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계황, "한기총을 고발한다"
2 정진경, "한경직 목사의 신앙유산" 숭실대학교출판부 2007
3 이종성, "한경직 목사의 신앙유산" 숭실대학교출판부 2007
4 임혜지, "학살, 고문, 검탈... 서북청년단 만행은 ‘신앙’이 받쳐줬다"
5 지영임, "제주43관련 위령의례의 변화와 종교적 의미" 한국종교학회 (48) : 327-357, 2007
6 박창건, "제주 최초 목사이자 순교자 이도종"
7 이대웅, "제주 4·3 사건 진실 다룬 다큐멘터리 개봉"
8 김종민, "제주 4·3 70년: 어둠에서 빛으로" 제주4·3평화재단 2017
9 서중석, "제주 4·3 70년: 어둠에서 빛으로" 제주4·3평화재단 2017
10 엘러스테어 보네트, "장소의 재발견" 책읽는 수요일 2015
1 장계황, "한기총을 고발한다"
2 정진경, "한경직 목사의 신앙유산" 숭실대학교출판부 2007
3 이종성, "한경직 목사의 신앙유산" 숭실대학교출판부 2007
4 임혜지, "학살, 고문, 검탈... 서북청년단 만행은 ‘신앙’이 받쳐줬다"
5 지영임, "제주43관련 위령의례의 변화와 종교적 의미" 한국종교학회 (48) : 327-357, 2007
6 박창건, "제주 최초 목사이자 순교자 이도종"
7 이대웅, "제주 4·3 사건 진실 다룬 다큐멘터리 개봉"
8 김종민, "제주 4·3 70년: 어둠에서 빛으로" 제주4·3평화재단 2017
9 서중석, "제주 4·3 70년: 어둠에서 빛으로" 제주4·3평화재단 2017
10 엘러스테어 보네트, "장소의 재발견" 책읽는 수요일 2015
11 김성진, "윤정부, ‘4.3완전해결’ 길 가려면…"
12 이병철, "양정심 실장 “서북청년단의 북한정권에 분노, 제주도민에 악행으로 화풀이”"
13 이승록, "약속지킨 윤석열 당선인 “제주4·3 아픔 치유는 대한민국의 몫”"
14 민일성, "변상욱 “제주4·3 서북청년단, 선교사 줄타고 미군정에 채용”"
15 강돈구, "미군정의 종교정책" 12 : 1993
16 제주4·3연구소, "그늘 속의 4·3: 사.삶과 기억" 선인 2009
17 고원상, "“이제야 한이 풀어졌다”…제주4·3보상금 통지서 전달시작"
18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25 전쟁사 1- 전쟁의 배경과 원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4
19 좌동철, "4·3희생자 300명 국가보상금 첫 지급결정 ‘74년만에 한 풀었다’"
20 박창건, "4·3사건과 조남수 목사 공덕비"
21 이지수, "4·3 사건 진압한 서북청년단 4·3사건에서 ‘돌격대 노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