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술·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교수설계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the Dietary Life Doma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술ㆍ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에서 ADDIE 교수설계모형을 바탕으로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학 전문가와 교수ㆍ학습 관련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발된 모형에 대해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모형에서는 내적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최종 모형에는 분석, 설계, 수업 전략 및 평가 개발, 수업 실행,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평가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및 디자인씽킹 주제와 내용 분석을 포함한 과제 분석, 학습자 분석과 학습환경 분석으로 구성된다. 둘째, 설계 단계에서는 생태전환교육과 관련된 단원 선정을 포함한 목표설계, 교수방법 설계 및 평가 설계로 구성된다. 셋째, 수업 전략 및 평가 개발 단계에서는 기후 위기와 기후변화를 반영하여 생태전환교육에 필요한 교수ㆍ학습자료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넷째, 수업 실행 단계에서는 오리엔테이션을 거친 후, 디자인씽킹의 단계별 활동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평가 단계에서는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학생의 성취 수준 분석과 프로그램 운영 단계 평가 및 환류 활동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설계모형은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수업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 교수ㆍ학습자료와 교수전략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술ㆍ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에서 ADDIE 교수설계모형을 바탕으로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학 전문가와 교수ㆍ...

      본 연구는 기술ㆍ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에서 ADDIE 교수설계모형을 바탕으로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학 전문가와 교수ㆍ학습 관련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발된 모형에 대해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모형에서는 내적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최종 모형에는 분석, 설계, 수업 전략 및 평가 개발, 수업 실행,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평가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및 디자인씽킹 주제와 내용 분석을 포함한 과제 분석, 학습자 분석과 학습환경 분석으로 구성된다. 둘째, 설계 단계에서는 생태전환교육과 관련된 단원 선정을 포함한 목표설계, 교수방법 설계 및 평가 설계로 구성된다. 셋째, 수업 전략 및 평가 개발 단계에서는 기후 위기와 기후변화를 반영하여 생태전환교육에 필요한 교수ㆍ학습자료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넷째, 수업 실행 단계에서는 오리엔테이션을 거친 후, 디자인씽킹의 단계별 활동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평가 단계에서는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학생의 성취 수준 분석과 프로그램 운영 단계 평가 및 환류 활동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설계모형은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수업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 교수ㆍ학습자료와 교수전략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odel developed for educational engineering experts and field expert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internal validity was conducted in the final model. The final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ncludes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instructional strategy and evaluation development, instructional execution and program effect analysis and evaluation. Specifically, first, in the analysis stage, it includes task analysis, learner analysis, an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 including demand analysis and design thinking subject and content analysis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Second, in the design stage, learning objectives design, teaching method design and evaluation design including the selection of units related to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re included. Third, in the stage of class strategy and evaluation development, it includes activitie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tools necessary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cluding climate crisis and climate change. Fourth, in the implementation stage of the class, it includes the step-by-step activities of design thinking after orientation. Finally, in the program effect analysis and evaluation stage, it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operation stage, and the feedback activity.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strategies in effectively preparing and developing design thinking-based classes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odel developed for ed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odel developed for educational engineering experts and field expert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internal validity was conducted in the final model. The final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ncludes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instructional strategy and evaluation development, instructional execution and program effect analysis and evaluation. Specifically, first, in the analysis stage, it includes task analysis, learner analysis, an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 including demand analysis and design thinking subject and content analysis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Second, in the design stage, learning objectives design, teaching method design and evaluation design including the selection of units related to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re included. Third, in the stage of class strategy and evaluation development, it includes activitie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tools necessary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cluding climate crisis and climate change. Fourth, in the implementation stage of the class, it includes the step-by-step activities of design thinking after orientation. Finally, in the program effect analysis and evaluation stage, it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operation stage, and the feedback activity.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strategies in effectively preparing and developing design thinking-based classes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