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혈당 변동성(Glycemic variability, GV)은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내피세포 기능을 방해하여 당뇨병성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혈당 변동성을 조절하는 것은 당뇨병 ...
연구 배경 및 목적: 혈당 변동성(Glycemic variability, GV)은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내피세포 기능을 방해하여 당뇨병성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혈당 변동성을 조절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병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 목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고,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DPP-IV(Dipeptidyl-peptidase IV) 억제제는 혈당 변동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혈당 변동성에 대한 DPP-IV 억제제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다른 경구용 혈당 강하제와 비교하여 혈당 변동성에 대한 DPP-IV 억제제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연속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을 사용하여 DPP-IV 억제제의 혈당 변동폭(Mean amplitude of glycemic excursions, MAGE) 효과를 평가한 무작위 대조 연구들(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에 대해 체계적인 문헌 고찰과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및 결과: 총 102개의 연구 중에서 7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다른 경구용 혈당 강하제군에 비해 DPP-IV 억제제군에서 MAGE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MAGE: -14.35mg/dL, 95% 신뢰구간: -20.84, -7.86; p<0.0001). 반면 DPP-IV 억제제군과 다른 경구용 혈당 강하제군의 혈당 강하 효과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Glycated hemoglobin(HbA1c): -0.06%; 95% 신뢰구간: -0.26, 0.15; p=0.59).
결론: 본 연구를 통해, DPP-IV 억제제가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다른 경구용 혈당 강하제와 유사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면서, 혈당 변동성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혈당 변동성 및 당뇨병성 합병증에 대한 DPP-IV 억제제의 효과를 조사하는 대규모의 장기간 추적 관찰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