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르쿠제의 생물학적 혁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2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르쿠제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문명비판임과 동시에 해방이론으로서 그의 비판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아주 특징적인 것이다. 그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재해석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프로이트주의를 정신치료의 차원에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사회이론이나 정신분석의 철학으로 격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는 현대문명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이 논문은 마르쿠제의 ��Å��Å에로스와 문명-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탐구��Å��속에 있는 ‘문명(화)의 변증법’을 재구성하고, 그 속에 드러난 ‘본능구조 혁명이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1) 마르쿠제의 비판이론과 프로이트주의의 관계, 2) 마르쿠제의 프로이트주의적 문명비판, 3) 생물학적 혁명에 대한 마르쿠제의 전망, 4) 본능구조의 혁명의 내용 등을 차례대로 정리하고, 5) 결론 : 혁명과 유토피아에서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마르쿠제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문명비판임과 동시에 해방이론으로서 그의 비판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아주 특징적인 것이다. 그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재해석에서 ...

      마르쿠제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문명비판임과 동시에 해방이론으로서 그의 비판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아주 특징적인 것이다. 그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재해석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프로이트주의를 정신치료의 차원에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사회이론이나 정신분석의 철학으로 격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는 현대문명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이 논문은 마르쿠제의 ��Å��Å에로스와 문명-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탐구��Å��속에 있는 ‘문명(화)의 변증법’을 재구성하고, 그 속에 드러난 ‘본능구조 혁명이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1) 마르쿠제의 비판이론과 프로이트주의의 관계, 2) 마르쿠제의 프로이트주의적 문명비판, 3) 생물학적 혁명에 대한 마르쿠제의 전망, 4) 본능구조의 혁명의 내용 등을 차례대로 정리하고, 5) 결론 : 혁명과 유토피아에서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rbert Marcuse's theory of Biological Revolution is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and rather unique to his critical theory as revolution theory. This theory originated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Freud's theory. He accepted Freud's theory not as psychoanalysis itself, but as the critical theory of society or the philosophy of psychoanalysis. By doing so, he attempt to not only criticize contemporary civilization, but seek to possibility of emancipation from repression.
      Reconstructing the dialectic of civilization(culture) in Marcuse's work Eros and Civilization :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Freud, this paper aim to pursu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s. Therefor I have summarized the following : 1) The relation between Marcuse's critical theory and Freudianism, 2) Marcuse's Freudian critique of civilization, 3) his expectation or vision of biological revolution, 4) the concrete, material contents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 And then enumerated the problems of that revolution.
      번역하기

      Herbert Marcuse's theory of Biological Revolution is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and rather unique to his critical theory as revolution theory. This theory originated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Freud's theory. He accepted Freud's theory not as psy...

      Herbert Marcuse's theory of Biological Revolution is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and rather unique to his critical theory as revolution theory. This theory originated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Freud's theory. He accepted Freud's theory not as psychoanalysis itself, but as the critical theory of society or the philosophy of psychoanalysis. By doing so, he attempt to not only criticize contemporary civilization, but seek to possibility of emancipation from repression.
      Reconstructing the dialectic of civilization(culture) in Marcuse's work Eros and Civilization :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Freud, this paper aim to pursu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s. Therefor I have summarized the following : 1) The relation between Marcuse's critical theory and Freudianism, 2) Marcuse's Freudian critique of civilization, 3) his expectation or vision of biological revolution, 4) the concrete, material contents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 And then enumerated the problems of that rev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서론 : 마르쿠제의 비판이론과 프로이트주의
      • 2. 마르쿠제의 프로이트주의적 문명비판
      • 1) 억압으로서 문명
      • 2) 억압된 개인의 기원
      • 요약문
      • 1. 서론 : 마르쿠제의 비판이론과 프로이트주의
      • 2. 마르쿠제의 프로이트주의적 문명비판
      • 1) 억압으로서 문명
      • 2) 억압된 개인의 기원
      • 3) 억압된 문명의 기원
      • 4) 억압과 자유의 변증법으로서 문명
      • 3. 생물학적 혁명에 대한 마르쿠제의 전망
      • 1) 현대의 상황
      • 2) 생물학적 혁명의 가능성
      • 3) 현실원칙에 반대하는 환상(상상력)
      • 4. 본능 구조의 혁명
      • 5. 결론 : 혁명과 유토피아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