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고소설에 나타난 죄벌(罪罰)을 통해 본 소수자 혐오 양상과 그 의미 ― 추모(醜貌)·귀물(鬼物)·유충(幼蟲)·병신(病身)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Disgustof the Minorities in theView of the Punishment in Late JoseonFictin - ugly, Monstrous, worm,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5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조선 후기 고소설에 나타나는 죄벌(罪罰)의 방식인 추모(醜貌)·귀물(鬼物)·유충(幼蟲)·병신(病身)의 형상화를 통해 조선 후기 고소설 속 갈등의 방식과 그 속에서 나타나는 소수자�...

      본 글은 조선 후기 고소설에 나타나는 죄벌(罪罰)의 방식인 추모(醜貌)·귀물(鬼物)·유충(幼蟲)·병신(病身)의 형상화를 통해 조선 후기 고소설 속 갈등의 방식과 그 속에서 나타나는 소수자에 대한 혐오 원인을 고찰하는 것이다.
      고소설은 일반적으로 권선징악을 세계관으로 삼아 선악(善惡)을 중심으로 한 갈등과 악행에 대한 죄과(罪科)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그려진다. 그런데 특징적인 것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고소설 속에서 가문의 질서를 따르는 인물을 선인으로, 가문의 질서를 위협하는 인물을 악인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가문의 질서에 부합하지 못하는 인물에게는 징벌이 내려지는데 그 대상이 권력 관계 속에서 열세에 있는 소수자인 여성과 장애인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들은 죄벌로 인해 못생긴 외모(醜貌)로 태어나고(<한조삼성기봉>), 몸에서 수많은 벌레(幼蟲)를 쏟아내며(<완월회맹연>), 흉악한 귀물(鬼物)이 되어 돌아오고(<완월회맹연>) 맹인·앉은뱅이·성불구자와 같은 병신(病身)이 된다.(<한후룡전>·<유화기연>) 소수자를 악취·유충·버러지·더러움·우두나찰·귀신·잔나비·흉계망측·병신·일무가취 등 부정적으로 묘사하면서 소수자에 대한 강한 혐오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두 번의 전쟁으로 인해 신분 질서의 동요 등이 일어났던 조선 후기 사회에서 사대부 남성들은 흔들리는 지지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윤리를 구축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종법 의식을 강화하여 가문 중심의 질서로 사회를 재편하려 했는데 이러한 움직임 이면에는 주체 남성의 은폐된 욕망과 자신들이 만든 공동체가 새로운 사고에 의해 흔들릴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숨어 있었다. 그래서 반(反)이데올로기, 성적 욕망, 신체적 불완전성에 대한 주체 집단의 원초적 두려움이 소수자를 괴물화하는 것을 통해서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주체가 만들어낸 괴물이 사실은 폭력적인 권력자가 아니라 사회 권력의 희생자였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and considering the formats of conflicts and the causes of abhorrence against minorities displayed thereof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mbodiment of hideous appearance, evil spirits, vermin...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and considering the formats of conflicts and the causes of abhorrence against minorities displayed thereof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mbodiment of hideous appearance, evil spirits, vermin, and physical deformation, which are the formats of punishment, illustrated in the old novels of the time.
      Old novels generally employ ‘encouragement of good and punishment for evil’ as the worldly values, thereby focusing on depicting the conflicts centered around good and evil, as well as the punishment of evil deeds most importantly. What should be noted is the trend of the distinction between goodness and evilness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novels becoming even more definitive towards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re had been a marked increase of novels that depicted those who safeguard the orderliness within the family clan as virtuous persons and those who threatened such orderliness as evil persons. Accordingly, those who failed to comply with the orderliness of the family clan were subjected to an extensive range of punishments. Moreover, women and disabled persons who were the minorities deemed to be inferior amidst of the power dynamics within the family clan become the targets of abhorrence. Accordingly, they were borne with hideous appearances (< Hanjosamsunggibong >), countless vermin gushing out of their bodies (< Wanwolhoemaengyeon >), returning as atrocious evil spirits (< Wanwolhoemaengyeon >), and becoming blind, paralyzed in the lower body, sexually impotent, and intellectually disabled as the results of punishments for their crimes committed. (< Hanhuryongjeon >, < Yuhwagiyeon >) depict the images of minorities with descriptions such as foul odors, larva, insects, foulness, ghosts with bull’s heads, evil spirits, monkeys, physical deformations, worthless persons to incite strong senses of abhorrence. They were then either eliminated or reformed into persons who were in compliance with the ideologies of the ruling group to be incorporated into such group
      Depiction of women and disabled persons as monstrous characters as well as displays of abhorrence against them could be seen as the results of reflection of the uneasy consciousness of the male principals with power and their psychological horrors of being castrated from the status quo they enjoyed. Monsters are the manifestation of the internal impulses of principal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from the moral viewpoint of humanity.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nsters created by the principals are in fact the victims of the social powers rather than violent authority. It was possible to deduce the mentality of the social classes striving to continue to enjoy their status quo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owards hideous appearances that underwent hierarchical changes through the aforementioned punishments for what they considered cri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柳花奇緣 7권 7책"

      2 "한후룡전 2권 2책"

      3 "한조삼성기봉 14권 14책"

      4 김영희, "한국 구술서사와 ‘여성혐오’ - 구술서사에 나타난 '여성혐오(misogyny)’의 논리와 서사 전략 분석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6) : 85-137, 2018

      5 권택영, "프로이트의 성과 권력" 문예출판사 1998

      6 김수연, "조선시대 여성의 감정노동과 서사적 미러링을 통한 ‘이비 신화’의 문제 공유 : 「옥환기봉」과 「한조삼성기봉」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40, 2016

      7 구선정, "조선 후기 여성의 윤리적 지향과 좌절을 통해 본 가문의 정의 -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의 소교완을 중심으로 -" 한국고소설학회 (47) : 5-40, 2019

      8 구선정, "장애인 간 연대를 통한 치유 - <한후룡전>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34 : 159-188, 2015

      9 임치균, "장서각 낙선재본 고전소설 연구" 태학사 20-,

      10 리처드커니, "이방인, 신, 괴물" 개마고원 2004

      1 "柳花奇緣 7권 7책"

      2 "한후룡전 2권 2책"

      3 "한조삼성기봉 14권 14책"

      4 김영희, "한국 구술서사와 ‘여성혐오’ - 구술서사에 나타난 '여성혐오(misogyny)’의 논리와 서사 전략 분석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6) : 85-137, 2018

      5 권택영, "프로이트의 성과 권력" 문예출판사 1998

      6 김수연, "조선시대 여성의 감정노동과 서사적 미러링을 통한 ‘이비 신화’의 문제 공유 : 「옥환기봉」과 「한조삼성기봉」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40, 2016

      7 구선정, "조선 후기 여성의 윤리적 지향과 좌절을 통해 본 가문의 정의 -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의 소교완을 중심으로 -" 한국고소설학회 (47) : 5-40, 2019

      8 구선정, "장애인 간 연대를 통한 치유 - <한후룡전>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34 : 159-188, 2015

      9 임치균, "장서각 낙선재본 고전소설 연구" 태학사 20-,

      10 리처드커니, "이방인, 신, 괴물" 개마고원 2004

      11 "완월회맹연 180권 180책"

      12 "옥환긔봉 30권 15책"

      13 바바라 크리드, "여성괴물-억압과 위반 사이" 여이연 2008

      14 김애령, "여성 타자의 은유-주체와 타자 사이" 그린비 2012

      15 "쌍천기봉 18권 18책"

      16 임치균, "사랑과 갈등에 대한 남성의 시각 뒤집어 보기-<옥환기봉>과 <한조삼성기봉>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9) : 169-195, 2004

      17 한길연, "대하소설의 의식성향과 향유층위에 관한 연구 : <창란호연록>·<옥원재합기연>·<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8 장시광, "대하소설의 여성과 법 -종통, 입후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9) : 127-178, 2009

      19 한길연, "대하소설 속 종창(腫瘡) 모티프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6) : 237-269, 2017

      20 탁원정,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병과 그 의미 -소교완, 이자염, 장성완을 대상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0 : 161-193, 2016

      21 강상순, "괴물은 무엇을 표상하는가 -한국 고전서사문학 속의 괴물-" 우리어문학회 (55) : 43-73, 2016

      22 유현주, "괴물, 여성, 기계 - 프로이트의 언캐니 이론과 우리 안의 타자들" 한국뷔히너학회 (37) : 241-262, 2011

      23 수전 웬델, "거부당한 몸(장애와 질병에 대한 여성주의 철학)" 그린비 2013

      24 "韓厚龍傳 2권 2책"

      25 구선정, "「한조삼성기봉」에 나타난 ‘혼사장애(婚事障碍)’양상과 후편 장편소설로서의 의미" 이화어문학회 (49) : 108-133, 2019

      26 박희병, "‘병신’에의 視線-前近代 텍스트에서의-" 한국고전문학회 24 : 11-361, 2003

      27 구선정, "‘남녀 성(性) 바꾸기’ 환생담에 나타난 독자의 욕망 고찰 Ⲻ 조선 후기 고소설 <하씨선행후대록> · <한조삼성기봉> · <삼생록>을 중심으로–" 온지학회 (62) : 89-122, 2020

      28 구선정, "<한후룡전>·<유화기연>·<영이록>에 나타난 ‘장애인’의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42) : 241-278, 2016

      29 이승복, "<한조삼성기봉>의구조와 성격-前篇<옥환기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청관고전문학회 3 : 2001

      30 박은정, "<한조삼성기봉>에 나타난 환생과 복수" 한국고소설학회 (47) : 77-112, 2019

      31 전기화, "<한조삼성기봉>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3) : 219-250, 2016

      32 구선정, "<유화기연>을 통해 본 군자(君子)의 조건과 그 이면" 한국고전연구학회 (32) : 61-89, 2015

      33 김서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천상계의 특성과 의미- 모자 관계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8) : 361-390, 2014

      34 한정미, "<완월회맹연> 인물 심리의 형상화 연구 : 성격의 형성 동인과 갈등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2021

      35 이현주, "<완월회맹연>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36 한정미, "<완월회맹연> 여성 인물 간 폭력의 양상과 서술 시각" 한국고전연구학회 (25) : 345-398, 2012

      37 구선정, "<옥환기봉>의 인물 연구 : 역사 인물의 소설적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38 이승복, "<옥환기봉> 연작의 여성담론과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283-322, 2006

      39 박은정, "<옥환기봉> 연작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40 장시광, "<쌍천기봉>의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21 : 2001

      41 장시광, "<쌍천기봉>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한서대 동양고전연구소 9 : 2003

      42 이선형, "<쌍천기봉>·<이씨세대록> 인물의 성장 의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43 탁원정, "<쌍천기봉> 연작의 혼인담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분노" 한국고소설학회 (39) : 213-246,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4 1.06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