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몽골 영웅신화 전승의 세 가지 축과 북방 노마드의 신화 정체성 ‒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의 ‘영웅’과 ‘이상국’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ree Axes of Transmission and the Nothern Nomad Identity of the Mongolian Myth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Heroes and Utopias in the Mongolian Heroic Epic <Jang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2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ngolian nomads have been based in the northern steppe and Altai region, and have repeatedly migrated and gathered ethnic groups in the vast Eurasia region. In this historical process of gathering and gathering, the ironic concepts of ‘myth’ and ...

      Mongolian nomads have been based in the northern steppe and Altai region, and have repeatedly migrated and gathered ethnic groups in the vast Eurasia region. In this historical process of gathering and gathering, the ironic concepts of ‘myth’ and ‘history’ are shared in one memory, while the epic genre of heroic epics on a grand scale has been developed and passed down actively to this day. Mongolia’s heroic narratives, in which mythology and history are relatively undifferentiated, have been flexibly synthesized and stereotyped into a long-form genre based on the mythical prototype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separation and solidarity of the northern nomads.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northern nomads, who have been frequently challenged with their national identity, have developed variously as a survival strategy in a turbulent environment while forming a global and powerful identity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heroic myth.
      In this research, Xinjiang Altai and Kalmyk, which are characteristically not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the heroic myth of Oirat Mongolia, using the <Jangar> epic, which constantly experienced turbulent migration in the northern regions centering on the Altai region, as an example. Regions such as, Mongolia and mainland were divided into three axes and comparatively studied.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mythological meaning of the ‘hero Jangar’ and ‘Utopia, the ideal country of Bomba’ as embodied in <Jangar>, the prototype of the nomadic nomads in the north and the problem of mythic identity were examined.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is traditional nomad identity,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glocalism in Northeast Asia, which is newly illuminated in the framework of contemporary regional cultural discourse. In other word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model of a new civilize-discourse called ‘New Nomadism’, which aims for globality and vitality as a principl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region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upheaval after the pandem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몽골 유목민은 북방 초원과 알타이 지역을 근거지로 하면서 광활한 유라시아 지역을 무대로 민족적 이합집산을 거듭하여 왔다. 이러한 이합집산의 역사적 과정에서 ‘신화’와 ‘역사’라...

      몽골 유목민은 북방 초원과 알타이 지역을 근거지로 하면서 광활한 유라시아 지역을 무대로 민족적 이합집산을 거듭하여 왔다. 이러한 이합집산의 역사적 과정에서 ‘신화’와 ‘역사’라는 반어적인 개념을 하나의 기억 속에서 공유하면서 장대한 규모의 영웅서사시 장르를 발전시켜 오늘날까지 활발하게 전승하고 있다. 신화와 역사가 비교적 미분화된 몽골의 영웅 서사에는 북방 유목민의 역사적 이산과 연대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신화적 원형을 토대로 장편의 장르로 유연하게 종합되고 정형화되어온 모습이 고스란히 간직되어 있다. 특히 수시로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도전을 받아온 북방 유목민들이 영웅신화의 전승 과정에서 오히려 범세계적이고 강력한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격변하는 환경에서의 생존전략으로써 다채롭게 발전시켜온 전승의 양상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알타이 지역을 중심으로 북방 지역에서 격동의 이주사를 끊임없이 경험하였던 <장가르> 서사시를 사례로 하여, 오이라트 몽골의 영웅신화의 전승 과정에서 이러한 모습이 특징적으로 주목되는 신장 알타이, 칼미크, 몽골 본토 등 지역을 세 가지의 축으로 나누어 비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장가르>에서 형상화된 ‘영웅 장가르’와 ‘이상국 봄바국’의 신화적 의미와 관련지어 북방 유목민의 노마디즘의 원형과 신화정체성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전통적인 노마드 정체성의 특징적 면모를 탐구함으로써 현대 지역문화 담론의 틀에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동북아 지역 글로컬리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한다. 즉 팬더믹 이후, 격변의 국제 사회에서 지역 간교류와 협력의 원리로서 세계성과 생명성을 지향하는 ‘뉴노마디즘’이라는 새로운 문명 담론의 모델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평래, "장가르(Jangar)의 역사적 근거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립민속박물관 (42) : 215-238, 2018

      2 조현설, "유목적 유토피아의 구조와 그 영웅들 ― 몽골 구전영웅서사시 「장가르」의 경우" 인문학연구원 76 (76): 13-41, 2019

      3 이소윤, "신화 공동체의 기억서사와 부랴트 몽골의 <게세르> 연구" 한국몽골학회 (52) : 211-239, 2018

      4 금성희, "몽골의 ‘비전 2050’과 문화정책을 통해 본 문화역량 평가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전략 목표를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21

      5 박원길, "몽골과 한국 ‒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 방향" 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6 이선아, "몽골 영웅서사시의 신화정체성과 탈경계적 변이 양상 ― 「장가르」, 「게세르칸」 스토리의 전승과 현대적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6 (76): 121-161, 2019

      7 최원오,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에서의 ‘영웅의 코드’와 ‘행위패턴’" 인문학연구원 76 (76): 43-89, 2019

      8 이안나,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의 기원 문제" 한국몽골학회 (34) : 261-289, 2013

      9 "디아스포라"

      10 최원오, "동북아 소수민족의 ‘메르겐 문학’의 관점에서 본 고구려 <주몽신화>의 신화적 성격" 한국몽골학회 (64) : 47-102, 2021

      1 이평래, "장가르(Jangar)의 역사적 근거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립민속박물관 (42) : 215-238, 2018

      2 조현설, "유목적 유토피아의 구조와 그 영웅들 ― 몽골 구전영웅서사시 「장가르」의 경우" 인문학연구원 76 (76): 13-41, 2019

      3 이소윤, "신화 공동체의 기억서사와 부랴트 몽골의 <게세르> 연구" 한국몽골학회 (52) : 211-239, 2018

      4 금성희, "몽골의 ‘비전 2050’과 문화정책을 통해 본 문화역량 평가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전략 목표를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21

      5 박원길, "몽골과 한국 ‒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 방향" 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6 이선아, "몽골 영웅서사시의 신화정체성과 탈경계적 변이 양상 ― 「장가르」, 「게세르칸」 스토리의 전승과 현대적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6 (76): 121-161, 2019

      7 최원오,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에서의 ‘영웅의 코드’와 ‘행위패턴’" 인문학연구원 76 (76): 43-89, 2019

      8 이안나,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의 기원 문제" 한국몽골학회 (34) : 261-289, 2013

      9 "디아스포라"

      10 최원오, "동북아 소수민족의 ‘메르겐 문학’의 관점에서 본 고구려 <주몽신화>의 신화적 성격" 한국몽골학회 (64) : 47-102, 2021

      11 З.В.Доде, "Уникальный шелк с ≪драконами≫ из могильника Джухта (Северный Кавказ)" (2) : 2005

      12 이선아, "Солонгос дахь Монгол Жангарын туулийн судалгааны өнөөгийн байдал, хэтийн төлөв-20-р зууны эхэн үеэс 2021 он хүртэл-" 한국몽골학회 (65) : 151-172, 2021

      13 З.В.Доде,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Институтомвостоковедения РАН 2001

      14 Ш.Гаадамба, "Монголын нууц товчоо" 1990

      15 Л.Болд, "Монгол хэлний дэлгэрэнгүй тайлбар толь, 1권" ШУА 2008

      16 Д.Цэрэнсодном, "Монгол уран зохиолын товч түүх" ШУА 2002

      17 Б.Катуу, "Монгол туулийн дүрийн тогтолцоо" Мөнхийн үсэг 2004

      18 Монгол Улсын Ерөнхийлөгч Х.Баттулга, "Монгол баатарлаг туульсаа дээдлэн дэлгэрүүлэх тухай”зарлиг гаргав. 2019 оны 01 дүгээр сарын 29-ний өдөр “Монгол баатарлаг туульсаа дээдлэндэлгэрүүлэх тухай” 13 дугаар зарлиг гаргасан юм"

      19 В. А. Бабенко, "Историческая география Золотой Орды" Российского фонда фундаментальныхисследований и Академии наук Республики Татарстан 1890

      20 У.Загдсүрэн, "Жангарын түүльс" 1968

      21 Д.Таяа, "Жангар, LXIII: Аман уламжлалын буурал доройтлын учир (Хүр хар усны Жангарынуламжлалын судлал)" Соёмбо Пресс хэвлэлийн газар 2016

      22 Т.Дүгэрсүрэн, "Жангар" Сүхбаатарын нэрэмжит Хэвлэлийн газар 1963

      23 Д.Таяа, "Дундад улсын Жангарын эх баялгийг нээн ашиглалтын асуудал, BIBLIOTHECA OIRATIA LXIV" Жангар судлал 2016

      24 "Timurid dynasty"

      25 Chao Gejin, "The Oirat Epic Cycle of Jangar" Center for Studies in Oral Tradition 16 (16): 2001

      26 Д. Таяа, "Oirat and Kalmyk Identity in the 20th and 21st Century" Universitätsverlag Göttingen 2020

      27 Saglar Bougdaeva, "Nomads under arrest : The nation-building and nation-destroying of Kalmyk nomads in Russia" 51 (5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