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재생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주민참여와의 영향 관계에서 관한 실증적 연구이며, 도시재생 정책에 있어서 도시재생사업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이루어진 이후 주민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31664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67-287(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재생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주민참여와의 영향 관계에서 관한 실증적 연구이며, 도시재생 정책에 있어서 도시재생사업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이루어진 이후 주민참...
본 연구는 도시재생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주민참여와의 영향 관계에서 관한 실증적 연구이며, 도시재생 정책에 있어서 도시재생사업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이루어진 이후 주민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재생 정책의 주거환경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은 정보제공 참여, 주민주도적 참여, 협력적 참여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정주환경과 기간시설의 확충 등으로 인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정책 인식은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형태의 적극적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재생 정책의 문화환경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은 주민참여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재생 정책의 경제환경 정책의식은 정보제공 참여, 주민주도적 참여, 협력적 참여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주민들이 경제환경에 대한 도시재생 정책보다는 기대하기 보다는 주민 스스로 지역의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참여에 적극적이라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도시재생 정책의 긍정적 영향에 대하여 주민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층 강화된 정책 홍보의 필요성이 있다. 둘째, 도시재생 정책에 자발적인 주민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역인재의 발굴 및 지역주민의 역량 제고의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평 ; 최준호 ; 이곤수, "한국의 지방자치와 주민참여:대구지역의 참여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1 (41): 53-83, 2003
2 여옥경, "한·미 도시재생의 사업유형별 전략비교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187-202, 2009
3 김주현 ; 장명준, "지역주민의 도시재생사업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연구: 대구광역시 고성동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 53 (53): 435-448, 2019
4 김환호, "지역주민의 도시재생사업 인식이 주민참여와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2021
5 김민석 ; 이우형,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창조도시 접근체계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소 11 (11): 59-72, 2012
6 서수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25-144, 2007
7 김병준, "지방자치론" 법문사 2012
8 이경영 ; 김범석 ; 정문기, "주거환경만족도가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애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7 (27): 89-118, 2018
9 이재삼,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변천과정에 있어서 파생된 문제점 및 보완사항" 한국법학회 17 (17): 57-87, 2017
10 박근철 ; 주범 ; 김홍기 ; 김세용, "영국의 도시재생 전략체계와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 영국 도시재생회사(Urban Regeneration Company)들의 사업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 45 (45): 11-26, 2011
1 전영평 ; 최준호 ; 이곤수, "한국의 지방자치와 주민참여:대구지역의 참여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1 (41): 53-83, 2003
2 여옥경, "한·미 도시재생의 사업유형별 전략비교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187-202, 2009
3 김주현 ; 장명준, "지역주민의 도시재생사업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연구: 대구광역시 고성동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 53 (53): 435-448, 2019
4 김환호, "지역주민의 도시재생사업 인식이 주민참여와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2021
5 김민석 ; 이우형,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창조도시 접근체계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소 11 (11): 59-72, 2012
6 서수정,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25-144, 2007
7 김병준, "지방자치론" 법문사 2012
8 이경영 ; 김범석 ; 정문기, "주거환경만족도가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애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7 (27): 89-118, 2018
9 이재삼,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변천과정에 있어서 파생된 문제점 및 보완사항" 한국법학회 17 (17): 57-87, 2017
10 박근철 ; 주범 ; 김홍기 ; 김세용, "영국의 도시재생 전략체계와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 영국 도시재생회사(Urban Regeneration Company)들의 사업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 45 (45): 11-26, 2011
11 최필성 ; 유창호, "심층면접법을 활용한 도시재생 테스트베드사업의 개선방안" 한국지적정보학회 16 (16): 185-202, 2014
12 박지호 ; 박정우 ; 남광우, "스마트도시사업 단계별 시민참여 수준 진단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24 (24): 12-28, 2021
13 김권수,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의 마을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사회학회 4 (4): 66-92, 2014
14 정현 ; 전희정,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인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141-161, 2017
15 이재완,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인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09-437, 2014
16 채성만,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20
17 정현 ; 정문기, "사회적 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2・3동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3 (33): 3-36, 2019
18 이승종, "미국 지방정부 정책과정에서의 주민참여기제: 뉴욕시의 지역위원회 (community boards) 를 중심으로" 31 (31): 249-269, 1997
19 조필규, "도시정비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주민참여 개선 방안 연구 - 경기 뉴타운 시민대학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2 (22): 63-86, 2010
20 임윤수 ; 최완호,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 민관협력방식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54) : 169-187, 2014
21 김민지 ; 정의태, "도시재생사업의 주민 참여 수준 진단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소 19 (19): 9-24, 2020
22 김영교 ; 남궁미,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장소애착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31 (31): 43-66, 2019
23 신현주 ; 강명구,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시 용산구 해방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9 (29): 25-46, 2017
24 강맹훈 ; 송혜승 ; 이명훈,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45-59, 2017
25 오후 ; 장인수 ; 황희연, "도시재생사업 인지도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22 (22): 643-654, 2016
26 진은애 ; 이우종, "도시재생사업 유형별 성과지표 중요도 분석-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주거지재생 및 우리동네살리기 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8 (18): 29-41, 2018
27 김민재,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성패(成敗)는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한국도시부동산학회 11 (11): 145-160, 2020
28 김학실, "도시재생과정에서 마을기업의 역할" 경인행정학회 13 (13): 41-60, 2013
29 김상묵 ; 황종술,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60) : 87-105, 2015
30 임경환, "도시관광 재생사업이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4 (24): 571-591, 2020
31 조혜민 ; 이수기, "근린환경특성이 사회적 자본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행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11-133, 2017
32 박종현 ; 김재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경영학회 (17) : 225-255, 2018
33 이나영,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과 로컬 거버넌스: 서울시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89-108, 2020
34 최문형 ; 정문기,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49 (49): 273-306, 2015
35 이나영 ; 안재섭, "‘근린재생 일반형’도시재생사업과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0 (20): 63-78, 2017
36 Couch, C., "Urban renewal: Theory and practic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1990
37 Roberts, P.,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2000
38 Verba, S., "Democratic participation" 373 (373): 53-78, 1967
39 김호철, "AHP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중요요인 분석 연구: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9 (29): 201-216, 2017
40 Arnstein, S. R.,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35 (35): 216-224, 1969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과 일반 시민은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가?
소셜 로봇의 젠더 편향성: 4차 산업혁명 시대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1990년대 이후 여성의 고학력화와 젠더 평등의 지체 : 1990-201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09-06-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7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