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25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산체제와 복지체제간의 제도적 상호보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정책과 사회정책간의 정책연계(policy linkages)에 대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왜냐...

      생산체제와 복지체제간의 제도적 상호보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정책과 사회정책간의 정책연계(policy linkages)에 대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정치체제는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을 통하여 생산체제와 복지체제를 형성하고 이 둘 사이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이 논문은 한국 복지국가의 발달과정에서 발견되는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제도적 상호보완성을 정책결정과정에서 발견되는 정책연계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한국의 복지국가는 제도적 형성기에서부터 노동비용에 기초한 비교우위를 유지하려는 생산체제의 요구를 수용하여 발전하였다. 그 결과, 낮은 수준의 기여금과 낮은 수준의 급여를 특징으로 하는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소득유지체계를 꾸리게 되었으며,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 부문에서 국가는 매우 제한된 역할만을 수행해 왔다. 그런데 최근 생산체제 내 생산전략이 변화하며 기업들은 사회정책 결정과정에서 근로자 해고를 포함한 고용관계의 유연화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의 구축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기업 요구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한국의 복지체제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explore the institutional complementarities between production regime and welfare regim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licy linkages between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which occur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explore the institutional complementarities between production regime and welfare regim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licy linkages between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which occur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Because the political system does not only form both production regime and welfare regime through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it also adjusts them to a new situation.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 complementarities between production regime and welfare regime by dealing with the policy linkage between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mpact of economic policy on social policy.
      Our findings illuminate that the policy linkages between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in Korra were driven by the needs of performance competitiveness. That is, since the early 1960s the Korean government in fact chose the strategy of minimizing labour costs to propel economic development with little regard for structural competitiveness. This in turn required social policy to be subordinated to economic policy. As a result, Korea has established 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which the state played the residual role in providing public assistance as well as social services. Rather,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with relatively lower contributions paid only by employers and employees and lower benefits constitute the income maintenance system in Korea. Yet with the change of production strategy in the production regime, the enterprises are paying more regards to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afety nets for alleviating the social risks brought about by labour market flexibility, which is in tur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welfare regime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제도적 상호보완성
      • Ⅲ.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 분석 : 정책연계의 이해를 위한 정치경제적 접근틀 모색
      • Ⅳ. 한국의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제도적 상호보완성
      • Ⅲ.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 분석 : 정책연계의 이해를 위한 정치경제적 접근틀 모색
      • Ⅳ. 한국의 생산체제와 복지체제의 선택적 친화성
      • Ⅴ.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영어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3 1.65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