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이삭 디네센의 고딕 이야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45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쏠 벨로우(Saul Bellow)의 소설 『오기 마치의 모험』의 주인공이 자신의 내부에 잠재한 소외충동을 정신적 재생(再生)을 통하여 극복하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사회로 복귀하는 자아 탐구의 과정을 살피는데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작가가 강조하는 신(新) 개념의 휴머니즘이 고찰되어진다.
      벨로우는 개인의 자아탐구의 과정에서 신 개념의 휴머니즘과 경험주의의 역할을 강조한다. 벨로우는 미학적 이데올로기에 경도되어 인간성에 대한 관심을 잃어가는 모더니즘 경향을 배격하고, ‘보다 인간다운 학예!’를 요구하는 휴머니즘 정신을 그의 작품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가 이 작품에서 제시하는 신(新) 개념의 휴머니즘은 인간의 유한성과 부조리한 현실을 인정하는 가운데 개인의 정체성과 참된 운명을 추구하는 것을 지향한다. 그리고 오기의 다양한 삶의 경험은 그를 휴머니즘적 인식의 변화로 이끌어내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오기는 과거 16세기 및 18세기 휴머니즘에 뿌리를 두는 낭만적 이상주의에 비추어 현실을 판단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대적 좌절감을 느끼고 사회로부터 일탈을 반복하는 인물이다. 그는 특히 마키아벨리형 인물들과의 관계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해 갈등을 느끼며, 이러한 갈등을 서양 휴머니즘 사상의 이상주의(理想主義)를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하지만 초인(超人)과 유토피아로 구체화된 오기의 이상(理想)이 오류(誤謬)임이 드러난다. 왜냐하면 초인과 유토피아에 대한 이상(理想)은 인간성과 인간의 능력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던 과거 휴머니즘 사상의 기형(奇形)적 유산(遺産)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기는 인간에 대한 현실감각을 회복하고 소외로부터 참여를 결심하게 되는데, 그것은 멕시코에서 경험한 죽음의 문제에 관한 사건을 통해 인간성에 대한 그의 인식이 변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오기는 인간이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인간의 숙명적 불완전함도 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기는 ‘인간 이상’(more-than-human)’이라는 이상(理想)을 가지고 소외를 고집하던 옛 자아를 내려놓고, ‘나’와 ‘타인’의 공동체적 운명을 추구하는 새로운 자아로 나아간다. 다시 말하면 옛 자아가 죽고 새로운 자아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죽음의 문제는 바흐친의 ‘카니발 정신’ 중 ‘유쾌한 상대성’과 ‘하강’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삶과 죽음의 공존’과 ‘죽음을 통한 재생’이 오기의 옛 자아 죽음의 수용과 새로운 자아 탄생의 모티브가 되기 때문이다.
      오기는 자신의 극단적 이상주의의 오류를 깨닫고 인간에 대한 보다 따뜻한 이해를 한 후 사회로 돌아온다. 그의 적극적 사회 참여 의식은 이제까지 그가 추구했던 ‘근사한 운명’이 ‘나와 타인’ 이라는 공동체 의식으로 확장된 것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벨로우는 『오기 마치의 모험』에서 주인공의 자아탐구 과정과 그 결과를 통해 그가 여러 작품에서 거듭하여 다루는 개인의 운명탐색과 공동체의 조화라는 주제를 다시 강조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쏠 벨로우(Saul Bellow)의 소설 『오기 마치의 모험』의 주인공이 자신의 내부에 잠재한 소외충동을 정신적 재생(再生)을 통하여 극복하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본 논문의 목적은 쏠 벨로우(Saul Bellow)의 소설 『오기 마치의 모험』의 주인공이 자신의 내부에 잠재한 소외충동을 정신적 재생(再生)을 통하여 극복하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사회로 복귀하는 자아 탐구의 과정을 살피는데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작가가 강조하는 신(新) 개념의 휴머니즘이 고찰되어진다.
      벨로우는 개인의 자아탐구의 과정에서 신 개념의 휴머니즘과 경험주의의 역할을 강조한다. 벨로우는 미학적 이데올로기에 경도되어 인간성에 대한 관심을 잃어가는 모더니즘 경향을 배격하고, ‘보다 인간다운 학예!’를 요구하는 휴머니즘 정신을 그의 작품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가 이 작품에서 제시하는 신(新) 개념의 휴머니즘은 인간의 유한성과 부조리한 현실을 인정하는 가운데 개인의 정체성과 참된 운명을 추구하는 것을 지향한다. 그리고 오기의 다양한 삶의 경험은 그를 휴머니즘적 인식의 변화로 이끌어내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오기는 과거 16세기 및 18세기 휴머니즘에 뿌리를 두는 낭만적 이상주의에 비추어 현실을 판단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대적 좌절감을 느끼고 사회로부터 일탈을 반복하는 인물이다. 그는 특히 마키아벨리형 인물들과의 관계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해 갈등을 느끼며, 이러한 갈등을 서양 휴머니즘 사상의 이상주의(理想主義)를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하지만 초인(超人)과 유토피아로 구체화된 오기의 이상(理想)이 오류(誤謬)임이 드러난다. 왜냐하면 초인과 유토피아에 대한 이상(理想)은 인간성과 인간의 능력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던 과거 휴머니즘 사상의 기형(奇形)적 유산(遺産)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기는 인간에 대한 현실감각을 회복하고 소외로부터 참여를 결심하게 되는데, 그것은 멕시코에서 경험한 죽음의 문제에 관한 사건을 통해 인간성에 대한 그의 인식이 변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오기는 인간이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인간의 숙명적 불완전함도 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기는 ‘인간 이상’(more-than-human)’이라는 이상(理想)을 가지고 소외를 고집하던 옛 자아를 내려놓고, ‘나’와 ‘타인’의 공동체적 운명을 추구하는 새로운 자아로 나아간다. 다시 말하면 옛 자아가 죽고 새로운 자아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죽음의 문제는 바흐친의 ‘카니발 정신’ 중 ‘유쾌한 상대성’과 ‘하강’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삶과 죽음의 공존’과 ‘죽음을 통한 재생’이 오기의 옛 자아 죽음의 수용과 새로운 자아 탄생의 모티브가 되기 때문이다.
      오기는 자신의 극단적 이상주의의 오류를 깨닫고 인간에 대한 보다 따뜻한 이해를 한 후 사회로 돌아온다. 그의 적극적 사회 참여 의식은 이제까지 그가 추구했던 ‘근사한 운명’이 ‘나와 타인’ 이라는 공동체 의식으로 확장된 것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벨로우는 『오기 마치의 모험』에서 주인공의 자아탐구 과정과 그 결과를 통해 그가 여러 작품에서 거듭하여 다루는 개인의 운명탐색과 공동체의 조화라는 주제를 다시 강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lucidates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of the hero Augie in Saul Bellow's novel, The Adventures of Augie March. In this process, the hero overcomes the impulse of alienation latent in himself, and returns to his society with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e modern concept of humanism which Bellow emphasizes in this novel will also be discussed.
      Bellow denounces modernism which is more interested in aesthetic ideology than in human beings, and tries to realize a new humanism, which calls for ‘more humane arts'. But Bellow's humanism is distinguished from the so called Renaissance humanism; he regards the struggle for human destiny, limited in human incompleteness and absurd reality, as characteristic of genuine humanity. It is Augie's experience that leads him to the attitude of this humanism
      Since Augie judges reality by a system of idealism deriving from the 16th-century and 18th-century romantic humanism, he eventually sees the life around him as comparatively frustrating and accordingly breaks away from people and community. In particular, he has conflicts with ‘Machiavellians' and 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him, and tries to resolve them through idealism of Western humanism. But Augie's idealism embodied in the ideas of ‘great Man' and ‘Utopia' is erroneous because they are distortions of human reality ignoring human incompleteness.
      However, Augie comes to recover the sense of human reality through a series of experiences in Mexico involving death, and decides to commit himself into society. In other words, Augie's old self, who has insisted on the vain idea of ‘more-than-human', experiences a metaphysical death, and a new self is regenerated. The new self is aware of the incompleteness of human nature. The problem of death in this text is resolved based on Bakhtin's two concepts of carnival spirits, ‘gay relativity' and ‘degradation'. The motifs of the death of Augie's old self and the birth of the new self are similar to Bakhtinian concepts of heterogeneous coexistence of two opposite things, death and life, and of regeneration through death among carnival spirits.
      Augie March gets to realize the fallacy of his anachronistic idealism and returns to his community with a new vision of 'good enough fate' not only for himself but also for other people. In this journey of Augie March Bellow's belief in searching for humanity in harmony with society is vividly expressed.
      번역하기

      This thesis elucidates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of the hero Augie in Saul Bellow's novel, The Adventures of Augie March. In this process, the hero overcomes the impulse of alienation latent in himself, and returns to his society with a new unders...

      This thesis elucidates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of the hero Augie in Saul Bellow's novel, The Adventures of Augie March. In this process, the hero overcomes the impulse of alienation latent in himself, and returns to his society with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e modern concept of humanism which Bellow emphasizes in this novel will also be discussed.
      Bellow denounces modernism which is more interested in aesthetic ideology than in human beings, and tries to realize a new humanism, which calls for ‘more humane arts'. But Bellow's humanism is distinguished from the so called Renaissance humanism; he regards the struggle for human destiny, limited in human incompleteness and absurd reality, as characteristic of genuine humanity. It is Augie's experience that leads him to the attitude of this humanism
      Since Augie judges reality by a system of idealism deriving from the 16th-century and 18th-century romantic humanism, he eventually sees the life around him as comparatively frustrating and accordingly breaks away from people and community. In particular, he has conflicts with ‘Machiavellians' and 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him, and tries to resolve them through idealism of Western humanism. But Augie's idealism embodied in the ideas of ‘great Man' and ‘Utopia' is erroneous because they are distortions of human reality ignoring human incompleteness.
      However, Augie comes to recover the sense of human reality through a series of experiences in Mexico involving death, and decides to commit himself into society. In other words, Augie's old self, who has insisted on the vain idea of ‘more-than-human', experiences a metaphysical death, and a new self is regenerated. The new self is aware of the incompleteness of human nature. The problem of death in this text is resolved based on Bakhtin's two concepts of carnival spirits, ‘gay relativity' and ‘degradation'. The motifs of the death of Augie's old self and the birth of the new self are similar to Bakhtinian concepts of heterogeneous coexistence of two opposite things, death and life, and of regeneration through death among carnival spirits.
      Augie March gets to realize the fallacy of his anachronistic idealism and returns to his community with a new vision of 'good enough fate' not only for himself but also for other people. In this journey of Augie March Bellow's belief in searching for humanity in harmony with society is vividly expre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논문개요 = 1
      • I. 신(新) 휴머니즘과 경험주의에 근거한 자아탐구 = 3
      • II. 현실과 휴머니즘적 이상(理想) 사이의 갈등
      • 1. 현실에 대한 실망 = 14
      • 목차
      • 논문개요 = 1
      • I. 신(新) 휴머니즘과 경험주의에 근거한 자아탐구 = 3
      • II. 현실과 휴머니즘적 이상(理想) 사이의 갈등
      • 1. 현실에 대한 실망 = 14
      • 2. 초인(超人)에 대한 동경 = 25
      • 3. 유토피아에 대한 동경 = 41
      • III. 정신적 재생과 사회로의 복귀
      • 1. 죽음의 문제를 통한 재생 = 49
      • 2. 사회참여의 계시 = 67
      • IV. 결론 = 75
      • 인용문헌 = 79
      • 영문초록 =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