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 마늘 분말을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본 연구에서는 새싹 마늘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첨가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평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막걸리는 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93508
서울 :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2022
한국어
641.21 판사항(22)
서울
63p. : 삽도 ; 26cm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Sprouted Garlic Powder
지도교수:이승주
참고문헌: p.57~61
I804:11042-20000063308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싹 마늘 분말을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본 연구에서는 새싹 마늘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첨가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평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막걸리는 국...
새싹 마늘 분말을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본 연구에서는 새싹 마늘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첨가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평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막걸리는 국내산 찹쌀과 우리 밀 누룩을 사용하여 술 빚는 과정에서 단양주로 제조하였다. 저장 마늘 6g의 마늘을 17℃에서 12일동안 비순환 방식의 수경재배기로 재배하여 동결 건조하여 분쇄해서 만든 분말을 고두밥을 누룩과 함께 첨가량을 달리하여7일 동안 25℃에서 발효과정의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고 새싹마늘의 첨가 농도를 달리한 막걸리의 발효 중 pH는 초기 4.9-5.4에서 발효 3일째 3.4-3.9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발효가 시작된 후 4일부터 7일까지 완만히 증가하여 3.9-4.0이 되었다. 적정산도는 초기에 0.12-0.18%에서 발효 3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0.62-0.79% 였다. 그러나 발효 4일째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발효 7일째가 되었을 때 0.32-0.40%가 되었다. 적정산도는 초기에 0.12-0.18%에서 발효 3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0.62-0.79% 였다. 그러나 발효 4일째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발효 7일째가 되었을 때 0.32-0.40%가 되었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은 새싹마늘 첨가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 점수를 받았으나, 대조군과 시험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새싹마늘을 0.05% 첨가하여 제조된 막걸리는 맛에 대한 기호도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막걸리에서 분리된 향기 성분은 총 36가지였으며, ethanol, 2-phenylethanol, 3-methylbutan-1-ol (isoamyl alcohol)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새싹마늘 분말 0.05%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맛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여 새싹마늘 막걸리의 제품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새싹마늘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막걸리의 고급화와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