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영미 문학 읽기 과목 편성․운영 분석: 제주지역 일반고등학교를 중심으로1) 김창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신창원 2025학년도부터 전국 고등학교에서 고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57544
제주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2015 개정 교육과정 ; 고교학점제 ; 영미 문학 읽기 ; 제주지역 일반고등학교
374.74
제주특별자치도
vii, 86 p. ; 26 cm
지도교수: 신창원
I804:49002-00000001190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등학교 영미 문학 읽기 과목 편성․운영 분석: 제주지역 일반고등학교를 중심으로1) 김창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신창원 2025학년도부터 전국 고등학교에서 고교...
고등학교 영미 문학 읽기 과목 편성․운영 분석: 제주지역 일반고등학교를 중심으로1) 김창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신창원 2025학년도부터 전국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교과를 선택하는 학생 선택 교육과정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 로 전망되는 가운데, 영미 문학 읽기 과목처럼 영어과 진로 선택 과목이 어떻게 편성되고 운영되는지 살펴보는 것은 학생의 다양한 과목 선택권을 중요시하는 교육과정의 모습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제주지역 16개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 점제 준비 과정에서 영어과 진로 선택 과목 중 영미 문학 읽기의 편성과 운영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선행 연구 분석으로 영어교육에서 영미 문학이 갖는 교육적 효용성에 주 목하면서, 제주지역 16개 일반고등학교 교육과정, 영미 문학 읽기 편성 학교 실 제 평가 분석, 그리고 교사와 학생 대상 설문을 통하여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의 편성 현황과 교사와 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연구 학교 대상 교사를 포함한 교사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설문조사 결과와 이상적인 영미 문학 읽기 수업 방향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제언 으로 영미 문학 읽기 수업의 개선 사항과 수업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우선 도내 30개 고등학교 중에서 본 연구 대상 학교인 1) 본 논문은 2024년 8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16개 일반고등학교 중 10개 고등학교에서 영어과 진로 선택 과목인 영미 문학 읽 기를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2023년도 기준 2개 학교는 2학년 그리고 8개 학 교는 3학년에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 중에서 서귀포시 C학교 한 곳에서 만 1학기에 가르치는 학기제로 운영하고 있었고, 나머지는 1, 2학기에 모두 개설 하여 학년제로 운영하였다. 다음으로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학교의 평가 계획을 분석한 결과, 석차 등급이 있고 5단계 성취도(A, B, C, D, E) 병기가 되는 일반 선택 교과가 아니라 A, B, C 3단계 성취도로만 평가되는 진로 선택 과목 특성상 대다수 학교가 수행평가 위주로 평가를 진행하고 있었다. 교사와 학생의 영미 문학 읽기 과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 53명 중, 40명(75.5%)이 영미 문학 읽 기 과목이 편성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과목 편성과 관련해서 는 47명의 교사(88.7%)가 2학년에 편성하여 가르치는 것이 낫다고 여기고 있었 다. 그 이유로 “수능 부담감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문학 수업을 할 수 있어 서”(35%)와 “다양한 학생 중심 활동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33.8%)로 나타 났다. 이는 학생들 응답에서도 비슷한 생각을 읽을 수가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 생의 영미 문학 읽기 과목에 대한 자유 응답을 통해서 영미 문학 작품을 이해하 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면서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이 가지는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심층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에게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영미 문학 읽기 과목이 고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많은 교육적인 효과와 가치를 지니고 있기에 제주지역 다 수 학교가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학생들의 진로 선택을 위해 개설된 영미 문학 읽기의 보다 실질적이고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서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수업 혁신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도 교사들이 향후 영미 문학 읽기를 가르치면서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 그 방향성을 제대로 읽어 바람직한 영미 문학 읽기 수업 을 운영하기를 기대해본다. 색인어: 2015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영미 문학 읽기, 제주지역 일반고등학교
목차 (Table of Contents)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과학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고교학점제 관련 진로 및 학업 설계 지도 역량 강화 연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1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2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