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선의 항법상 지위와 항법규정 개선 방안 -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 = Legal Status of the Fishing Vessel in terms of Navigation Rule and How to Reduce the Collision Accident -Focu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어선은 일반상선에 비하여 다양한 항법상 상황에 놓이게 된다. 횡단상태, 추월상태, 정면상태에서의 항법, 제한시계의 항법, 정박선등의 항법이 적용되는 것은 일반상선과 같다. 일반상선과 달리 어선은 어로작업을 하게 되므로 우선권이 인정될 것인지와 관련하여 복잡한 항법이 적용될 여지를 안고 있다. 어선은 어항에서 머물고 입출항하지만 선박입출항법의 적용대상이 아닌 어항이 많다. 이에 필자는 해양안전심판원과 수협중앙회의 조사보고서를 통하여 어선의 충돌사고를 분석하여 충돌을 예방하고 사고를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첫째, 선원의 상무규정이 너무 많이 적용되어 어선에 적용되는 항법이 불안정하다는 점, 둘째, 무역항이 아닌 어항에 적용되는 항법규정이 없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에 필자는 항법규정을 더 명확히하는 한편, 해사안전법에 어항에서의 항법규정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번역하기

      어선은 일반상선에 비하여 다양한 항법상 상황에 놓이게 된다. 횡단상태, 추월상태, 정면상태에서의 항법, 제한시계의 항법, 정박선등의 항법이 적용되는 것은 일반상선과 같다. 일반상선과...

      어선은 일반상선에 비하여 다양한 항법상 상황에 놓이게 된다. 횡단상태, 추월상태, 정면상태에서의 항법, 제한시계의 항법, 정박선등의 항법이 적용되는 것은 일반상선과 같다. 일반상선과 달리 어선은 어로작업을 하게 되므로 우선권이 인정될 것인지와 관련하여 복잡한 항법이 적용될 여지를 안고 있다. 어선은 어항에서 머물고 입출항하지만 선박입출항법의 적용대상이 아닌 어항이 많다. 이에 필자는 해양안전심판원과 수협중앙회의 조사보고서를 통하여 어선의 충돌사고를 분석하여 충돌을 예방하고 사고를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첫째, 선원의 상무규정이 너무 많이 적용되어 어선에 적용되는 항법이 불안정하다는 점, 둘째, 무역항이 아닌 어항에 적용되는 항법규정이 없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에 필자는 항법규정을 더 명확히하는 한편, 해사안전법에 어항에서의 항법규정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shing vessels are involved in the variety of collision situation such as crossing, overtaking, head-on, restricted visibility and vessel at anchor. The above examples are common both in fishing vessels and commercial vessel. The special feature of the fishing vessel in terms of navigation rules exist in the vessel engaged in fishing. The fishing vessel may have privilege over the other general power driven vessel in case that it engages in fishing with fishing net restricting its ability to manoeuvre. If not, the vessel may not have the privilege. The authors tried to examine to classify the collision situation involved in the fishing vessels. The authors collected decisions from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nd collision reports from Korean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The authors found that ordinary practice of seamanship rules are applied too much and that there are no special rules for fishing vessels within the fishing harbor area, which invites risk of collision. Therefore, the authors tried to clarify what is the correct rules in several situation involved in fishing vessels and suggest insertion of new rules in the Marine Safety Act for fishing vessel at fishing harbor.
      번역하기

      Fishing vessels are involved in the variety of collision situation such as crossing, overtaking, head-on, restricted visibility and vessel at anchor. The above examples are common both in fishing vessels and commercial vessel. The special feature of t...

      Fishing vessels are involved in the variety of collision situation such as crossing, overtaking, head-on, restricted visibility and vessel at anchor. The above examples are common both in fishing vessels and commercial vessel. The special feature of the fishing vessel in terms of navigation rules exist in the vessel engaged in fishing. The fishing vessel may have privilege over the other general power driven vessel in case that it engages in fishing with fishing net restricting its ability to manoeuvre. If not, the vessel may not have the privilege. The authors tried to examine to classify the collision situation involved in the fishing vessels. The authors collected decisions from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nd collision reports from Korean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The authors found that ordinary practice of seamanship rules are applied too much and that there are no special rules for fishing vessels within the fishing harbor area, which invites risk of collision. Therefore, the authors tried to clarify what is the correct rules in several situation involved in fishing vessels and suggest insertion of new rules in the Marine Safety Act for fishing vessel at fishing harb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철, "해상교통법론" 다솜출판사 2006

      2 김인현, "해상교통법" 삼우사 2013

      3 이정원, "항법의 적용시점에 관한 검토" 한국해법학회 37 (37): 217-248, 2015

      4 임석원, "표류 및 정류선박의 항법상 지위와 법률상의 책임 -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 사례를 대상으로 -" 한국해법학회 38 (38): 159-188, 2016

      5 이윤철, "정박선의 주의의무" 1997

      6 김종성, "일본 항법 해설" 좋은 디자인 2006

      7 김인현, "오징어 채낚기 어선에 항법상 지위 - 어선 제27경진호 충돌사건(중해심 제2003-013호)에 대한 재결을 중심으로-" 한국해사법학회 17 (17): 23-38, 2005

      8 "어선충돌사고 원인제공비율 산정기준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수협중앙회/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9 김인현, "선박충돌법" 법문사 2014

      10 김인현, "선박충돌과 항법연구" 다솜출판사 2007

      1 이윤철, "해상교통법론" 다솜출판사 2006

      2 김인현, "해상교통법" 삼우사 2013

      3 이정원, "항법의 적용시점에 관한 검토" 한국해법학회 37 (37): 217-248, 2015

      4 임석원, "표류 및 정류선박의 항법상 지위와 법률상의 책임 -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 사례를 대상으로 -" 한국해법학회 38 (38): 159-188, 2016

      5 이윤철, "정박선의 주의의무" 1997

      6 김종성, "일본 항법 해설" 좋은 디자인 2006

      7 김인현, "오징어 채낚기 어선에 항법상 지위 - 어선 제27경진호 충돌사건(중해심 제2003-013호)에 대한 재결을 중심으로-" 한국해사법학회 17 (17): 23-38, 2005

      8 "어선충돌사고 원인제공비율 산정기준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수협중앙회/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9 김인현, "선박충돌법" 법문사 2014

      10 김인현, "선박충돌과 항법연구" 다솜출판사 2007

      11 민성규, "새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한국해양대학 해사도서 출판부 1976

      12 박영선,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에 규정된 선원의 상무의 국내적 효력" 한국해법학회 37 (37): 183-215, 2015

      13 윤점동,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및 관련된 국내법규해설" 세종출판사 2008

      14 小川洋一, "船舶衝突․の裁決例と解說" 成山堂書店 2002

      15 박성일, "燈火 및 形狀物의 揭揚義務와 그 法的責任 - 어선과 컨테이너선의 충돌사고 재결 평석내용을 참고로 하여 -" 한국해법학회 33 (33): 169-187, 2011

      16 海上交通法令硏究會, "海上衝突豫防法解說" 海文堂 1999

      17 松本宏之, "海上保安と漁業" 中央法律出版 2000

      18 烟貴宇, "小型船舶特別規定の必要性"

      19 松本宏之, "國際海上衝突豫防規則の改正案に關する硏究"

      20 김인현, "停留中인 船舶에 대한 航法適用" 한국해사법학회 14 (14): 87-104, 2002

      21 Healy, "The Law of Marine Collision" Cornell Maritime Press 1997

      22 Farnsworth, "Nautical Rules of the Road" Cornell Maritime Press 1996

      23 Craig H. Allen, "Farwell’s Rules of the Nautical Road" Naval Institute Press 2005

      24 Cockcraft, "A Guide to the Collision Avoidance Rules" Heinemann Newnes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31 1.495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