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이미지는 정보의 전달과 수용에 있어서 다른 정보의 전달 방식보다 매우 용이하며 효율적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있어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의사전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08448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372.52
충청북도
xxi, 231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 이성도
참고문헌 : p.224-2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각이미지는 정보의 전달과 수용에 있어서 다른 정보의 전달 방식보다 매우 용이하며 효율적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있어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의사전달...
시각이미지는 정보의 전달과 수용에 있어서 다른 정보의 전달 방식보다 매우 용이하며 효율적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있어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의사전달 방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수용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던 청소년들이 시각문화를 직접 제작 활용할 수 있는 친숙한 매체가 활성화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청소년들이 시각문화의 단순한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역할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오늘날의 미술교육은 청소년들의 이러한 시각문화 경험의 흐름을 직시하지 못하고 전통적 미술교육의 형태를 답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시각문화 환경에서 무분별하게 제작, 활용되고 있는 시각 이미지의 올바른 제작과 활용에 관한 인식의 전환을 갖게 해야 한다는 필요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문화에 관한 비주얼 리터러시를 함양 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에 대한 모색으로, 휴대폰 카메라를 매체로 다큐멘터리 사진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실제적 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휴대폰은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시각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이며 친숙한 도구 중 하나이다. 휴대폰은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단순한 통신 수단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시각문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직접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활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일상적 매체이다. 또한 다큐멘터리 사진은 시각문화 생산의 체계적 방법과 분석적 안목, 다양한 활용 가치를 지닌 영역으로서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의 실제적 도구로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을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 방안으로,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통해 시각문화 전반에 대해 폭넓게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일상성과 활용성이 뛰어난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이미지를 제작하고, 제작된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해 학생 상호간의 평가를 통하여 분석․선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별된 사진은 블로그에 탑재하여 학생들의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다큐멘터리의 특성과, 시각 요소들을 반영하여 상호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경험들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사진 제작을 위한 장소와 시간의 적절성에 관한 목록, 윤리규범을 직접 작성하였다. 이는 시각 이미지 제작과 활용에 관해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경험의 기회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정은 비주얼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시각적인 사고와, 시각적 학습, 시각적 의사소통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은 총 7차시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자 수업에 참여하는 남녀 공학,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된 수업을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큐멘터리 사진의 이해를 통해 학생들이 지금까지 쉽게 경험해 왔던 다양한 형태의 시각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둘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경험 할 수 있었던 기존의 사진 제작의 방법이 아닌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이 시각 이미지의 제작에 있어서의 문화적 합목적성을 갖게 되었다.
셋째,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학생들은 주제 표현을 위한 대상에 대한 접근 방법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진 제작의 시각요소 구성능력이 신장되었다.
넷째, 블로그를 활용한 상호 평가는 학생들이 지금까지 시각이미지를 바라보던 유희적 관점에서 벗어나 분석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이 스스로 작성한 장소와 시간의 적절성, 윤리 규범은 시각이미지를 제작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 합리적이며 윤리적 범주에 관한 의식을 함양하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각적 이미지의 합리적 제작 방법의 경험과 제작 능력의 향상, 분석능력의 함양, 제작된 이미지들의 활용에 관한 윤리적 인식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큐멘터리 사진의 제작과 활용을 통한 수업 방안은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이라는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었고, 실제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을 통해서 학생들은 시각문화의 올바른 생산과 이해, 활용에 관한 체험적 학습 경험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