, "고려조의 문반과 무반, In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71
1 김용선, "역주고려묘지명집성 상 ‧ 하"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2 "신증동국여지승람"
3 "신당서"
4 "세종실록지리지"
5 "성종실록"
6 "삼국유사"
7 "삼국사기"
8 "동문선"
9 우태연, "고려초 지명별호의 제정과 그 운용(하)" 12 : 1989
10 변태섭, "고려조의 문반과 무반, In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71
11 김당택, "고려시대의 참직" 20 : 1989
12 박용운, "고려시대의 관직과 관계, In 고려시대 관계 ․ 관직 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7
13 이진한, "고려시대 참상 · 참외직의 구분과 녹봉, In 고려전기 관직과 녹봉의 관계 연구" 일지사 1999
14 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의 실제와 그 기능(상), In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 연구" 일지사 1990
15 김용선, "고려시대 음서제도에 대한 재검토, In 고려음서제도연구" 일조각 1991
16 한정수, "고려시대 국왕 잔치의 양상과 그 성격" 역사교육연구회 (118) : 51-85, 2011
17 권순형, "고려시대 宮人의 職制와 생활" 이화사학연구소 (41) : 107-137, 2010
18 "고려사절요"
19 "고려사"
20 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21 이정란, "고려 후비의 칭호에 관한 고찰"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2 : 1996
22 권순형, "고려 內職制의 비교사적 고찰 ―요ㆍ금제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39) : 161-192, 2009
23 "경국대전"
24 박종기, "高麗時代 追贈制度" 한국학연구소 31 : 95-122, 2009
25 최진열, "隋唐 本籍地封爵의 性格 ― 門閥·郡望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20) : 377-430, 2008
26 최진열, "唐代 여성 爵號(邑號)의 性格 ―邑號와 본적지·郡望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3) : 181-226, 2008
27 박용운, "『고려사』 백관지 역주" 신서원 2009
28 박용운, "『高麗史』選擧志 譯註" 경인문화사 2012
17~18세기 야금(夜禁)제의 운영과 범야자(犯夜者)의 실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1.012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