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s a part of “education to prepare for unification” stage. The emphasis on “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in the curriculums has gained more and more m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26583
2015
-
통일교육 ; 문학교과서 ; 교육과정 ; 다문화사회 ; 다문화교육 ; 분단문학 ; 북한소설 ; literature textbooks ; reunification education ; curriculum ; North Korean novels ; multicultural values
800
KCI등재
학술저널
49-83(35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s a part of “education to prepare for unification” stage. The emphasis on “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in the curriculums has gained more and more mo...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s a part of “education to prepare for unification” stage. The emphasis on “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in the curriculums has gained more and more momentum with time. There was no mention on reunification education during the Syllabus Period and First Curriculum because the influences of Independence and Korean War had not led to the perceptions of “reunification,” yet. The Second Curriculum started to reflect “anticommunist education” with no perceptions of unification displayed yet, either. It was in the Third Curriculum that the educational perceptions of “unification” began to emerge with a growing tendency of expansion and emphasis toward the Seventh Curriculum at the result of considering social and international trend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ew 11 literature textbooks announced in 2012 to understand “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in textbooks, tracking the actual patterns of unification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clusion of modern novels in textbooks. Of the 11 textbooks, six incorporated the perceptions of unification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however weak they wer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corporation among the six textbooks, and only three of them reflected “unification education” properly. The organization of the new textbooks had a couple of candidate units good for the reflec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cluding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Korean Literature” under “The Scope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Literature and the Community” under “Literature and Life.” The textbooks will be able to use even broader novel materials in unification education by expanding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e addressed in “Literature and the Community” further. “The Sections and Flows of Korean Literature” also holds potential for unification education as they can show the students the concepts and scopes of Korean literature more broadly and, at the same time, orient them toward unification by including even the “North Korean novels” and the works of overseas Korean writers in the sections of Korean literature and putting an emphasis on their linkage to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 The choice of North Korean novels will have certain significance as an attempt to provide education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further and help the students accept multicultural values in the upcoming eras of rapid changes in adv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미, "현대소설교육에서의 또 하나의 다문화성: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북한 문학정체성의 의미화와 관련하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73-92, 2014
2 이인제,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7) : 173-228, 2005
3 김대행,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4 김중신, "통일 시대 어문 교육의 방향" 국어국문학회 (168) : 93-121, 2014
5 김현숙, "최근 북한 문학작품의 특성- 항구성과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 한중인문학회 (13) : 80-111, 2004
6 박기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수록된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1) : 83-120, 2003
7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36-, 2003
8 구인환,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7
9 유성호, "문학 교육과 통일 교육-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53 : 34-, 2010
10 정낙근, "드레스덴 선언과 남북관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2014
1 이영미, "현대소설교육에서의 또 하나의 다문화성: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북한 문학정체성의 의미화와 관련하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73-92, 2014
2 이인제,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7) : 173-228, 2005
3 김대행,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4 김중신, "통일 시대 어문 교육의 방향" 국어국문학회 (168) : 93-121, 2014
5 김현숙, "최근 북한 문학작품의 특성- 항구성과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 한중인문학회 (13) : 80-111, 2004
6 박기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수록된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1) : 83-120, 2003
7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36-, 2003
8 구인환,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7
9 유성호, "문학 교육과 통일 교육-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53 : 34-, 2010
10 정낙근, "드레스덴 선언과 남북관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2014
11 이윤정, "다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교과서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7) : 93-141, 2013
12 임현진, "남북한 통합의 사회문화적 접근:의의,현실 및 모색"
13 김병로,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4 : 101-136, 2012
14 박기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 2012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89) : 193-222, 2014
15 이정복, "21세기민족 통일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101-102, 2000
16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3년 통일교육지침"
17 정현숙,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영역과 교과서의 양상 - 고등학교 <국어>ⅠⅡ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회 27 : 311-340, 2014
18 최지현,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검정 체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91-318, 2010
이미지즘 시의 공간 연출(演出)과 시 읽기 교육 -정지용과 김광균의 시를 중심으로-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사설시조 향유층 논란을 중심으로-
설화 <새끼 서 발>에 나타난 과장과 허언의 심리적 의미와 효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7-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1 | 1.085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