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P.E.T.훈련프로그램이 참여한 어머니들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P.E.T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P.E.T 훈련을 받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911810
용인 :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375.16 판사항(4)
경기도
71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38-3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P.E.T.훈련프로그램이 참여한 어머니들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P.E.T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P.E.T 훈련을 받은...
본 연구의 목적은 P.E.T.훈련프로그램이 참여한 어머니들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P.E.T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P.E.T 훈련을 받은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으며 자녀의 태도에 대해 반응하는 심리적 자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P.E.T)은 어머니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가?
[연구문제1]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P.E.T)이 자녀를 대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는 유치원 어머니 34명을 대상으로 각각 17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P.E.T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훈련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P.E.T훈련을 실시하고 그 변화를 비교하기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P,E,T.훈련을 실시한지 8주가 경과된 후에 실험, 통제집단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김혜숙(1989)이 제작한 의사소통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첫째,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에 있어서 P.E.T부모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P.E.T부모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자녀를 대하는 어머니들의 심리적 자세에 있어서도 설문지 조사 결과, 어머니들은 의사소통걸림돌의 사용이 줄어들고 나-메세지와 반영적 경청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자녀가 부모에게 항상 절대적으로 복종해야하는 수동적 존재여야 한다는 심리적 자세가 수용적인 자세로 변화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P.E.T 부모훈련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고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자세를 갖게 하기 때문에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 강사의 변인과 참여자 개인이나 참여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어머니만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자녀나 배우자를 같이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P.E.T.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그 지속성을 알아보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장기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추후 검사가 필요하다.
넷째, 부모교육은 인식이 중요하므로 부모 및 예비부모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 조성 및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연구대상자들이 임하게 되는 사전, 사후 검사의 응답환경에 보다 철저한 통제를 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P.E.T. 프로그램은 서구에서 개발된 것으로 우리나라 가정문화와 의사소통 양식을 제대로 반영한 프로그램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러므로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가정적 요소를 고려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s and the validity of P.E.T. program by observing how P.E.T. program trained parents are chang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in terms of communication skill and perception towards each o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s and the validity of P.E.T. program by observing how P.E.T. program trained parents are chang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in terms of communication skill and perception towards each other.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and analyse the changes happening to the P.E.T program trained parents and to various teaching behaviour i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The subjects were 34 mothers of kindergarten children and totally 24 hour long P.E.T. training was executed over 8 weeks of the period, 3 hours per week. Pre investigation and pos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effectively examine the effects over the communication ski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T. train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communication skill ('I' messaging skill and active listening skill) was improved during the period through P.E.T. program and additionally that inter communication skill between P.E.T train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was improved as well.
In result, P.E.T. program is very effective education program which makes it possible to create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