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연계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초중등 교육 현장의 실제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마을결합혁신학교의 마을교육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2287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3-421(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연계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초중등 교육 현장의 실제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마을결합혁신학교의 마을교육공...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연계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초중등 교육 현장의 실제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마을결합혁신학교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원(현장 교사 3명, 마을결합중점학교 코디네이터 경험을지닌 학부모 3명, 지역교육지원센터의 센터장 3명)을 대상으로 마을결합혁신학교의 운영 현황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 등에 대한 인식을 심층 집단 면접(FGI)을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연계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하여, ‘지역사회연계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과 비전 공유’,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원및 학부모, 지역주민의 인식 개선’,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행정 시스템 구축’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시사점에대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al operation method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that wish to implement community-linked educa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members of the village 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al operation method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that wish to implement community-linked educa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member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f Seoul’s village-linked innovation schools (3 field teachers, 3 parents with experience as coordinators of village-linked key schools, and 3 center directors of region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village-linked innovation schools and difficulties that arise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community-linked education, urgent task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clude ‘sharing the philosophy and vision for community-linked education courses’, ‘improving the awareness of teacher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about the operation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courses’, and ‘establishing a community-linked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operation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courses’. Implications for these were discussed.
챗GPT를 이용한 학술 글쓰기 교육 방법 연구 :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술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챗GPT 작성 자기소개서와 인간 작성 자기소개서 비교 연구 : NCS 기반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에 대한 전문가 평정을 중심으로
디지털 글쓰기 과정 유형화 연구 성과의 종합: 체계적 문헌고찰과 주제 분석의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