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 성취도와 교수자의 학업적 지원이 프로그래밍 학습 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래밍 수업 사례 연구 =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Involvement and Achievement on Learning Continuation Intention in Programming Learning — A Case Study of Programming Classes for Non-Maj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4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대학교육에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여러 학기에 걸쳐 지속적이고 단계적으로 학습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지속의도에 학습자의 특성과 성취도 교수자의 관여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의 적절한 수준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의 성취도와 학습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지속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관여가 학습자의 학습자기효능감과 매개하여 학습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학습자기효능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교수자의 적절한 관여와 교수방법을 비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하는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대학교육에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여러 학기에 걸쳐 지속적이고 단계적으로 학습을 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대학교육에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여러 학기에 걸쳐 지속적이고 단계적으로 학습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지속의도에 학습자의 특성과 성취도 교수자의 관여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의 적절한 수준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의 성취도와 학습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지속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관여가 학습자의 학습자기효능감과 매개하여 학습지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학습자기효능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교수자의 적절한 관여와 교수방법을 비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하는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길현영, "해외 SW정규교육의 사례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4 (24): 151-160, 2019

      2 박윤수, "학습자의 인식과 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한 대학의 컴퓨팅 사고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67-191, 2020

      3 이성혜, "학습자의 SW 및 AI 흥미,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과 AI 자기효능감, AI 학습 지속 의사 간의 관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51-58, 2020

      4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7

      5 김순화,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105-114, 2015

      6 김재경, "컴퓨팅 사고 개념 학습과 프로그래밍 역량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27-36, 2017

      7 이은경,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35-42, 2019

      8 서영호, "초등학교 SW교육에서 동료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219-234, 2016

      9 박금주, "비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의 탐색" 교육연구소 24 (24): 273-292, 2018

      10 김헌주, "비전공자 대상 SW교육과정 개편이 수업만족도에 미친 영향분석" 22 (22): 45-48, 2018

      1 길현영, "해외 SW정규교육의 사례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4 (24): 151-160, 2019

      2 박윤수, "학습자의 인식과 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한 대학의 컴퓨팅 사고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67-191, 2020

      3 이성혜, "학습자의 SW 및 AI 흥미,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과 AI 자기효능감, AI 학습 지속 의사 간의 관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51-58, 2020

      4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7

      5 김순화,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105-114, 2015

      6 김재경, "컴퓨팅 사고 개념 학습과 프로그래밍 역량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27-36, 2017

      7 이은경,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35-42, 2019

      8 서영호, "초등학교 SW교육에서 동료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219-234, 2016

      9 박금주, "비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의 탐색" 교육연구소 24 (24): 273-292, 2018

      10 김헌주, "비전공자 대상 SW교육과정 개편이 수업만족도에 미친 영향분석" 22 (22): 45-48, 2018

      11 김헌주, "비전공자 대상 SW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효과 분석"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721-744, 2019

      12 서영호,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이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351-360, 2017

      13 김세민, "내·외향적 성격유형이 자바 프로그래밍 학습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439-446, 2018

      14 김세민, "기초교양필수 과목인 스크래치와 파이썬 프로그래밍 과목 수강생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23 (23): 801-806, 2019

      15 이숭녕, "국어 음성 상징론에 대하여" 언어학회 3 (3): 1-19, 1978

      16 양창모,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317-324, 2014

      17 나정은, "교양교육으로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니즈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3-89, 2017

      18 Tucker, L. R.,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 1-10, 1973

      19 Jenkins, T., "The motivation of students of programming" 53-56, 2001

      20 Bentler, P. M.,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88 : 588-606, 1980

      21 이재호, "SW코딩기반 메이커교육용 교수-학습모형의 효과성 검증"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 (2): 49-61, 2016

      22 서주영, "SW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23-132, 2017

      23 송정범, "SW교육에 참가하는 학생의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91-102, 2018

      24 김주연, "SW 코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러닝의 학습효과 분석" 융복합지식학회 6 (6): 1-7, 2018

      25 신윤희, "SW 비전공 대학생을 위한 디자인 씽킹 기반 코딩교육에서의 학습경험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759-768, 2019

      26 봉미미, "SMILES(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cales)"

      27 Yadin, A., "Reducing the dropout rate in a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2 (2): 71-76, 2011

      28 Robins, A., "Learning and teaching programming : A review and discussion" 13 (13): 137-172, 2003

      29 Bolton, T., "Implementing Key Skills in Further Education : Perception and Issues" 27 (27): 15-26, 2003

      30 Schunk, D. H., "Goal and self-evaluative influences during children’s cognitive skill learning" 33 (33): 359-382, 1996

      31 Georgette Yakman, "Exploring the Exemplary STEAM Education in the U.S.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072-1086, 2012

      32 Pereira, F. D., "Early dropout prediction for programming courses supported by online judges" Springer 67-72, 2019

      33 김수환,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서 나타난 컴퓨터 비전공 학습자들의 어려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9-57, 2015

      34 김수환,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서 나타난 초기 학습전이에 대한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61-69, 2017

      35 Eltegani, N., "Attributes of students engagement in fundamental programming learning" IEEE 101-106, 2015

      36 Young-Sik Jeong, "Analysis of Student Teachers’ Requirement of Software Education at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11 (11): 266-269, 2019

      37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38 De-La-Fuente-Valentín, L., "Addressing drop-out and sustained effort issues with large practical groups using an automated delivery and assessment system" 61 : 33-42, 2013

      39 박형용, "3수준 다층모형을 통한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및 SW교육태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83-9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