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mental health. We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by age group in the moderating effect. We set two research questions: (1) Does social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57310
2023
Korean
housing poverty ; mental health ; social capital ; 주거빈곤 ; 정신건강 ; 사회적 자본
KCI등재
학술저널
23-45(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mental health. We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by age group in the moderating effect. We set two research questions: (1) Does social ...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mental health. We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by age group in the moderating effect. We set two research questions: (1) Does social capita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mental health? (2) Are there differences by age group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2021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mental health. Second,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greater for the older group than other age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e utiliz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by age group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mental health.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빈곤의 두 가지 측면인 주거비 과부담과 최저주거기준 미달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연령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주거빈곤의 두 가지 측면인 주거비 과부담과 최저주거기준 미달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연령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1년도 한국복지패널 16차 자료를 이용하여 연령집단을 청년, 중장년, 노년으로 구분하고 사회적 자본과 주거빈곤 변수 간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주거빈곤과 정신건강 간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정신건강에 대한 주거빈곤의 부(-)효과를 약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는 주거비 과부담의 경우 노년 집단에서만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의 경우 청년, 중장년, 노년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주거비 과부담 및 최저주거기준 미달 변수를 모두 고려할 때 연령집단 중에서 노년 집단이 주거빈곤과 정신건강 간 부(-)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신건강의 측면에서 주거빈곤을 대응시 연령별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토대로 주거빈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적 자본을 연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숙 ; 박정아,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75-86, 2012
2 박미선,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10-140, 2017
3 이현경 ; 장창곡,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 자살생각과의 연관성"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8 (38): 69-79, 2012
4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47-73, 2015
5 박정민 ; 오욱찬 ; 이건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6 유창민, "청년층의 다양한 우울 변화유형 확인" 사회과학연구소 33 (33): 3-20, 2022
7 변금선 ; 이혜림,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특성 -2010년과 2019년 청년층의 빈곤 비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9 (49): 87-119, 2022
8 이현주,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안" 보건사회연구원 2005
9 임경수 ; 소진광, "지역사회 빈곤퇴치와 사회적 자본"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1-20, 2005
10 문하늬 ; 채철균 ; 송나경,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9 (19): 87-103, 2018
1 최병숙 ; 박정아,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75-86, 2012
2 박미선,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10-140, 2017
3 이현경 ; 장창곡,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정신건강과 자살생각과의 연관성"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8 (38): 69-79, 2012
4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47-73, 2015
5 박정민 ; 오욱찬 ; 이건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6 유창민, "청년층의 다양한 우울 변화유형 확인" 사회과학연구소 33 (33): 3-20, 2022
7 변금선 ; 이혜림,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특성 -2010년과 2019년 청년층의 빈곤 비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9 (49): 87-119, 2022
8 이현주,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안" 보건사회연구원 2005
9 임경수 ; 소진광, "지역사회 빈곤퇴치와 사회적 자본"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1-20, 2005
10 문하늬 ; 채철균 ; 송나경,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9 (19): 87-103, 2018
11 서지원, "중년기 및 노년기 사회자본의 경제적 복지 효과 비교" 대한가정학회 51 (51): 207-218, 2013
12 최민정,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령대별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124-163, 2015
13 권태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 궤적과 영향 요인: 생애주기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5 (35): 203-231, 2011
14 강수진 ; 서원석, "주거특성이 거주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주택점유형태별 주거비부담을 중심으로" SH공사 도시연구원 9 (9): 13-29, 2019
15 박금령 ; 최병호, "주거취약계층의 주관적 건강 수준과 삶의 만족도: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와 비주택 거주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500-518, 2019
16 권연화 ; 최열, "주거취약계층별 주거비부담 결정요인 비교분석: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32 (32): 119-142, 2020
17 오현주, "주거취약계층 밀집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마을의 공간적 특성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18 박정민 ; 허용창 ; 오욱찬 ; 윤수경,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37-159, 2015
19 임승학 ; 장희순, "주거비부담요인이 월세거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가구주·배우자의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 만족도 분석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25-39, 2017
20 배순석, "주거비부담능력 평가방식및 부담기준의 도입과 정책적 활용방안" 1-277, 2013
21 임세희,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29-50, 2016
22 박서연 ; 전희정, "주거복지정책 유형별 주거비 부담수준 결정요인 분석 -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비교연구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27-48, 2019
23 내일신문, "주거급여 수급자 27%, 최저주거기준 미달"
24 이새롬 ; 박인권, "정주환경 포용성이 고령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학회 36 (36): 3-23, 2020
25 강정희, "저소득층의 주거실태와 주거안정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수급가구와 차상위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49-274, 2010
26 유병선 ; 정규형,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결정 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6 (26): 1-38, 2017
27 임세희 ; 박경하,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 최저주거기준 하위기준미달, 주거비 과부담, 중복주거빈곤가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31-62, 2017
28 정순둘 ; 성민현,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29 김성아,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분석과 정책 과제" 2019 (2019): 95-104, 2019
30 조선비즈, "신림동 반지하 가종 3명 사망… 경찰・ 소방도 역부족"
31 황인환 ; 오동훈,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평가를 위한 설문 도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4 (34): 91-95, 2014
32 김수린 ; 주경희 ; 정순둘, "소득이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5) : 103-136, 2018
33 머니투데이, "생활고 세모녀 동반자살 “지난해 월세 올라”"
34 권건우 ; 진창하, "생애주기별 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24 (24): 49-69, 2016
35 정희수 ; 권혁일, "생애주기가 주택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2 (12): 5-25, 2004
36 이민아, "사회적 연결망의 크기와 우울: U자형 관계와 대인신뢰의 조절효과" 한국사회학회 47 (47): 171-200, 2013
37 안진호 ; 최재성, "사회자본이 청년의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취업여부 비교를 통한 종단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72) : 105-137, 2022
38 정민호 ; 김진현, "사회자본이 농촌 거주 노인의 우울 상태에 미치는 영향: 2019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단면연구" 한국간호과학회 52 (52): 144-156, 2022
39 강상경 ; 권태연,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생애주기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0) : 332-355, 2008
40 엄태완,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8) : 36-66, 2008
41 김경동 ; 김란 ; 고길곤, "매칭방법을 이용한 공공임대주택 거주의 효과측정: 공공임대거주자와 일반임대거주자의 정신건강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7 (57): 255-282, 2019
42 하성규, "도시 저소득층 주거와 삶의 질" 35 (35): 295-306, 2000
43 박경준 ; 이성우, "다층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비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87 : 33-48, 2015
44 임경은 ; 이현주,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50 (50): 100-122, 2022
45 김경화 ; 신동호, "농어업 종사자의 건강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령과 사회적 자본 및 건강만족도 간의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 (9): 1187-1200, 2018
46 장유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61-289, 2011
47 김세운 ; 정현,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구특성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2 (42): 335-355, 2022
48 이홍직,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17 (17): 131-141, 2009
49 김수영 ; 허성희 ; 장수지,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88-124, 2018
50 권연화 ; 최열, "노년층의 가구구성 및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분석" 대한토목학회 35 (35): 977-986, 2015
51 김동배 ; 유병선 ; 신수민,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1041-1061, 2012
52 김명일 ; 어유경 ; 김순은,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다층모형 적용을 통한 개인 및 지역자원 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192-221, 2019
53 김진현, "노년기 사회자본의 차이가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81-201, 2015
54 김동배 ; 유병선, "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3 (33): 105-123, 2013
55 강소랑, "국민연금이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165-195, 2015
56 최웅선 ; 이용모,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효과성 분석: 국민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313-339, 2015
57 한수정 ; 전희정,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 성향점수매칭 및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7 (27): 67-102, 2018
58 변금선 ; 이혜원, "고용불안정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용상태 변화 유형과 우울의 인과관계 추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29-160, 2018
59 박선영 ; 이충기, "고령세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한국재정정책학회 18 (18): 3-27, 2016
60 권연화 ; 최열, "개인의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갈등 인식 및 포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구원 110 : 95-112, 2021
61 한수정 ; 전희정, "가구 생애주기와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 차이" 한국행정학회 55 (55): 409-446, 2021
62 손희주 ; 남궁미, "가구 생애 주기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30 (30): 169-196, 2018
63 아시아경제, "“영끌족만 힘든 건 아니잖아요” 2030 월세족도 끙끙"
64 뉴시스, "[청년고독사]②2030 1인가구 238만...취업난 심화・사회적 단절에 절망감"
65 Avolio, B. J., "Variations in cognitive, perceptual, and psychomotor abilities across the working life span : Examining the effects of race, sex, experience, education, and occupational type" 9 (9): 430-, 1994
66 Antonovsky, A.,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Jossey-bass 1987
67 Moore, S., "Twenty years of social capital and health research : a glossary" 71 (71): 513-517, 2017
68 Marcinkus, W. C.,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to the work-family balance and work outcomes of midlife women" 22 (22): 86-111, 2007
69 Tunstall, R., "The links between housing and poverty: an evidence review"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13
70 Morrow-Jones, H. A., "The housing ladder, the housing life-cycle and the housing life-course :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mong repeat home-buyers in a US metropolitan housing market" 42 (42): 1739-1754, 2005
71 Hulchanski. J. D., "The concept of housing affordability : Six contemporary uses of the housing expenditure-to-income ratio" 10 (10): 471-491, 1995
72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1: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73 Baker, E.,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Housing Tenure : Causal or Compositional?" 50 (50): 426-442, 2012
74 Radloff,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77
75 Mancini, J. A., "Sustaining Community-Based Programs for Families :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14 : 339-347, 2004
76 Krause, N., "Stress and coping : Reconceptualizing the role of locus of control beliefs" 41 (41): 617-622, 1986
77 Miech, R.,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over the Life Course" 41 (41): 162-176, 2000
78 Kawachi, I., "Social ties and mental health" 78 (78): 458-467, 2001
79 Scharf, T., "Social exclusion of older people in deprived urban communities of England" 2 : 76-87, 2005
80 Evans, G. W., "Residential Density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33 (33): 165-118, 2001
81 Glass, T. A., "Neighborhoods, aging, and functional limitations" 1 : 303-334, 2003
82 Park, G. R., "Multidimensional housing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health: how do gender and initial psychological health differentiate the association?" 116-123, 2023
83 Putnam, R. D., "Making democracy work: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84 Rocco, L., "Is social capital good for health? A European perspect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12
85 Wells, N. M., "Housing quality,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withdrawal : A longitudinal study of low-income women" 27 : 69-78, 2007
86 Lee, J. H., "Housing quality determinants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by age and gender" 1-27, 2022
87 Evans, G., "Housing and Mental health :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a methodological and conconceptual critique" 59 (59): 475-500, 2003
88 Wang, Y., "Housing affordability and mental health in urban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1-21, 2021
89 Pollack, C. E., "Housing affordability and health among homeowners and renters" 39 : 515-521, 2010
90 Meltzer, R., "Housing affordability and health : Evidence from New York City" 26 : 80-104, 2016
91 Combs, E. R., "Differences in housing expenditure/income and utility expenditure/income ration by selected characteristics of rural home owners" 17 (17): 27-36, 1990
92 Brisson, D. S., "Bonding social capital in low-income neighborhoods" 54 (54): 644-653, 2005
93 Bentley, R., "Association between housing affordability and mental health: A longitudinal analysis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household survey in Australia’" 174 : 753-760, 2011
94 Nolen-Hoeksema, S., "Ag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17 (17): 116-124, 2002
95 Bentley, R. J., "A longitudinal analysis of changes in job control and mental health" 182 (182): 328-334, 2015
96 Quigley, J. M., "A Decent Home : Housing Policy in Perspective" 1 (1): 53-100, 2000
97 국토교통부, "2021년도 주거실태조사 요약보고서" 국토연구원 2022
개인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비수도권청년유출 영향 요인 분석
이중 관심사 이론을 적용한 공공갈등 사례연구:서울-광명 간 동부천 I/C 설치를 중심으로
SRF 입지결정 및 관련 지역사회 이슈 연구: 포항시 사례를 중심으로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