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본 자전거도로 실태분석- 서울특별시 자전거 전용도로를 중심으로 =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Bike Lanes from a Public Design Perspective - Focused on Seou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bike lanes in Seoul from theperspective of public design. Based on ‘Seoul Public Design Guideline 2020’,‘Seoul Bike Lane Design and Maintenance Manual (2017)’, and ‘Global StreetDesign Guide (2016)’, three evaluation criteria, namely continuity, safety, anddomain,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the ‘Seoul Bike Guide Map (2022)’, thelocations of bike lanes were identified and related photos were collected throughKakao Map Road View.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network system of bikelanes in Seoul is not sufficient for continuous riding since there are interruptions inconflicting sections with adjacent street components such as sidewalks, roadways,green area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bike path infrastructure, such as lowering curbs of bicycle entrances, crosswalks, andintersections which involve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In addition, it isnecessary to provide comfort and enough space to secure the territoriality of thebike lanes through clear route indi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bike lanes in Seoul from theperspective of public design. Based on ‘Seoul Public Design Guideline 2020’,‘Seoul Bike Lane Design and Maintenance Manual (2017)’, and ‘Global StreetDesign Gui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bike lanes in Seoul from theperspective of public design. Based on ‘Seoul Public Design Guideline 2020’,‘Seoul Bike Lane Design and Maintenance Manual (2017)’, and ‘Global StreetDesign Guide (2016)’, three evaluation criteria, namely continuity, safety, anddomain,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the ‘Seoul Bike Guide Map (2022)’, thelocations of bike lanes were identified and related photos were collected throughKakao Map Road View.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network system of bikelanes in Seoul is not sufficient for continuous riding since there are interruptions inconflicting sections with adjacent street components such as sidewalks, roadways,green area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bike path infrastructure, such as lowering curbs of bicycle entrances, crosswalks, andintersections which involve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In addition, it isnecessary to provide comfort and enough space to secure the territoriality of thebike lanes through clear route ind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의 자전거 전용도로를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자전거 이용자 중심의 안전한 자전거도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서울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20』에서 제시하는 공공공간의 목표와 Global􀀁 Designing􀀁Cities􀀁 Initiative(GDCI)의 『Global􀀁 Street􀀁 Design􀀁 Guide』(2016),􀀁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유지관리 매뉴얼(2017)’,􀀁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 유지관리 매뉴얼(2017)’을 종합하여 연속성,􀀁 안전성,􀀁 영역성의 세 가지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서울시 도시교통실 자전거정책과에서 발행한 ‘서울 자전거길 안내지도 2022’를 참고하여 자전거 전용도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카카오맵 로드뷰를 통해 대상지 현황사진을 수집하였다.􀀁 서울시 자전거도로는 구간별로 단절되어 연속적 주행을 위한 네트워크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보도와 차도,􀀁 녹지대,􀀁 교통시설물 등의 인접 가로구성요소와의 상충구간에서 주행단절구간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도심 내 자전거 유출입부와 횡단보도,􀀁 교차로 구간을 중심으로 보도턱 낮춤 등의 시급한 이용환경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명확한 노선표시를 통한 자전거도로의영역성 확보를 통해 주행의 방향성 제시 및 안전한 이용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의 자전거 전용도로를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자전거 이용자 중심의 안전한 자전거도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

      본 연구는 서울의 자전거 전용도로를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자전거 이용자 중심의 안전한 자전거도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서울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20』에서 제시하는 공공공간의 목표와 Global􀀁 Designing􀀁Cities􀀁 Initiative(GDCI)의 『Global􀀁 Street􀀁 Design􀀁 Guide』(2016),􀀁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유지관리 매뉴얼(2017)’,􀀁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 유지관리 매뉴얼(2017)’을 종합하여 연속성,􀀁 안전성,􀀁 영역성의 세 가지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서울시 도시교통실 자전거정책과에서 발행한 ‘서울 자전거길 안내지도 2022’를 참고하여 자전거 전용도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카카오맵 로드뷰를 통해 대상지 현황사진을 수집하였다.􀀁 서울시 자전거도로는 구간별로 단절되어 연속적 주행을 위한 네트워크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보도와 차도,􀀁 녹지대,􀀁 교통시설물 등의 인접 가로구성요소와의 상충구간에서 주행단절구간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도심 내 자전거 유출입부와 횡단보도,􀀁 교차로 구간을 중심으로 보도턱 낮춤 등의 시급한 이용환경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명확한 노선표시를 통한 자전거도로의영역성 확보를 통해 주행의 방향성 제시 및 안전한 이용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보 ; 윤진호, "포털사이트 로드뷰 이미지를 활용한 가로경관특성분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4 (14): 279-304, 2012

      2 이경환 ; 고은정,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33-42, 2020

      3 심승보 ; 정재진, "주행 안전을 위한 joint deep learning 기반의 도로 노면 파손 및 장애물 탐지 알고리즘" 한국ITS학회 20 (20): 95-111, 2021

      4 이현정, "자전거도로를 이용한 관광도시 발전방안"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423-439, 2010

      5 정규수 ; 이영인, "자전거 도로의 안내표지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8 (28): 99-108, 2010

      6 홍석기, "자전거 관광도시 서울을 위한 정책방향" 1-22, 2011

      7 지우석, "자전거 고속도로, 미래도시를 위한 혁신" 1-17, 2018

      8 김숙희 ; 임혜진, "수원시 자전거 이용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토지이용별 적용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 41 (41): 257-265, 2021

      9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보행자전거과,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 유지관리 매뉴얼"

      10 황선근 ; 이수기, "서울시 자전거 교통사고의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6 (56): 83-96, 2021

      1 김형보 ; 윤진호, "포털사이트 로드뷰 이미지를 활용한 가로경관특성분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4 (14): 279-304, 2012

      2 이경환 ; 고은정,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33-42, 2020

      3 심승보 ; 정재진, "주행 안전을 위한 joint deep learning 기반의 도로 노면 파손 및 장애물 탐지 알고리즘" 한국ITS학회 20 (20): 95-111, 2021

      4 이현정, "자전거도로를 이용한 관광도시 발전방안"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423-439, 2010

      5 정규수 ; 이영인, "자전거 도로의 안내표지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8 (28): 99-108, 2010

      6 홍석기, "자전거 관광도시 서울을 위한 정책방향" 1-22, 2011

      7 지우석, "자전거 고속도로, 미래도시를 위한 혁신" 1-17, 2018

      8 김숙희 ; 임혜진, "수원시 자전거 이용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토지이용별 적용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 41 (41): 257-265, 2021

      9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보행자전거과,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 유지관리 매뉴얼"

      10 황선근 ; 이수기, "서울시 자전거 교통사고의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6 (56): 83-96, 2021

      11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디자인정책과, "서울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20"

      12 이해서 ; 장영호 ; 김주연, "사례분석을 통한 시흥시 그린웨이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23-132, 2020

      13 김숙희 ; 김형준 ; 이남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원시 자전거 전용차로 도입 방안" 대한토목학회 42 (42): 45-56, 2022

      14 유경상, "보행자 중심으로 전환한 도로정책에 따라 보행사고 위험 높은 교통섬부터 정비해야"

      15 송하엽 ; 임소정, "도시생활형 자전거 관련시설 및 자전거 정보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인천시 구도심 지역의 자전거 관련시설 개선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193-201, 2013

      16 김도훈 ; 조한선 ; 김응철, "도시부 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10 (10): 117-126, 2008

      17 신예철 ; 김영걸 ; 구자훈,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5-22, 2010

      18 정원준, "고령사회 보행자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현황 실태연구 -광안리해변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80 : 249-262, 2022

      19 김용수, "경주시 자전거 전용도로 경관만족요인 분석" 27 (27): 1-11, 2000

      20 Amsden, BL,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sense of place ina tourism-dependent community" 33 (33): 32-51, 2010

      21 Global Designing Cities Initiative, "Global Street Design Guide"

      22 손유진 ; 황인식, "GIS기반의 계층분석기법(AHP)을 활용한 부산시 자전거도로망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182-190, 2009

      23 Li, X, "Advances in cartography and GIScience" Springer 341-356, 2017

      24 서울특별시 자전거정책과 자전거도로사업팀, "21년 자전거도로 및 주차시설통계현황(20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