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취업보호제도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 실태 연구: 고용지원금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Investigating Employers’ Subjective Cognition about Policy Instruments to Boost North Korea Defectors’ Employment: Focused on the Financial Policy Instrument for Facilitating North Korea Defectors’ Employ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7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employers those who were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employing the North Korea Defectors evaluate this financial policy instrument and employees’ quality as human resourc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mployers’ cognition about this policy instrument in terms of keeping up, increasing or improving the North Korea Defectors’ employability. All of answers(total 422) were given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it was revealed that this financial support made employers hire the North Korea defectors. It means this policy instrument increases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m Second,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this financial support to keep up their position because employers were satisfied(over 68%) with employment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even though they had decided to hire the North Korean defectors because of financial support at first. Third, it was found out that this policy
      instrument made good effects on creating jobs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employers those who were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employing the North Korea Defectors evaluate this financial policy instrument and employees’ quality as human resources. The survey was co...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employers those who were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employing the North Korea Defectors evaluate this financial policy instrument and employees’ quality as human resourc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mployers’ cognition about this policy instrument in terms of keeping up, increasing or improving the North Korea Defectors’ employability. All of answers(total 422) were given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it was revealed that this financial support made employers hire the North Korea defectors. It means this policy instrument increases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m Second,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this financial support to keep up their position because employers were satisfied(over 68%) with employment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even though they had decided to hire the North Korean defectors because of financial support at first. Third, it was found out that this policy
      instrument made good effects on creating jobs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고용지원금 제도의 정책수혜자인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고용주를 대상으로 고용지원금 제도 적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고용지원금 제도의 정책적 효과를 탐색하고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용지원금을 수령한 기업체의 고용주(총 422명)를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용지원금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북한이탈주민의 ‘고용가능성 향상․유지․개선’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빈도분
      석, 중다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용지원금 제도를 통한 금전적 지원이 고용주로 하여금 북한이탈주민의 일자리 창출의 계기를 만든 것으로 나타나 결국 북한이탈주민의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지원금 제도를 통하여 고용한 북한이탈주민에 대
      한 고용주의 고용만족감이 높다는(만족: 68.7%, 보통: 24.4%, 불만족: 1.95%) 측면에서 고용지원금이 북한이탈주민의 고용가능성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지원금 제도가 북한이탈주민의 일자리 재창출 및 신규 창출 등 고용가능성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행 고용지원금 제도의 효과적인 정책목표 달성을 위하여 ① 고용주를 대상으로 한 제도 홍보 및 교육의 강화, ② 북한이탈주민의 능력개발을 위한 후속적 지원의 체계필요, ③ 북한이탈주민 채용의 긍정적 경험 확장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채용 전 직장적응프로그램의 제공 및 채용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상담 창구 마련 등의 노력이 수반될 것을 개선 과제로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고용지원금 제도의 정책수혜자인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고용주를 대상으로 고용지원금 제도 적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고용지원금 제도의 정책적 효과를 ...

      이 연구의 목적은 고용지원금 제도의 정책수혜자인 북한이탈주민을 고용한 고용주를 대상으로 고용지원금 제도 적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고용지원금 제도의 정책적 효과를 탐색하고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용지원금을 수령한 기업체의 고용주(총 422명)를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용지원금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북한이탈주민의 ‘고용가능성 향상․유지․개선’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빈도분
      석, 중다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용지원금 제도를 통한 금전적 지원이 고용주로 하여금 북한이탈주민의 일자리 창출의 계기를 만든 것으로 나타나 결국 북한이탈주민의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지원금 제도를 통하여 고용한 북한이탈주민에 대
      한 고용주의 고용만족감이 높다는(만족: 68.7%, 보통: 24.4%, 불만족: 1.95%) 측면에서 고용지원금이 북한이탈주민의 고용가능성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지원금 제도가 북한이탈주민의 일자리 재창출 및 신규 창출 등 고용가능성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행 고용지원금 제도의 효과적인 정책목표 달성을 위하여 ① 고용주를 대상으로 한 제도 홍보 및 교육의 강화, ② 북한이탈주민의 능력개발을 위한 후속적 지원의 체계필요, ③ 북한이탈주민 채용의 긍정적 경험 확장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채용 전 직장적응프로그램의 제공 및 채용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상담 창구 마련 등의 노력이 수반될 것을 개선 과제로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일부, "통일백서"

      2 박성재, "탈북이주민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71-96, 2008

      3 노경란,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지원 교육요구 진단과 연령에 따른 차이 분석" 안암교육학회 14 (14): 2008a

      4 박정란, "새터민의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지원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45-70, 2008

      5 노경란, "새터민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07

      6 통일부, "새터민 정착실태 및 개선 대책"

      7 김성윤, "새터민 정착과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4 (14): 231-252, 2009

      8 최의철, "북한인권 개선 및 북한이탈주민 지원 대책 방향"

      9 강일규,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촉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0 선한승,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1 통일부, "통일백서"

      2 박성재, "탈북이주민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71-96, 2008

      3 노경란,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지원 교육요구 진단과 연령에 따른 차이 분석" 안암교육학회 14 (14): 2008a

      4 박정란, "새터민의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지원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45-70, 2008

      5 노경란, "새터민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07

      6 통일부, "새터민 정착실태 및 개선 대책"

      7 김성윤, "새터민 정착과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14 (14): 231-252, 2009

      8 최의철, "북한인권 개선 및 북한이탈주민 지원 대책 방향"

      9 강일규,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촉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0 선한승,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11 이요행,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의식 및 직업지도 실태: 북한이탈주민의 효과적인 직업상담을 위하여"

      12 이우영, "북한이탈주민문제의 종합적 정책 방안 연구"

      13 이성재, "북한이탈주민 취업지원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안" 서강대학교 2003

      14 서윤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의 효율성 제고 방안" 대한정치학회 12 (12): 265-286, 2004

      15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16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프로그램 연구"

      17 이금순, "북한이탈주민 분야별 지원체계 개선 방안"

      18 노경란, "북한이탈주민 노동시장 진입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거주지 적응교육 프로그램 도입 중심" 통일부 2008b

      19 유길상, "고용안정사업 개편방안"

      20 북한인권정보센터, "2005년도 새터민 정착실태 연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