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 배려로서의 자기 인식과 파레시아: 미셸 푸코의 해석을 중심으로 = Self-awareness as Self-care and Parrhessia: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Michel Foucaul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8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chel Foucault explores the meaning of self-care for the Ancient Greek through the archaeological method. Self-care or the care for the self, as Foucault argues, has been unnoticed or hidden by the predominant understanding of self-awareness. It was,...

      Michel Foucault explores the meaning of self-care for the Ancient Greek through the archaeological method. Self-care or the care for the self, as Foucault argues, has been unnoticed or hidden by the predominant understanding of self-awareness. It was, however, commonly understood by the ancient Greek as the universal precept and ethical practice. For them, self-awareness was rather subordinate to the practice of self-care. The reason to know and to examine oneself is mainly to care for the self.
      The Greek notion of Parrhesia, or “telling the truth,” is the first clue for us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the self-care. The Ancient Greek understood the meaning of human being nothing other than a relationship with the truth. It is this relationship that must be materialized in one’s life.
      Parrhesia indicates the act of truthful speaking even in case of life-threatening danger. This is a personal and existential resolution which is rooted in the very relationship one establishes with the truth. Therefore, truth is understood not as a matter of awareness, but as a statement which is performed throughout living. For this reason, the ancient Greek regards the subject “I” as a work of art. This paper examines Foucault’s interpretation on the self-care as follows: it is the ethical practice to relate words to life in harmony, and to cultivate the autonomous self towards the growth of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푸코는 고고학적 탐구방법을 통해 그동안 자기 인식에 가려 말해지지 많았던 자기 배려의 의미를 밝혀낸다. 자기 배려는 사실상 보편적 계율이자 윤리적 실천으로서 그리스 문화 전반에 퍼...

      푸코는 고고학적 탐구방법을 통해 그동안 자기 인식에 가려 말해지지 많았던 자기 배려의 의미를 밝혀낸다. 자기 배려는 사실상 보편적 계율이자 윤리적 실천으로서 그리스 문화 전반에 퍼져 있었다. 이 시기에 자기 인식은 오히려 자기 배려의 실천에 종속되어 있었고 따라서 나 자신을 알고 검토해야 하는 이유는 나 자신을 배려하기 위해서였다. ‘진실 말하기’를 뜻하는 파레시아는 이 자기 배려의 이유와 방법을 설명하는 단초가 된다. 고대인들은, 우리 자신은 우리가 진실과 맺고 있는 고유한 관계에 다름 아니고, 이 관계는 삶속에서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진실을 말하는 파레시아 행위는 내가 진실과 맺고 있는 관계에서 나오는실존적이고 개인적인 선택이다. 이런 이유로 고대인들에게 진실은 앎으로 그치는 인식의 대상이 아니라 이를 발언하고 그 발언에 부합하는 삶을 영위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들에게 자기는 자기 자신이 빚어가는 예술작품과같았기 때문에, 진실과 맺는 관계로서 자기 배려는 말과 삶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윤리적 실천이자주체로서 자기 삶을 변화시켜가는 자율적인 자기 수양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현, "헬라스 사상의 심층" 서광사 2001

      2 Plato. Protagoras,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 라케스 /메논" 서광사 2010

      3 Foucault, M, "주체의 해석학" 동문선 2007

      4 Plato, "알키비아데스I․II" 이제이북스 2014

      5 Sartre, J.-P,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이학사 2014

      6 Plato, "소크라테스의 변명" 이제이북스 2014

      7 강철웅, "소크라테스의 변명" 이제이북스 2014

      8 Foucault, M, "성(性)의 역사3 - 자기 배려" 나남 2006

      9 Foucault, M, "성(性)의 역사2-쾌락의 활용" 나남 2006

      10 Foucault, M, "비판이란무엇인가․자기수양" 동녘 2017

      1 박종현, "헬라스 사상의 심층" 서광사 2001

      2 Plato. Protagoras,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 라케스 /메논" 서광사 2010

      3 Foucault, M, "주체의 해석학" 동문선 2007

      4 Plato, "알키비아데스I․II" 이제이북스 2014

      5 Sartre, J.-P,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이학사 2014

      6 Plato, "소크라테스의 변명" 이제이북스 2014

      7 강철웅, "소크라테스의 변명" 이제이북스 2014

      8 Foucault, M, "성(性)의 역사3 - 자기 배려" 나남 2006

      9 Foucault, M, "성(性)의 역사2-쾌락의 활용" 나남 2006

      10 Foucault, M, "비판이란무엇인가․자기수양" 동녘 2017

      11 Foucault, M, "비판이란무엇인가․자기수양" 동녘 2017

      12 Foucault, M, "비판이란 무엇인가․자기수양" 동녘 2017

      13 Foucault, M, "비판이란 무엇인가․자기수양" 동녘 2017

      14 김석완, "미셸 푸코의 소크라테스 해석과 자기 배려의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25-46, 2009

      15 Plato, "메논" 이제이북스 2014

      16 Plato, "라케스" 이제이북스 2014

      17 Foucault, M, "담론과 진실․파레시아" 동녘 2017

      18 Gros, F, "담론과 진실·파레시아" 동녘 2017

      19 Foucault, M, "담론과 진실·파레시아" 동녘 2017

      20 Michel Foucault, "Qu’est-ce que la critique? suivie de la sulture de soi" Librairie Philosophique & J. Vrin 2007

      21 Foucault, M, "L’HERMÉNEUTIQUE DU SUJET" Le Seuil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