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 = Pre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4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s a preliminary study, the perception and use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investiga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about traditional Korean play? Second, how do preschool teachers use it? Third, what is their degree of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 interest in traditional play; however, they lacked experience in receiving the relevant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games were not organized even once a week in most cases and that there were few play too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here are few types of pla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to activate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traditional Korean play-bas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s a preliminary study, the perception and use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s a preliminary study, the perception and use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investiga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about traditional Korean play? Second, how do preschool teachers use it? Third, what is their degree of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howed high interest in traditional play; however, they lacked experience in receiving the relevant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games were not organized even once a week in most cases and that there were few play too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here are few types of pla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to activate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traditional Korean play-bas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경, "한국 민속놀이의 생태학적 분석 및 유아교육적 가치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진영미, "집단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15-242, 2016

      3 윤옥주, "전통놀이활동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05-229, 2010

      4 김의경, "전통놀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현직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활용실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5 민행난, "전통놀이를 통한 물리적 지식활동 구성과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227-252, 2003

      6 박양이,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돕기와 나누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7 : 179-191, 2005

      7 양진희, "전통놀이 활동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9 : 139-161, 2007

      8 김원준,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198-208, 2010

      9 나승희, "전통놀이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9 (19): 63-74, 2010

      10 김승영, "전통놀이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 및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3) : 1067-1076, 2011

      1 김은경, "한국 민속놀이의 생태학적 분석 및 유아교육적 가치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진영미, "집단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15-242, 2016

      3 윤옥주, "전통놀이활동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05-229, 2010

      4 김의경, "전통놀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현직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활용실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5 민행난, "전통놀이를 통한 물리적 지식활동 구성과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227-252, 2003

      6 박양이,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돕기와 나누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7 : 179-191, 2005

      7 양진희, "전통놀이 활동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9 : 139-161, 2007

      8 김원준,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198-208, 2010

      9 나승희, "전통놀이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9 (19): 63-74, 2010

      10 김승영, "전통놀이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 및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3) : 1067-1076, 2011

      11 최민수, "전통놀이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243-261, 2015

      12 김순자,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375-400, 2010

      13 김희진, "전통 어린이 놀이에서 나타난 ‘놀이’의 의미"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8 (8): 67-91, 2018

      14 김미애, "전래동요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0 (10): 25-46, 2006

      15 정미식, "전래놀이의 가치와 활용방안"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18 : 146-170, 2019

      16 김회순, "전래놀이에 대한 영아 교사의 인식 및 운영 현황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197-226, 2018

      17 김정겸,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73-181, 2014

      18 배정호, "전래놀이 기반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629-656, 2015

      19 이조은, "유아들의 놀이에 나타난 사회적 전략 탐구: ‘얼음땡’ 놀이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7-52, 2016

      20 박혜훈, "유아 놀이연구에서 교사 관련 연구 동향분석"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7 (7): 23-47, 2020

      21 장연주, "유아 놀이 연구 동향 분석: 2006년부터 2015년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473-496, 2016

      22 서현숙, "유 초통합 전래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6 (6): 15-30, 2005

      23 김영주, "실외 전래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2 (12): 635-645, 2003

      24 박영미, "신체접촉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교사관계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5 (5): 17-34, 2014

      25 최별녀, "세시풍속을 활용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국가정체성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87-115, 2018

      26 박근영, "민속놀이를 활용한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배려행동과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37-1258, 2019

      27 윤영진, "민속놀이 참여가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과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87-97,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