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Chŏlla province 全羅北道 nongak 農樂 (farmers' music). Expecially, the paper deals with how Chŏngŭp nongak 井邑農樂 and Namwŏn nongak 南原農樂 newly emerged in Chwad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69902
임미선 (단국대학교)
2014
Korean
Post-Liberation Period ; North Chŏlla 全羅北道 ; Nongak 農樂 (farmers' band music) ; Chwado 左道 (left region) ; Udo 右道 (right region) ; Chŏngŭp nongak 井邑農樂 ; Namwŏn nongak 南原農樂 ; Poch'ŏnism ; Nongaktan 農樂團 (Farmer's Music Band) ; P'ungmulgut 풍물굿 ; Pan'gut 판굿 ; Kŏllipp'ae 乞粒牌 ; 해방공간기(解放空間期) ; 전라북도(全羅北道) ; 농악(農樂) ; 좌도(左道) ; 우도(右道) ; 정읍농악(井邑農樂) ; 남원농악(南原農樂) ; 보천교(普天敎) ; 농악단(農樂團) ; 풍물굿 ; 판굿 ; 걸립패(乞粒牌)
KCI등재
학술저널
319-342(2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Chŏlla province 全羅北道 nongak 農樂 (farmers' music). Expecially, the paper deals with how Chŏngŭp nongak 井邑農樂 and Namwŏn nongak 南原農樂 newly emerged in Chwado...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Chŏlla province 全羅北道 nongak 農樂 (farmers' music). Expecially, the paper deals with how Chŏngŭp nongak 井邑農樂 and Namwŏn nongak 南原農樂 newly emerged in Chwado 左道 (left region of province) and Udo 右道 (right region of province) respectively, focusing on the process of farmers' music being advanced into an entertainment music performed in a stage, the tent, called p'ojang kŏllip 포장乞粒. Also, the paper includes a discussion on how and when Chwado and Udo farmers' music began to interact each other.
In the discussion, the background and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North Chŏlla province farmer's music are highlighted. A new form of farmer's music band, which was composed of professional musicians, began in Chŏngŭp nongak 井邑農樂 (Chŏngŭp farmers' music) while pan 'gut 판굿 was arranged by professional entertainers, as Poch'ŏn'gyo 普天敎 religion encouraged farmers' music before the Liberation. First, I paid attention to the role of National Farmers' Music Competition called Chŏn'guk nongak kyŏngyŏn taehoe 全國農樂競演大會 that it accelerated musical development of nongak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consequence, the paper emphasizes the composition of the bands with well-known performers, and presents the history of p'ojang kŏllip in 1940s after the North Chŏlla province farmers' music band became famous winning a special award.
Though a short amount of time, however, the liberation period was the hay day of the farmers' music in South Western region (Honam 湖南 or Chŏllado 全羅道) in Korea as many talented performers were produced and artistic skill we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the competitive structure between Chwado 左道 (left region) and Udo 右道 (right region) would have improved the artistic aspects in farmers' music, more specifically the formality of pan'gut 판굿. The sponsorship, the financial support from wealth people, is also mentioned in terms of commercial performance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armer's music.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해방공간기(解放空間期)에 전라북도에서 농악(農樂)이 발전하게 된 배경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우도(右道)에서 정읍농악(井邑農樂)이, 좌도(左道)에서 남원농악(南原...
본 논문은 해방공간기(解放空間期)에 전라북도에서 농악(農樂)이 발전하게 된 배경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우도(右道)에서 정읍농악(井邑農樂)이, 좌도(左道)에서 남원농악(南原農樂)이 새롭게 발전하게 된 상황, 좌도와 우도 농악이 포장걸립으로 연예농악을 펼치면서 발전하게 된 과정 등에 비중을 두고 논의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좌도농악(左道農樂)와 우도농악(右道農樂)의 교섭이 이루어진 배경과 시기에 대한 내용도 아울러 다루었다.
논의에서 해방 이전에 보천교가 농악을 장려함으로써 정읍농악이 전문 치배들로 구성되는 농악대(農樂隊)의 형성을 가능케 했던 측면과 전문 예인들에 의해 판굿이 짜여지는 등의 기반이 이루어진 환경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해방공간기에 개최되었던 전국농악경연대회(全國農樂競演大會)가 농악 발전의 촉매 역할을 한 점에 주목하여 대회 출전을 위해 이름난 잽이들이 결집하여 농악단(農樂團)이 구성되었던 점, 대회에서 전북팀이 특등상을 받아 전북의 농악이 전국적으로 알려짐으로써 1940년대에 포장걸립이 시작되었던 점 등을 부각시켰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해방공간기에 호남 농악(湖南農樂)은 좌도에서는 남원농악이, 우도에서는 정읍농악이 주축이 되어 많은 명인들을 배출하고 기예를 발휘함으로써 최고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 기간 좌도와 우도의 보이지 않는 경쟁구도도 농악의 기예능, 특히 판굿의 형식이 발전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고창에서와 같이 재산가들의 후원을 받아 상업적으로 농악을 연행한 것도 일정 부분 기여한 측면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익두., "호남좌도 풍물굿" 전북대박물관 1994
2 김익두, "호남우도 풍물굿"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1994
3 이용식, "호남 좌도농악의 갈래" 한국국악학회 35 : 199-224, 2004
4 양옥경, "호남 우도농악 판굿의 음악구조와 구성원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5 문화부, "한국의 민속예술 :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33년사" 문화부 1992
6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한국의 농악" 수서원 1994
7 김익두., "정읍풍물굿의 공연적 특성과 발전방향" 한국풍물굿학회 (창간) : 2012
8 전북대학교박물관총서, "정읍지역 민속예능" 전북대학교박물관 1992
9 정읍시시사편찬위원회, "정읍시사 상권" 신아출판사 2003
10 황미연, "정읍국악사" 정읍시청 2004
1 김익두., "호남좌도 풍물굿" 전북대박물관 1994
2 김익두, "호남우도 풍물굿"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1994
3 이용식, "호남 좌도농악의 갈래" 한국국악학회 35 : 199-224, 2004
4 양옥경, "호남 우도농악 판굿의 음악구조와 구성원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5 문화부, "한국의 민속예술 :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33년사" 문화부 1992
6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한국의 농악" 수서원 1994
7 김익두., "정읍풍물굿의 공연적 특성과 발전방향" 한국풍물굿학회 (창간) : 2012
8 전북대학교박물관총서, "정읍지역 민속예능" 전북대학교박물관 1992
9 정읍시시사편찬위원회, "정읍시사 상권" 신아출판사 2003
10 황미연, "정읍국악사" 정읍시청 2004
11 임미선, "전북의 음악, 그 신명과 멋" 전라북도, 국립민속박물관 2008
12 "전북의 민속예술 50년"
13 전북애향운동본부, "전북문화예술자료집" 전북인쇄공업협동본부 1990
14 황미연, "전북국악사" 신아출판사 1998
15 "전라북도국악실태조사"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2
16 손우승, "일제강점기 풍물의 존재양상과 성격" 실천민속학회 9 : 289-332, 2007
17 "이리농악"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18 이규원,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전통 예인 백사람" 현암사 1995
19 "어떻게 허면 똑똑헌 제자 한놈 두고 죽을꼬?(임실 설장구잽이 신기남의 한 평생)" 뿌리깊은 나무 1981
20 홍현식,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호남농악" 문화공보부 1967
21 정병호, "농악" 열화당 1986
22 김익두, "남원농악" 한국농악보존협회 남원시지회
23 고창농, "고창농악을 지켜온 사람들의 삶과 예술세계" 나무한그루 2010
24 고창농악보존회, "고창농악" 나무한그루 2009
25 "益山農樂" 익산문화원 1995
경제(京制) 각배 <걸수(乞水)> 연구(2) -<걸수>의 음악적 구성美-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피리차비에 관한 연구-『의궤』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2 | 0.96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