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전선언, 정전협정과 유엔사령부 = The End-of-War Declaration, Armistice Treaty and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6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un-up to the 6.12 Singapore Summit with Kim Jong-un, President Trump’s bombastic remark to the effect that “Ending the Korean War is an easier part” dramatically increased the level of expectations with regard to ending the war on the Ko...

      In the run-up to the 6.12 Singapore Summit with Kim Jong-un, President Trump’s bombastic remark to the effect that “Ending the Korean War is an easier part” dramatically increased the level of expectations with regard to ending the war on the Koran peninsula more than ever befor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undertake a comprehensive review and analysis on the burning-issues, including ending the Korean War, Armistice Treaty and the future of UNC.
      The crux of the matter revolving around above-mentioned subjects is that North Korea regards the End-of-War Declaration (EWD) an useful camouflage to disguise its genuine intention of eliminating the ROK-US alliance and the US Forces in Korea (USFK), rather than establishing permanent peace on the peninsula. From Pyongyang’s standpoint, if EWD and peace treaty are to be realized, they do not need to vociferously demand the removal of alliance system and USFK, as they would be melted away as time passes by in the absence of legitimate raison dêtre.
      The primary focus of interest in the process of negotiating North Korea’ denuclearization problem would be the future of UNC after the EWD and peace treaty. Most people tend to jumping to conclusion that if the state-of-war ends and peace becomes “normaliz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UNC which was created at the outset of Korean War must be “automatically” dissolved.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UNC has virtually nothing to do with EWD, peace treaty, ROK-US alliance or USFK. As it stands, UNC is none other than ‘de facto’ subsidiary organ of the United Nations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n order to punish the “breach of peace” by Pyongyang’s unprovoked military aggression.
      It seems unlikely that we would be able to witness a major breakthrough in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s nuclear issue, EWD, signing peace treaty, or major changes of UNC’s status or its dissolution. That said, we should be prepared for the worst while hoping for the best, by overcoming the temptation of ‘wishful thinking’ and not throwing caution to the wi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앞두고, “종전선언은 쉬운 일”이라고 말한 트럼프 대통령의 호언장담을 계기로 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한 기대치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이 글의 목적은...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앞두고, “종전선언은 쉬운 일”이라고 말한 트럼프 대통령의 호언장담을 계기로 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한 기대치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 북한 비핵화를 둘러싼 협상과정에서 불거지기 시작한 종전선언을 화두로 하여, 이와 더불어 한반도 정전협정 체제 및 유엔사의 미래와 관련된 핵심 주제를 포괄적으로 조망해 보는 것이다.
      종전선언은 ‘전쟁상태 종식 → 소극적 평화 → 적극적 평화 → 항구적 평화’의 달성을 지향한 일련의 과정 중에서 첫 단추에 해당한다. 문제는 북한이 ‘종전선언’을 주장하는 노림수가 ‘항구적 평화’ 달성이 아니라, 주한미군 철수와 한·미동맹 해체라는 점이다. 그래서 ‘미군철수-동맹해체’보다는 ‘평화’의 부드러운 이미지로 포장하여 평화협정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마저 여의치 않자 빼어든 카드가 종전선언이다. 평화협정 → 미군철수/동맹해체’가 ‘종선선언 → 평화협정’으로 바뀐 것이다. 이들의 계산에 따르면 종전선언-평화협정이 실현되면, 구태여 미군철수/동맹해체를 주장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 존재이유를 상실한 주한미군과 한미동맹이 무너질 것이기 때문이다.
      종전선언·평화협정 이후의 유엔사 문제가 관심의 대상이다. 많은 사람들은 한반도에서 전쟁상태가 종식되고 평화가 일상화되면 6.25 전쟁을 계기로 창설된 유엔사가 ‘자동적’으로 해체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군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이 이뤄지면 비슷한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하지만 국제법적으로 유엔사는 종전선언·평화협정이나 한·미동맹, 전작권 전환 등과는 아무 관계도 없다. 유엔사는 북한의 무력남침으로 발생한 ‘평화의 파괴’를 응징하기 위해 안보리 결의안으로 창설된 사실상(de facto)의 유엔 보조기관이기 때문이다.
      가까운 장래에 한반도 안보상황(북한 비핵화)에서 획기적 돌파구가 열릴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체결 또는 유엔사 해체나 지위변경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우리의 할 일은 ‘희망적 사고(wishful thinking)’의 유혹에서 벗어나, 최선을 기대하되 최악에 대비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만호, "휴전체제의 등장과 변화" 16 : 1997

      2 김선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유엔사 문제에 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구원 12 (12): 85-105, 2005

      3 이상철, "한반도 정전체제" 한국국방연구원 2012

      4 이기범,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과연 필요한가?" 아산정책연구원 2016

      5 이장희, "한국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체제로의 전환방안" 39 (39): 1994

      6 "트럼프, ‘종전선언은 쉬운 일…그 다음이 중요’"

      7 "트럼프 ‘싱가포르서 종전 서명 가능’…종전선언 이뤄지나"

      8 송승종,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73 (73): 2018

      9 홍용표, "정전체제와 한반도 평화" 21세기정치학회 18 (18): 167-185, 2008

      10 송승종, "전쟁과 평화" 명인문화사 2018

      1 허만호, "휴전체제의 등장과 변화" 16 : 1997

      2 김선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유엔사 문제에 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구원 12 (12): 85-105, 2005

      3 이상철, "한반도 정전체제" 한국국방연구원 2012

      4 이기범,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과연 필요한가?" 아산정책연구원 2016

      5 이장희, "한국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체제로의 전환방안" 39 (39): 1994

      6 "트럼프, ‘종전선언은 쉬운 일…그 다음이 중요’"

      7 "트럼프 ‘싱가포르서 종전 서명 가능’…종전선언 이뤄지나"

      8 송승종,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73 (73): 2018

      9 홍용표, "정전체제와 한반도 평화" 21세기정치학회 18 (18): 167-185, 2008

      10 송승종, "전쟁과 평화" 명인문화사 2018

      11 "북한 핵 포기하면 전쟁 종료 선언 노·부시·김 함께 직접 서명 가능"

      12 최철영, "법 체제를 통한 한반도 평화 연구" 법학연구원 17 (17): 477-504, 2005

      13 "미국 매체 ‘트럼프, 김정은에 종전선언 곧 서명해준다고 약속"

      14 김영호, "終戰선언은 결국 주한미군 철수—한미동맹 해체로 이어져" 2018

      15 "北, 유엔총회서 ‘유엔사는 괴물…해체해야"

      16 UN, "“Uniting for Peace,”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377 (V), A/RES/5/377"

      17 "‘사생아’ 종전선언이 효자 되려면"

      18 Dinstein, Yoram, "War, Aggression and Self-Def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9 UN, "United Nations Juridical Yearbook" United Nations 2003

      20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4(S/1588)"

      21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3(S/1511)"

      22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82(S/1501)"

      23 Ward, Alex, "Trump Promised Kim Jong Un He’d Sign An Agreement to End the Korean War"

      24 Hulen, Bertram D., "Truman Declares Hostilities Ended, Terminating Many Wartime Laws"

      25 Joyner, Christopher C., "The United States and Nicaragua:Reflections on the Lawfulness of Contemporary Intervention" 25 : 1985

      26 Sarooshi, Danesh, "The United N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Security:The Delegation by the UN Security Council of Its Chapter VII Pow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7 Mathews, John M., "The Termination of War" 18 (18): 1921

      28 Frowein, Jochen A.,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86 (86): 1992

      29 Cummings, Bruce, "The Korean War: A History" Random House 2010

      30 Dinstein, Yoram, "The Initiation, Suspension, and Termination of War" 75 : 2000

      31 Rumpf, Helmut, "The Concepts of Peace and War in International Law" 27 : 1984

      32 U.S. Government, "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itle 3–The President (1949-1953)"

      33 Fox, William T., "The Causes of Peace and Conditions of War" 392 : 1970

      34 Brooks, Vincent, "Statement of General Vincent K. Brooks Commander, United Nations Command;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Combined Forces Command; and United States Forces Korea in Support of Commander, United States Pacific Command Testimony before the 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

      35 Bell, B. B., "Statement of General B. B. Bell Commander, United Nations Command;Commander, Republic of Korea: United States Combined Forces Command;and Commander, United States Forces Korea before the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36 Tillerson, Rex W., "Opening Remarks by Secretary Tillerson at the Vancouver Foreign Ministers’ Meeting on Security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37 Pillar, Paul R., "Negotiating Peace: War Termination As a Bargaining Proces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3

      38 U.S. Senate,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2007" GPO 2006

      39 DPRK, "Letter dated 11 April 1996 from the Permanent Representative of the DPRK to the UN addressed to the Secretary-General, A/51/98, S/1996/270"

      40 Stueck, William, "Korean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41 Lauterpach, Elihu, "International Law Reports, Vol. 22" Grotius Publications 1958

      42 Norton, Patrick M., "Ending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e Legal Issues" 1997

      43 U. S. Department of State,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Vol. 26, No. 671"

      44 DPRK, "DPRK Perspectives on Ending the Korean Armistice"

      45 Watts, Jonathan, "Bush Offers North Korea a Deal to End the World’s Oldest Cold War"

      46 Bohan, Caren, "Bush Offers North Korea Peace Treaty If Disarm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9 0.5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