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재난대응체계의 규범적 고찰과 시사점 = A Normative Study on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7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re have been many natural disasters and terrors constantly, each country in the world has been trying to develop and organiz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legal frameworks. Especially, after 9ㆍ11 terrorists attack and a catastrophic ...

      Since there have been many natural disasters and terrors constantly, each country in the world has been trying to develop and organiz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legal frameworks. Especially, after 9ㆍ11 terrorists attack and a catastrophic hurricane Katrina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government has reorganized the integr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efficiently handle the crisis, and to administrate assistance to the victims of the disasters, newly establishing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nd relocating the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under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s such, after Korea has suffered the Sewol ferry disaster, many criticisms have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inefficiency and inexpert crisis management system. He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established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order to efficiently rescue and assist the disaster victims, reorganiz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revising the disaster and security management act.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hould b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 control tower like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 over the variety of disasters, based on the revised disaster and security management act. In this regar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ormative examination of the federal crisis management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 details, which, hopefully, allows many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Korean crisis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적 및 인위적 재난 혹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세계 각국은 이러한 사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난관리체계 및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미국은 9ㆍ11테러 사태 및 허리케...

      자연적 및 인위적 재난 혹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세계 각국은 이러한 사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난관리체계 및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미국은 9ㆍ11테러 사태 및 허리케인 카트리나 사건 이후로 연방정부와 주(州) 및 지방정부간의 재난대응체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를 신설하여 산하에 연방비상사태관리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을 두도록 통합관리체계와 관련 법제를 정비하였다. 우리나라도 세월호 참사 이후에 국가의 위기관리시스템과 전문성에 대한 비판의 여론이 일자 국민안전처를 신설하여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의 통제탑(control tower)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개정하였다. 보다 전문적이며 신속하고도 효율적인 위기관리 및 재난대응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재난업무분장의 적실성을 높여야한다.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에 있어서도 먼저 중앙정부가 체계적인 통합관리체계를 수립하여 국가재난사태에 효율적이고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책무, 즉 공공영역에서의 재난관리체계의 조직적ㆍ유기적 구성을 도모해야 한다. 이에 더하여 민간영역에서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재난관련법제를 정비하는 것이 시급하다. 미국의 연방재난관리체계와 재난관리법제를 검토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유기적이고도 조직적인 재난 예방, 대응 및 처리 체계를 재정비하고 조직하는데 있어 여러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미국의 연방위기관리시스템 하에서 연방정부와 주(州)정부 및 지방정부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와 조정기능 및 민간영역 자원활용체계 등의 구체적인 내용들에 주목하여 앞으로 우리의 재난과 위기관리 법제 개선에 참조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7판" 박영사 2012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9

      3 홍성방, "헌법학(하)" 박영사 2010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3

      6 양건, "헌법학" 법문사 2014

      7 정종섭, "헌법과 기본권" 박영사 2010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5

      9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5

      10 이동규, "재난현장 사고지휘체계(ICS)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연구" 2010

      1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7판" 박영사 2012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9

      3 홍성방, "헌법학(하)" 박영사 2010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3

      6 양건, "헌법학" 법문사 2014

      7 정종섭, "헌법과 기본권" 박영사 2010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5

      9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5

      10 이동규, "재난현장 사고지휘체계(ICS)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연구" 2010

      11 고창석, "재난관리에 있어 군의 역할과 대비방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62-179, 2012

      12 박덕근, "재난관리 체계에서의 군의 역할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 (2): 1-13, 2006

      13 박덕근, "외국의 재난관리 기능 : 조직별, 단계별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2007

      14 정재황, "신헌법입문" 박영사 2012

      15 이상경,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사이버 법규범체계에 대한 일고" 한국공법학회 43 (43): 265-297, 2014

      16 송재석, "미국의 재난대응 시스템과 프로그램: 허리케인 Katrina로부터의 경험과 정책적 함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3 (3): 96-110, 2007

      17 하규만, "미국의 국가재난대응체계와 시사점" 정부학연구소 16 (16): 45-72, 2010

      18 하규만, "미국의 국가 재난관리 체제가 한국에 주는 함의" 정부학연구소 14 (14): 37-60, 2008

      19 정하명, "미국에서 국토안보부의 출범과 위기대응법제의 변화"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27-45, 2015

      20 김덕준, "미국 재난관리체계와 정부 간 관계" 4 (4): 2004

      21 윤태영, "미국 국토안보부의 대테러리즘 활동: 임무, 조직 운영체계 및 전략" 한국치안행정학회 9 (9): 163-182, 2012

      22 헌법재판연구원, "대테러 입법의 헌법적 문제 – 미국 애국법(PATRIOT ACT)을 중심으로 -" 2014

      23 박동균, "국가위기관리학회보" 3 (3): 2011

      24 강욱, "국가 재난관리 체계의 혁신과 발전방향: 모든 위험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 (43) : 7-36, 2015

      25 U.S. Library of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USA PATRIOT Act Additional Reauthorizing Amendments Act of 2006 (S. 2271)" Office of Congressional Information and Publishing 2006

      26 Susan N. Herman, "The USA PATRIOT Act and the Submajoritarian Fourth Amendment" 41 (41):

      27 Timothy J. Lowenberg, "The Role of the National Guard in National Defense and Homeland Security" 2005

      28 Charles Doyle, "The Posse Comitatus Act and Related matters: The Use of Military to Execute Civilian Law, CRS Report" 2012

      29 Brian Michael Jenkins, "The Long Shadow of 9/11" 3 : 2011

      30 David Cole, "Terrorism and the Constitution:Sacrificing Civil Liberties In The Name Of National Security" New Press 2006

      31 Michael T McCarthy, "Recent Developments: USA Patriot Act" 39 (39):

      32 "National Response Framework"

      33 NVOAD, "Managing Spontaneous Volunteers in Time of Disaster"

      34 George D. Haddow,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Elsevier Inc 2006

      35 Edward C. Liu, "Government Coll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Background and Issues Related to the USA PATRIOT Act Reauthorization,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2011

      36 Richard Sylves, "Disaster Policy & Politics: Emergency Management and Homeland Security" CQ Press 2008

      37 Lindsey Landolfi, "Department of Defense, U.S. Northern Command, National Guard and Defense Support of Civil Authorities" Towson University 2013

      38 John E. Nowak, "Constitutional Law" West Group 2000

      39 Danshera Cords, "Charity Begins at Home? An Exploration of the Systemic Distortions Resulting From Post-Disaster Giving Incentives" 44 (44): 2014

      40 Danshera Cords, "Charity Begins at Home? An Exploration of the Systemic Distortions Resulting From Post-Disaster Giving Incentives" 44 (44): 2014

      41 Alice R. Buchaller, "Buchaller" 2007

      42 Daniel E. Lungren, "A Congressional Perspective on the Patriot Act Extenders" 26 (2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Law Research Institute in University of Seoul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7 1.11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