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9년 백제사의 연구동향 - 웅진·사비도읍기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Baekje History in 2019 -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of the Woongjin/Sabi Capit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5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9년 웅진·사비도읍기의 백제사 논문들을 주제별로 구분하면, 경제 분야로 구분될 논문은 없고, 사회 분야로 분류될 연구도 거의 없어서, 많은 논문들이 정치와 문화의 두 주제에 해당한다. 정치분야에서는 늘 그랬듯이 국제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정치와 별도의 장으로 설정하여 다루었고, 백제부흥운동 및 유민 관련의 백제멸망 이후를 다루는 연구와 사료자체를 주제로 하는 연구 등 백제의 정치와 문화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연구들은 기타로 구성하였다. 즉 정치·제도, 국제관계, 사상·문화, 기타 등 네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각 주제마다 간략하게 연구의 경향과 특징을 덧붙였다.
      정치·제도 연구에서는 유적·유물의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지역 연구와 지역 연구를 토대로 역사적 해석을 가한 ‘마한’의 백제영역화 및 마한과 백제와의 관계가 핵심적인 주제였다. 국제관계 연구에서는 ‘나제동맹’에 대한 다각도의 재검토가 이루어진 점이 특징적이다. 동맹의 정의와 절차 등 동맹에 대한 원론적 검토와 ‘나제동맹’의 내용·시기·성격 변화에 대한 검토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사상·문화 분야에서 주목되는 경향은 2018년 발굴조사로 밝혀진 대통사의 위치와 관련한 대통사의 연구이다. 마한과 대통사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견인한 결과로, 자료의 존재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는 연구 동향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
      번역하기

      2019년 웅진·사비도읍기의 백제사 논문들을 주제별로 구분하면, 경제 분야로 구분될 논문은 없고, 사회 분야로 분류될 연구도 거의 없어서, 많은 논문들이 정치와 문화의 두 주제에 해당한�...

      2019년 웅진·사비도읍기의 백제사 논문들을 주제별로 구분하면, 경제 분야로 구분될 논문은 없고, 사회 분야로 분류될 연구도 거의 없어서, 많은 논문들이 정치와 문화의 두 주제에 해당한다. 정치분야에서는 늘 그랬듯이 국제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정치와 별도의 장으로 설정하여 다루었고, 백제부흥운동 및 유민 관련의 백제멸망 이후를 다루는 연구와 사료자체를 주제로 하는 연구 등 백제의 정치와 문화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연구들은 기타로 구성하였다. 즉 정치·제도, 국제관계, 사상·문화, 기타 등 네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각 주제마다 간략하게 연구의 경향과 특징을 덧붙였다.
      정치·제도 연구에서는 유적·유물의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지역 연구와 지역 연구를 토대로 역사적 해석을 가한 ‘마한’의 백제영역화 및 마한과 백제와의 관계가 핵심적인 주제였다. 국제관계 연구에서는 ‘나제동맹’에 대한 다각도의 재검토가 이루어진 점이 특징적이다. 동맹의 정의와 절차 등 동맹에 대한 원론적 검토와 ‘나제동맹’의 내용·시기·성격 변화에 대한 검토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사상·문화 분야에서 주목되는 경향은 2018년 발굴조사로 밝혀진 대통사의 위치와 관련한 대통사의 연구이다. 마한과 대통사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견인한 결과로, 자료의 존재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는 연구 동향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no papers that would be categorized as economic within the papers about Baekje’s history in the Woongjin/Sabi capital era in 2019. As there are also no papers to be categorized as sociological, most studies can be sorted as political or cultural. In the political, as is always the case,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akes up a big part and thus a separate chapter is devoted to it. Studies that do not fall into the political or cultural categories, such as those focusing on after Baekje’s fall with the Baekje revival efforts and migrants, or studies that are based on historical literature as a theme are classified as miscellaneous. Thus, the research results are introduced as belonging to the four categories of political/policy, international relations, thought/culture, and miscellaneous. Each category includes a short introduction of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 the political/policy category, the main research trend is regional studies based on excavation results and a result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Mahan” assimilation into Baekje territ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nd Baekje.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category, the main research trend is a multifaceted approach of the Shilla-Baekje alliance. It’s notable how there is fervent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and procedure of an allia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alliance’s content, period, and character. In the thought/culture category, a noticeable trend is research on Daetong temple based on its location revealed during a 2018 excavation. The stimulation of research on Mahan and Daetong temple is a result of new archeological excavation progress, showing how research on Baekje history is greatly influenced by new data.
      번역하기

      There are no papers that would be categorized as economic within the papers about Baekje’s history in the Woongjin/Sabi capital era in 2019. As there are also no papers to be categorized as sociological, most studies can be sorted as political or cu...

      There are no papers that would be categorized as economic within the papers about Baekje’s history in the Woongjin/Sabi capital era in 2019. As there are also no papers to be categorized as sociological, most studies can be sorted as political or cultural. In the political, as is always the case,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akes up a big part and thus a separate chapter is devoted to it. Studies that do not fall into the political or cultural categories, such as those focusing on after Baekje’s fall with the Baekje revival efforts and migrants, or studies that are based on historical literature as a theme are classified as miscellaneous. Thus, the research results are introduced as belonging to the four categories of political/policy, international relations, thought/culture, and miscellaneous. Each category includes a short introduction of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 the political/policy category, the main research trend is regional studies based on excavation results and a result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Mahan” assimilation into Baekje territ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nd Baekje.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category, the main research trend is a multifaceted approach of the Shilla-Baekje alliance. It’s notable how there is fervent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and procedure of an allia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alliance’s content, period, and character. In the thought/culture category, a noticeable trend is research on Daetong temple based on its location revealed during a 2018 excavation. The stimulation of research on Mahan and Daetong temple is a result of new archeological excavation progress, showing how research on Baekje history is greatly influenced by new dat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희,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2016년을 중심으로 -" 백제학회 (20) : 63-105, 2017

      2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호남고고학회 63 : 4-34, 2019

      3 양기석,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4 정동준, "한국고대사 연구의 양적 증가와 새로운 동향" 역사학회 (243) : 21-48, 2019

      5 문동석, "최근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2013년도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백제학회 (13) : 25-46, 2015

      6 송성섭, "진양(陳暘)의 [악서(樂書)]에 수록되어 있는 마한(馬韓), 부여(夫餘), 신라(新羅), 백제(百濟), 고려(高麗)의 춤 및 악(樂)에 관한 연구"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8 (18): 67-100, 2019

      7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8 蓚原啓方, "중원고구려비의 석독과 내용의 의의" 51 : 2000

      9 임기환, "중원고구려비연구" 학연문화사 2000

      10 김창호, "중원고구려비연구" 학연문화사 2000

      1 이동희,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2016년을 중심으로 -" 백제학회 (20) : 63-105, 2017

      2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호남고고학회 63 : 4-34, 2019

      3 양기석,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4 정동준, "한국고대사 연구의 양적 증가와 새로운 동향" 역사학회 (243) : 21-48, 2019

      5 문동석, "최근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2013년도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백제학회 (13) : 25-46, 2015

      6 송성섭, "진양(陳暘)의 [악서(樂書)]에 수록되어 있는 마한(馬韓), 부여(夫餘), 신라(新羅), 백제(百濟), 고려(高麗)의 춤 및 악(樂)에 관한 연구"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8 (18): 67-100, 2019

      7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8 蓚原啓方, "중원고구려비의 석독과 내용의 의의" 51 : 2000

      9 임기환, "중원고구려비연구" 학연문화사 2000

      10 김창호, "중원고구려비연구" 학연문화사 2000

      11 최영주, "전남지역 마한과 가야 세력과의 관계변화와 의미" 호남사학회 (76) : 1-34, 2019

      12 백미선, "웅진시대 백제의 왕도 5부제" 수선사학회 (70) : 1-30, 2019

      13 이재석, "웅진백제 시기 왜국의 對백제 인식" 역사연구소 (98) : 99-138, 2019

      14 오동선,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고학회 (112) : 202-245, 2019

      15 강은주, "영산강 상류 마한세력의 성장과 백제" 백제학회 (29) : 91-127, 2019

      16 조법종,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백제 부흥전쟁’ 관련검토" 한국고대학회 (61) : 123-152, 2019

      17 이현주, "신라 선화공주의 역사적 실재와 역할" 수선사학회 (70) : 71-97, 2019

      18 이다운, "수성(水城)과 미즈키(水城)의 관련성에 대하여 -故 전영래 선생의 백제부흥운동 연구를 중심으로-"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4 : 64-93, 2019

      19 박재용, "서평 : 『일본 속의 百濟』" 백제학회 (28) : 185-198, 2019

      20 이순근, "삼국통일기 삼국의 대외관계(1)-소위 ‘나제동맹’과 신라의 한강하류 진출배경을 중심으로" 3 : 1998

      21 장창은, "삼국시대 전쟁의 발발과 시대적 의미" 신라사학회 (45) : 33-93, 2019

      22 윤성환, "삼국시대 ‘당항성 전투’의 역사적 실상"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0) : 1-38, 2019

      23 김수태, "사비시대 백제의 도교"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2) : 223-254, 2019

      24 이문형, "사비기 백제 왕릉의 새로운 인식-익산 쌍릉(대왕릉)을 중심으로-" 백제문화연구소 (61) : 5-37, 2019

      2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사비 백제 고분" 2019

      26 길병옥, "비사(秘史) 백제부흥군 전쟁의 역사적 평가와 의의" 미래군사학회 8 (8): 3-22, 2019

      27 김병남, "부흥백제국의 피성 천도 배경과 결과" 백제학회 (27) : 5-26, 2019

      28 황인덕, "부여 중정리 대왕포와 낙화암 전설 - 낙화암 전설 발단 지점 재고 -" 백제연구소 (69) : 145-167, 2019

      29 김수진, "보덕의 주석처와 백제 이주 검토" 한국학연구소 51 : 35-68, 2019

      30 노중국, "백제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백제학회 (1) : 21-49, 2009

      31 김근영, "백제의 중방성 설치와 그 의미"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3 : 39-69, 2019

      32 한성백제박물관, "백제의 산성 : 2019 가을 특별전시회"

      33 박현숙, "백제의 使臣 파견을 통한 중국과의 문물교류" 한국고대학회 (61) : 51-72, 2019

      34 노중국, "백제와 신라의 소통 나제동맹" 경북문화재연구원·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18

      35 강종훈, "백제와 신라의 소통 나제동맹" 경북문화재연구원·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18

      36 김기섭, "백제와 신라의 소통 나제동맹" 경북문화재연구원·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18

      37 하일식, "백제와 신라의 소통 나제동맹" 2017

      38 Xu Ye, "백제어의 자음 연구 : 한자음의 음운 대응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2019

      39 전지혜, "백제양식석탑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40 사회과학출판사편집위원회, "백제무덤의 종류" 사회과학출판사 2019 (2019): 2019

      41 洪性和, "백제(百濟)와 히고(肥後)지역"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5 : 2019

      42 방용철, "백제 의자왕대의 대신라 공세와 阿非知" 부산경남사학회 (111) : 63-90, 2019

      43 주경미, "백제 위덕왕의 불교적 치세관 형성과 6세기 중국의 정세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7) : 179-214, 2017

      44 최수진, "백제 위덕왕대의 불교와 대외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45 김두용, "백제 위덕왕대 王弟 季의 활동과 왕위 계승" 대구사학회 134 : 39-84, 2019

      46 채미하, "백제 웅진시기 조상제사와 壇"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185-220, 2019

      47 길기태, "백제 웅진말기 정국안정과 『涅槃經』"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4 : 36-62, 2019

      48 채미하, "백제 웅진도읍기의 국가제사- 조상제사를 중심으로" 2019

      49 이경복, "백제 웅진도읍기 공주 수촌리 재지세력 동향" 백산학회 (114) : 67-95, 2019

      50 전덕재, "백제 웅진기 외교관계와 인식" 한성백제박물관 2019

      51 한성백제박물관, "백제 웅진기 외교관계와 인식" 2019

      52 이정빈, "백제 웅진기 외교관계와 인식" 한성백제박물관 2019

      53 김낙중, "백제 웅진기 외교관계와 인식" 한성백제박물관 2019

      54 노중국, "백제 웅진기 외교관계와 인식" 한성백제박물관 2019

      55 이재석, "백제 웅진기 외교관계와 인식" 한성백제박물관 2019

      56 이현숙, "백제 웅진기 왕궁의 위치와 왕도의 구조에 관한 재검토" 백제학회 (29) : 129-167, 2019

      57 이홍종, "백제 웅진 도성기의 지형경관" 백제문화연구소 (60) : 91-119, 2019

      58 이병호, "백제 왕도 익산, 그 미완의 꿈 : 무왕과 왕궁리, 선화공주와 미륵사" 책과함께 2019

      59 노중국, "백제 성왕과 대통사 - 대통사지의 역사적 의미 -" 백제문화연구소 (60) : 141-157, 2019

      60 박윤선, "백제 성씨문화의 이해" 백제학회 (29) : 31-59, 2019

      61 정동준, "백제 색복제 관련사료의 재검토" 호서사학회 (90) : 1-46, 2019

      62 장소영, "백제 사비기 사찰 건축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63 박순발, "백제 불사 입지 비교 연구" 백제연구소 (70) : 81-113, 2019

      64 강종원, "백제 무왕과 서동설화의 역사성" 백제학회 (30) : 61-87, 2019

      65 장수남, "백제 무령왕의 빈례 절차 연구" 백제연구소 (69) : 71-104, 2019

      66 류예나, "백제 무령왕릉지석의 서체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67 위가야, "백제 무령왕대 ‘更爲强國’설의 재검토" 한국고대사학회 (95) : 75-104, 2019

      68 이강래, "백제 멸망론의 설화적 파생" 고려사학회 (77) : 167-197, 2019

      69 전호태, "백제 고분벽화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112) : 183-209, 2019

      70 이장웅, "백제 武寧王과 王妃의 喪葬禮-殯과 假埋葬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221-279, 2019

      71 김영심, "백제 中方城의 설치와 고부지역의 통치양상"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3 : 5-38, 2019

      72 정재윤, "문헌을 통해 본 고대 장송의례 - 백제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2019

      73 정동준, "문헌사료로 본 백제의 마한 통합과정" 백제학회 (29) : 5-30, 2019

      74 이문형, "만경강유역 백제 사비시기 횡혈식석실묘의 확산과 그 의미" 호남고고학회 63 : 66-90, 2019

      75 노중국, "동아시아 문화의 정수, 백제왕도"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 2019

      76 한지연, "도침의 불교사상과 백제부흥운동 : 『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을 기반으로 한 한국 최초의 호국운동" 한국불교학회 (89) : 221-243, 2019

      77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단재신채호 전집 제1권 역사 조선상고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78 정운용, "나제동맹기 신라와 백제의 관계" 46 : 1996

      79 이재준, "군사적 관점에서 본 주류성과 백강의 위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1) : 237-286, 2019

      80 이장웅, "국지성(鞠智城)출토 불상과 백제 불상"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5 : 2019

      81 국립공주박물관, "공주 수촌리 : 한성에서 웅진으로" 통천문화사 2019

      82 이주헌,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조영가계와 피장자"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2) : 379-424, 2019

      83 이병호, "공주 반죽동 출토자료로 본 백제 대통사의 위상" 백제문화연구소 (60) : 55-89, 2019

      84 조원창, "공주 반죽동 추정 대통사지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 백제문화연구소 (60) : 5-30, 2019

      85 공주대학교박물관, "공주 교촌리 백제전축분 탐색을 위한 발굴조사 개략보고서" 2018

      86 서보경, "고대 일본의 백제 망명귀족과 후손— 도혼(答本), 아사다노무라지(麻田連)씨 관계 기사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7) : 325-369, 2019

      87 박재용, "고대 일본의 亡命百濟官人과 그 후예씨족" 한일관계사학회 (64) : 141-184, 2019

      88 박남수, "고구려・백제의 遼河 유역 진출과 對中 交易"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2) : 45-99, 2019

      89 全莹, "韩国研究论丛 36(2018-2)" 社会科学文献出版社 36 (36): 2019

      90 소현숙, "聖王의 大通寺 創建과 梁 武帝" 백제문화연구소 (60) : 121-140, 2019

      91 박초롱, "禰氏 一族의 백제 이주와 성장" 한국목간학회 (23) : 125-149, 2019

      92 임영진, "百濟와 六朝의 關係 - 考古資料를 중심으로" 백제학회 (27) : 81-106, 2019

      93 최완규, "百濟都城과 益山" 마한백제문화연구소 34 : 4-35, 2019

      94 양기석, "百濟學會의 運營方向" 백제학회 (1) : 7-19, 2009

      95 오택현, "百濟 王姓 扶餘씨의 성립과 複姓의 수용" 한국목간학회 (23) : 151-167, 2019

      96 최유림, "百濟 官等制와 率系 官等"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9

      97 서정석, "百濟 大通寺의 위치에 대한 試考" 백제문화연구소 (60) : 31-53, 2019

      98 鄭載潤, "熊津時代 百濟와 新羅의 關係에 대한 考察 -羅제同盟에 대한 비판적 검토-" 호서고고학회 (4집) : 67-86, 2001

      99 최연식, "法王의 동아시아적 변용과 百濟 法王의 성격" 백제학회 (30) : 29-59, 2019

      100 冯立君, "汉唐时代与百济历史—研究内涵、历史书写与学术谱系" 吉林省社会科学院 2019 (2019): 2019

      101 范恩实, "唐熊津都督府统治制度研究" 吉林省社会科学院 2019 (2019): 2019

      102 방향숙, "唐 太宗·高宗代 한반도 정책과 百濟의 위상 -당 태종·고종본기를 중심으로-" 백제학회 (27) : 51-80, 2019

      103 楊瑾, "咸陽博物館 唐金執壺와 百濟彌勒寺址 金舍利壺의 비교 연구" 백제학회 (29) : 169-211, 2019

      104 鄭東俊, "古代東アジアにおける法制度受容の研究─中国王朝と朝鮮三国の影響関係を中心に" 早稲田大学出版部 2019

      105 조윤재, "古代 中國 鎭墓獸의 變容과 武寧王陵 鎭墓獸 再論" 백제연구소 (69) : 49-70, 2019

      106 이현숙, "公州 校村里 百濟時代 塼室墓와 石築壇施設" 백제학회 (27) : 155-182, 2019

      107 仁藤敦史, "倭·百済間の人的交通と外交-倭人の移住と倭系百済官僚"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17 : 2019

      108 冯立君, "中国学界百济史新近研究及其反思"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19 (2019): 2019

      109 安賢善, "中国内地で活動した百濟·高句麗人─特に韓中学界における用語の相違をめぐって─" 関西学院大学 人文学会 69 (69): 2019

      110 정운용, "世宗市 百濟 雲住山城의 築造와 運用" 한국고대학회 (59) : 105-139, 2019

      111 전덕재, "『삼국사기』 직관지의 원전과 편찬 -外官과 浿江鎭典, 外位, 未詳官制 기록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70) : 39-84, 2019

      112 박대재, "『본조통감』의 상대(上代) 기년(紀年)과 외국 사서의 수용 - 『일본서기』 기년론과 관련하여" 동북아역사재단 (64) : 7-48, 2019

      113 송영대, "『通典』 百濟節의 서술과 인식" 한국사학회 (133) : 81-124, 2019

      114 전덕재, "『三國史記』 祭祀志의 原典과 編纂" 한국고대사학회 (94) : 235-266, 2019

      115 백승충, "‘아리사등’, 탁순국, 그리고 백제의 관계 - ‘我久禮山戍’ 해석을 중심으로 -" 부경역사연구소 (45) : 35-79, 2019

      116 공석구, "‘羅濟同盟’을 다시 검토한다" 백제학회 (30) : 5-27, 2019

      117 우에다 기헤이나리치카, "‘內臣之番’으로서의 百濟ㆍ高句麗遺民" 고구려발해학회 64 : 229-259, 2019

      118 장창은, "7세기 전반~중반 백제・신라의 각축과 국경 변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281-331, 2019

      119 손지호, "7세기 신라의 백제 故地 편입 과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120 길기태, "673년 세종지역 불교신앙의 성격" 백제학회 (27) : 27-50, 2019

      121 박종욱, "660년 백제의 영역과 加耶故地" 백제학회 (29) : 61-90, 2019

      122 이승훈, "660년 나당연합군과 백제 전쟁의 군사학적 재구성" 신라사학회 (47) : 25-63, 2019

      123 장미애, "5세기 후반~6세기 중반 백제의 대외 정책과 백제-신라 관계의 추이" 수선사학회 (68) : 165-195, 2019

      124 김병남, "5세기 말~6세기 전반 百濟의 對新羅 관계와 변화 양상 -高句麗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2) : 145-177, 2019

      125 김병남, "5세기 말 백제와 신라의 협력 과정 재검토" 부산경남사학회 (111) : 29-61, 2019

      126 위가야, "5∼6世紀 百濟와 新羅의 ‘軍事協力體制’ 硏究" 성대 2018

      127 송영근, "5~6세기 전라 동부지역의 가야제국과 백제의 진출" 인제대학교 2019

      128 방용철, "553년 백제·고구려의 百合野 전투 검토" 민족문화연구소 (73) : 371-397, 2019

      129 백승옥, "4~6세기 加耶의 對百濟·新羅 관계" 한국고대사학회 (94) : 155-192, 2019

      130 김병남, "496년 고구려의 우산성 공격 의미와 나⋅제의 대응" 전북사학회 (56) : 5-34, 2019

      131 이경복, "475년 백제 웅진천도와 서천 봉선리 재지세력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145-183, 2019

      132 이영철, "2018년 호남지역 백제 고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백제학회 (28) : 91-114, 2019

      133 이장웅, "2018년 한성~웅진기 백제 문헌사 연구 성과와 과제" 백제학회 (28) : 5-33, 2019

      134 위가야, "2018년 사비기 백제 문헌사 연구 성과와 과제" 백제학회 (28) : 35-55, 2019

      135 홍보식, "2018년 경기·호서지역 백제 고고학 연구 성과와 과제" 백제학회 (28) : 57-89, 2019

      136 박종욱, "2017년 한성기 백제사 연구 성과와 과제" 백제학회 (24) : 5-33, 2018

      137 박지현, "2017년 웅진·사비기 백제사 연구 성과와 과제" 백제학회 (24) : 35-59, 2018

      138 신희권, "2017년 서울·경기·강원 지역 원삼국·백제 고고학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백제학회 (24) : 61-90, 2018

      139 이현숙, "2016년 호서지역 원삼국∼백제의 고고학 조사·연구성과" 백제학회 (20) : 27-61, 2017

      140 장미애, "2016년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웅진·사비시대 문헌사를 중심으로 -" 백제학회 (20) : 5-25, 2017

      141 김기섭, "2014년도 마한·백제사 연구 동향과 성과" 백제학회 (17) : 5-3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34 0.72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