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인적자원부, "함께 풀어가는 성 이야기" 2001a
2 교육인적자원부, "함께 풀어가는 성 이야기" 2001b
3 조영미, "한국 페미니즘 성연구의 현황과 전망" 동녘 1999
4 조한혜정,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5 조한혜정,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1996
6 양원정, "학교 성교육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2002
7 한국여성민우회, "학교 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996b
8 엄기호, "포르노 문화를 통해 본 청소년 섹슈얼리티 연구" 1998
9 권수현, "청소년의 성적 자기 결정권" 한국여성학회 2001
10 한국여성민우회, "청소년의 건강한 성의식 전달기법에 대한 연구" 1999b
1 교육인적자원부, "함께 풀어가는 성 이야기" 2001a
2 교육인적자원부, "함께 풀어가는 성 이야기" 2001b
3 조영미, "한국 페미니즘 성연구의 현황과 전망" 동녘 1999
4 조한혜정,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5 조한혜정,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1996
6 양원정, "학교 성교육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2002
7 한국여성민우회, "학교 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996b
8 엄기호, "포르노 문화를 통해 본 청소년 섹슈얼리티 연구" 1998
9 권수현, "청소년의 성적 자기 결정권" 한국여성학회 2001
10 한국여성민우회, "청소년의 건강한 성의식 전달기법에 대한 연구" 1999b
11 이동연, "청소년은 보호받아야 할 주체들인가"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 2000
12 이진순, "청소년성보호법의 제정과 적용에 관한 연구: ‘원조교제’ 현상을 둘러싼 법적 논의를 중심으로" 2002
13 고길섶, "청소년보호법은 폐지되어야 한다"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 2000
14 박연미, "청소년기의 ‘개념화’와 청소년의 성" 2006
15 김현미, "청소년기와 섹슈얼리티" 지식마당 2002
16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 "청소년과 성트기" 2004b
17 도종수. 1990, "청소년 유해환경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 한국청소년연구원"
18 한국성폭력상담소, "청소년 성문화를 통해본 성폭력 실태 및 대책" 1996
19 조한혜정, "청소년 성문화: 성적 주체로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14 (14): 1998
20 서울여성의전화, "청소년 관점에서 바라본 청소년 유해만화 조사 및 분석 보고서" 2001
21 한국성폭력상담소, "중등교원 대상 성교육ㆍ성상담 교사 연수 자료집" 2001
22 한국성폭력상담소, "중등교원 대상 성교육ㆍ성상담 교사 연수 자료집" 1999b
23 최충옥, "유해환경과 청소년 문제" 한국교육사회학회 7 (7): 1997
24 김연주, "원조교제를 통해 본 청소녀의 섹슈얼리티와 행위자성" 2003
25 한국성폭력상담소, "우리들의 약속" 2004
26 서울여성의전화, "열린 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 성교육 사례발표회 자료집" 1999a
27 나윤경, "여성주의적 성교육" 지식마당 2002
28 김현미, "여성주의 성교육을 위한 모색" 한국여성학회 13 (13): 1997
29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여성주의 성교육 강의안" 2002b
30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여성주의 성교육 강사 워크숍 자료집" 2002a
31 이경미, "여성의 육체적 쾌락은 복원될 것인가" 창작과비평사 (8) : 1997
32 김은실,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또 하나의 문화 2001
33 장필화. 1989, "에 관련한 여성해방론의 이해와 문제"
34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 "아하! 청소년 성교육 프로그램 웍샵" 2006
35 한국성폭력상담소, "십대의 성산업 유입과 남성 성문화" 1999a
36 이효희, "십대여성의 성적서비스 경험에 관한 여성주의적 접근" 1998
37 신상숙,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딜레마" 창작과비평사 (13) : 2001
38 변혜정, "성폭력 의미 구성과 여성의 차이" 동녘 1999
39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 예방교육 워크샵 자료집" 2005a
40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 가해예방 교육 프로그램 매뉴얼-입장바꿔, 문화바꿔" 2005b
41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 "성은 인권이다! 사랑해요 존중해요" 2004a
42 한국성폭력상담소, "성문화와 성폭력에 미치는 음란물의 영향" 1997
43 황은자. 1993, "성교육 지침서 분석을 통해 본 성 이중성"
44 서울여성의전화, "성교육 전문강사 양성 교육 자료집" 1999c
45 한국여성민우회, "성교육 전문 강사 워크샵 자료집" 2004b
46 한국여성민우회, "성교육 방법론 연구" 1999a
47 이동연, "보호와 육성의 이분법을 넘어" 생각의 나무 21 : 2003
48 엄연수, "로맨스 문화를 통해 본 여고생의 성의 사회화에 관한 연구" 1997
49 서울여성의전화, "딸들을 위한 캠프" 1999b
50 김은실, "대중문화와 성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재현" 한국여성학회 14 (14): 1998
51 한국성폭력상담소, "너 무슨 생각하고 있니" 1998
52 한국여성민우회, "내 몸의 주인은 나" 1996a
53 한국여성민우회, "내 몸의 주인은 나" 2004a
54 한국여성민우회, "내 몸의 주인은 나" 2003
55 서울YMCA청소년성교육상담실, "금기와 허용, 그 벽을 넘어서" 2000
56 구성애의푸른아우성, "구성애의 아우성 2005" 2005
57 구성애의푸른아우성, "구성애의 성교육" 1995
58 구성애의푸른아우성, "구성애의 빨간책" 2003
59 강보길, "교육현장에서의 여학생의 성별화 과정" 1996
60 유은주, "교사의 교육경험을 통해본 학교 성교육에 관한 여성주의적 접근" 2000
61 한국성폭력상담소, "R U READY? 지금 우리는" 2005
62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 "2005 아하!청소년성교육지도자웍샵 자료집"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