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formed the center of Confucianis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onam area since the 19th century was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Ki Woo-man (奇宇萬, 1846~1916), who worked at the center of the N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formed the center of Confucianis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onam area since the 19th century was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Ki Woo-man (奇宇萬, 1846~1916), who worked at the center of the No...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formed the center of Confucianis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onam area since the 19th century was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Ki Woo-man (奇宇萬, 1846~1916), who worked at the center of the Nosa school after the death of Ki Jeong-jin (奇正鎭, 1798~1879), produced more than 1,500 literary disciple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his disciples develop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focusing on educational activities, produced disciples, and contributed to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Nosa school.
This paper first focused on the scale and activities of the 20th century orthodox Confucian scholars, which had been relatively different from the researchers' eyes. Then, the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the school system centered on Ki Woo-man, who was the center of the flow of the Nosa school,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created the flow of modern Confucianism centered on Honam area.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in the basic stage, this study first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 Woo-man's disciples, who had the largest portion in the Nosa school. And the general scale and contents of the disciples produced by the disciples of Ki Woo-man, and the list of the literary works left by them were confirmed and presented. Through this, the status and role of succes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leaning in the overall scale of the Nosa school and the succession of the school were confirmed. Based on thi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continuation of the Nosa school, which passed through the 20th century and centered on the Ki Woo-man, were presented experimentally.
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이후 근현대 호남 유학의 중심을 이룬 대표적인 문인집단 중 하나는 노사학파(蘆沙學派)였다. 기정진(奇正鎭, 1798~1879) 생전에 그 면모를 갖춘 노사학파는 기정진 사후에 노사학파의 ...
19세기 이후 근현대 호남 유학의 중심을 이룬 대표적인 문인집단 중 하나는 노사학파(蘆沙學派)였다. 기정진(奇正鎭, 1798~1879) 생전에 그 면모를 갖춘 노사학파는 기정진 사후에 노사학파의 중심에서 활동한 기우만(奇宇萬, 1846~1916)을 중심으로 학파의 외연 확대와 지속이 이루어졌으며,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직전 제자들은 다양한 학문 활동을 전개하며 재전(再傳), 삼전(三傳)으로 이어지는 문인을 배출하며 노사학파의 지속과 확장에 기여하였다.
본고는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연구자들의 시선에서 비껴있었던 20세기 정통 유림의 규모와 활동에 유의하여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근현대 유학의 흐름을 조성한 대표적인 문인집단 중 하나인 노사학파의 흐름 가운데 그 중심을 이룬 기우만 중심의 학맥에 관하여 그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 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먼저 노사학파 내에서 가장 비중이 컸던 기우만의 직전 제자가 펼친 강학 활동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들 문하에서 배출된 기우만의 재전과 삼전 제자의 대체적인 규모와 활동 내용, 그리고 이들이 남긴 문집의 목록 등을 확인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노사학파의 전체적인 규모와 학맥의 계승 양상에서 기우만을 통해 이어진 학맥의 계승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20세기를 관통하며 기우만을 중심으로 이어진 노사 학맥의 지속이 가지는 의미와 한계를 시론적(試論的)으로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李鍾宅, "六峯遺集附錄"
2 許幹, "蘆西遺稿"
3 奇正鎭, "蘆沙先生全集(附『答問類編』)" 保景文化社 1983
4 권수용, "호남의 근대 누정 작가⋅작품 연구 — 奇宇萬, 吳駿先, 高光善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19) : 147-180, 2010
5 "호남기록문화유산 데이터베이스’"
6 "한국학종합DB"
7 "한국고전문화연구원 홈페이지"
8 "한국고전DB"
9 한국고문연구회, "한국고문연구회의 연혁과 활동" 1 : 1989
10 "디지털영암문화대전"
1 李鍾宅, "六峯遺集附錄"
2 許幹, "蘆西遺稿"
3 奇正鎭, "蘆沙先生全集(附『答問類編』)" 保景文化社 1983
4 권수용, "호남의 근대 누정 작가⋅작품 연구 — 奇宇萬, 吳駿先, 高光善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19) : 147-180, 2010
5 "호남기록문화유산 데이터베이스’"
6 "한국학종합DB"
7 "한국고전문화연구원 홈페이지"
8 "한국고전DB"
9 한국고문연구회, "한국고문연구회의 연혁과 활동" 1 : 1989
10 "디지털영암문화대전"
11 임형, "동백정의 문학사회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권수용,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의 강학과 누정 활동 연구" 인문학연구원 (45) : 115-151, 2013
13 권수용, "노사학파의 누정 건립활동 연구" 석당학술원 (49) : 207-238, 2011
14 한국매일뉴스 홈페이지, "남도기행"
15 奇宇萬, "국역 송사집 1~11" 흐름출판사 2021
16 권수용, "광주・전남의 근대 누정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45) : 217-250, 2010
17 魏洪良, "重窩遺稿" 景仁文化社 1994
18 鄭泓采, "逸齋遺稿" 景仁文化社 1993
19 박학래, "蘆沙學派의 형성과 蘆沙學의 계승" 동양고전학회 (80) : 451-491, 2020
20 "蘆沙先生淵源錄" 澹對軒 1960
21 鄭熙冕, "菊史先生遺稿" 景仁文化社 1999
22 白亨璣, "潛溪先生遺稿"
23 梁會甲, "正齋集" 景仁文化社 1993
24 曺悳承, "欽齋文藁" 景仁文化社 1993
25 奇宇萬, "松沙先生文集拾遺" 景仁文化社 1993
26 奇宇萬, "松沙先生文集"
27 박학래, "松沙 奇宇萬의 학문 활동과 蘆沙 性理說의 계승" 경남문화연구원 (71) : 257-292, 2021
28 박학래, "松沙 奇宇萬의 강학 활동과 蘆沙學派의 확대" 동양고전학회 (84) : 297-340, 2021
29 朴璋炫, "東溪遺集" 景仁文化社 1992
30 李秉延, "朝鮮寰輿勝覽 8" 韓國人文科學院 1993
31 鄭義林, "日新齋日記" 7 (7): 1995
32 崔基模, "山谷遺稿" 景仁文化社 1999
논어 「자로」18장의 역사적 재해석- 제국 형성기의 동학을 중심으로-
왕도정치(王道政治)와 힘 – 계층적 군집분석을 활용한 맹자 읽기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2-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Confucianism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49 | 1.162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