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섬망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1년 2월 7일부터 3월 20일까지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486693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2011
한국어
610.73 판사항(22)
광주
Effect of Delirium Education on Delirium Knowledge and Delirium Nursing Practi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vii, 49 p. : 삽도 ; 30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오장
참고문헌 : p.26-3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섬망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1년 2월 7일부터 3월 20일까지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섬망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1년 2월 7일부터 3월 20일까지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30명이었다. 그중 15명을 실험군, 15명을 대조군으로 편의 할당하여 2011년 2월 7일부터 2월 11일까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설문지를 배부해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가 끝난 후 바로 실험군에게는 섬망교육을 중재하고 대조군에게는 중재하지 않은 채 2011년 3월 16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30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조귀래가 개발한 섬망지식 측정도구(2001)와 섬망간호 실천 측정도구(2001)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6.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χ²-test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로, 두 집단간의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과 섬망 교육 후 효과검증은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 계수로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20대가 전체의 5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30대로서 약 37%였다. 교육정도는 전문대졸이 50%를 차지했고 대졸이 40%, 대학원졸이 10%였다. 성별은 약 97%가 여성이었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60%, 기혼이 40%였다. 중환자실 경력은 약 80%가 1-10년에 속했고, 섬망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 90%나 되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 두 군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ρ>.05)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도 섬망지식(z=- .584, p= .567)과 섬망간호 실천(z=-1.330, p= .187)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제 1가설인 ‘섬망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섬망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섬망지식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지지되었다(z=-4.283,
p< .001).
4. 제 2가설인 ‘섬망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섬망간호 실천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섬망간호 실천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지지되었다(z=-3.138, p< .001).
결론적으로 섬망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지식과 섬망간호 실천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