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교사들의 수업연구를 통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지도 효과 = The Effect of Teaching on Limits and Continuity of Functions through the Lesson Study of Mathematics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0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업연구를 같은 학교 동료 교사와 함께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지도에 적용한 본 연구는 수업연구 활동이지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연구에 참여한 수학교사로부터 수업을 받은 36명과 수업연구 적용을 받지 않은고등학생 36명에게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에 관한 수업을 실시하고, 두 집단의 학습 효과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수업내용에 관련된 객관식 20문항을 지필고사 시험으로 제시하였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 36명의 평균점수가 100점 만점에 77.11(표준편차 16.47)점이고 수업연구 적용을 받지 않은 학생들의평균 점수는 65.29(표준편차 20.59)점으로 나타나,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고등학생들이 그렇지 않은고등학생들보다 함수의 극한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높았다고 해석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흥미-태도(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변화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에 관한 측도점수 모두 유의수준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세 영역을 모두 총괄하여 수학에 대한흥미⋅태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들이 수업연구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수학에 대한 흥미⋅ 태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수업연구를 같은 학교 동료 교사와 함께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지도에 적용한 본 연구는 수업연구 활동이지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

      수업연구를 같은 학교 동료 교사와 함께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지도에 적용한 본 연구는 수업연구 활동이지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연구에 참여한 수학교사로부터 수업을 받은 36명과 수업연구 적용을 받지 않은고등학생 36명에게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에 관한 수업을 실시하고, 두 집단의 학습 효과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수업내용에 관련된 객관식 20문항을 지필고사 시험으로 제시하였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 36명의 평균점수가 100점 만점에 77.11(표준편차 16.47)점이고 수업연구 적용을 받지 않은 학생들의평균 점수는 65.29(표준편차 20.59)점으로 나타나,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고등학생들이 그렇지 않은고등학생들보다 함수의 극한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높았다고 해석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흥미-태도(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변화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에 관한 측도점수 모두 유의수준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세 영역을 모두 총괄하여 수학에 대한흥미⋅태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들이 수업연구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수학에 대한 흥미⋅ 태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pplying the method of lesson study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Lesson study is defined as an inquiry into the stable and systematic teaching practices which Japanes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long practiced in Japan. Unfortunately, this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practice of class study is effective, teachers in Korea are not ready to apply this method as they fear criticism and classroom evaluations. Although teachers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aching by sharing their closed classroom teaching with their colleagues, it is true that they have not actively pursued this due to the fear of releasing their cla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pplying the method of lesson study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Lesson study is defined as an inquiry into the stable and systematic teaching practices which Japanese elementary and middle sch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pplying the method of lesson study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Lesson study is defined as an inquiry into the stable and systematic teaching practices which Japanes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long practiced in Japan. Unfortunately, this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practice of class study is effective, teachers in Korea are not ready to apply this method as they fear criticism and classroom evaluations. Although teachers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aching by sharing their closed classroom teaching with their colleagues, it is true that they have not actively pursued this due to the fear of releasing their cla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희, "초등학교 동료장학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김영식, "장학론" 교육출판사 1987

      4 허혜자, "수학불안에 관한 연구-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 한국교육개발원, "수학과 학습태도 검사" 한국교육개발원 1991

      6 노경석, "배움 중심 수업으로 점프하기" (199) : 2014

      7 선우진,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17 (17): 189-203, 2014

      8 "경상남도교육청 2014.12.30. 정기간행물실(524호)"

      9 Ball, D. L., "What’s happening in math class?" Teachers College Press 36-45, 1996

      10 Stigler, J. W., "The Teaching Gap: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Free Press 1999

      1 김선희, "초등학교 동료장학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김영식, "장학론" 교육출판사 1987

      4 허혜자, "수학불안에 관한 연구-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 한국교육개발원, "수학과 학습태도 검사" 한국교육개발원 1991

      6 노경석, "배움 중심 수업으로 점프하기" (199) : 2014

      7 선우진,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17 (17): 189-203, 2014

      8 "경상남도교육청 2014.12.30. 정기간행물실(524호)"

      9 Ball, D. L., "What’s happening in math class?" Teachers College Press 36-45, 1996

      10 Stigler, J. W., "The Teaching Gap: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Free Press 1999

      11 Kennedy, M. M., "Teaching as the learning profession" Jossey-Bass 54-85, 1999

      12 Fernandez, C., "Learning from Japanese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 The case of lesson study" 53 (53): 393-405, 2002

      13 Ma, L.,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14 Lewis, C., "How Should Research Contribute to Instructional Improvement? The Case of Lesson Study" 35 (35): 3-14, 2006

      15 Chokshi, S., "Challenges to importing Japanese lesson study: concerns, misconceptions, and nuances" 500-525, 2004

      16 Greenberg, J., "Behavior in organizations" Prentice-Hall 2000

      17 Hiebert, J., "A proposal for improving classroom teaching: Lessons from the TIMSS Video Study" 101 : 3-20, 2000

      18 Fernandez, C., "A USJapan lesson study collaboration reveals critical lenses for examining practice" 19 : 171-185, 2003

      19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